• 제목/요약/키워드: 연속배양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52초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L-Methionine의 생산 (L-Methionine Production by Protoplast Fusion of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and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

  • 빈재훈;정수자;신동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61-567
    • /
    • 1991
  • 본 연구는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및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13032간의 protoplast fusion을 행하여 L-methionine의 생산성을 검토하고 발효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속배양을 행하였다.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500{\mu}g/ml$로 처리하였으며 B. flavum K-104($Thr\;Met\;Km^{r}\;Et^{r}\;Sm^{r}\;Tm^{r}$)와 C. glutamicum B-70($Thr\;Hos\;Km^{r}\;Et^{r}\;Sm^{r}\;Tm^{r}$)의 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변이주에 $500{\mu}g/ml$의 lysozyme을 처리하였을 때 원형질체 형성을 및 재생율은 각각 99% 및 $64{\sim}66%$를 나타내었으며 융합 빈도는 3% PVP를 함유한 35% PEG 용액에서 $3.5{\times}10^{5}$을 나타내었다. Sodium alginate로 고정화시킨 융합주 BFCG 37은 72시간 회분배양에서 0.89g/l의 methionine을 생산하였고 연속배양에서는 $18.75mg/^{1}hr\;^{1}$의 L-methionine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었다.

  • PDF

Pilot 규모에서의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한 (R)-3-Hydroxybutyric acid 생산 (Pilot Scale Production of (R)-3-Hydroxybutyric acid by Metabolically Engineered Escherichia coli.)

  • 최종일;이승환;최성준;이상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3-248
    • /
    • 2004
  • 산업적 R3HB의 생산을 위한 재조합 대장균의 pilot규모에서의 유가식 배양과 연속식 배양을 연구하였다. Pilot 규모에서의 R3HB생산을 위하여 안전한 two plasmid system pBRRed와 pMCS 105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plasmids을 이용하여 여러 다른 대장균을 형질 전환하였다. 얻어진 재조합 대장균들을 30 l의 발효기에서 회분식 배양한 결과 대장균 XL-10 Gold(pBRRed, pMCS105)가 가장 높은 R3HB 농도를 보였다 30 1 발효기에서 대장균 XL-10 Gold (pBRRed, PMCS105)을 유가식 배양한 결과 22.4 g/1의 R3HB가 얻어졌으며, 생산성은 0.97 g/1-h를 보였다. 고농도의 R3HB를 고생산성으로 얻기 위하여 유가식 배양으로 높은 균체 농도를 얻은 후 연속 배양으로 R3HB를 생산하는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0.2 $h^{-1}$ 의 dilution rate에서 R3HB 생산성은 5.06 g/1-h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적 규모에서 재조합 대장균을 이용하여 R3HB를 고농도, 고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혼합영양생물인 Scenedesmus acuminatus의 반연속 배양 시 성장특성 연구 (Growth Characteristics of Mixotrophic Scenedesmus acuminatus under Semi-Continuous Culture System)

  • 고시원;홍가이;이태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32-338
    • /
    • 2017
  • 본 연구는 혼합영양생물인 Scenedesmus acuminatus의 최적배양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로서 최적 공기주입량, 아세테이트 주입량, $CO_2$ 주입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기주입량은 0.72 vvm에서 최대 비성장속도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0.3 M의 아세테이트를 주입하였을 때 최대 비성장속도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얻었다. 반연속배양에서는 추가로 $CO_2$ 주입이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CO_2$ 주입 실험에서는 아세테이트로 50% 치환한 후에 최대비성장속도($0.460d^{-1}$)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성($0.936gL^{-1}d^{-1}$)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후 치환이 계속될수록 최대비성장속도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공기주입 실험에서는 JM 배지로 배양할 때 가장 높은 비성장속도($0.381d^{-1}$)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성($0.253gL^{-1}d^{-1}$)을 보여주었지만 이후 아세테이트를 함유한 배지로 50% 치환하였을 때 오히려 초기값보다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호접란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통한 조직배양묘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Phalaenopsis Clones by Basal Shoot Culture)

  • 빈철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75-380
    • /
    • 2003
  • 줄기기저부절편조직을 이용한 호접란 조직배양묘 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괴체 유도와 원괴체 증식의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치상조직별 원괴체 유도 성공률을 비교한 결과 줄기기저부절편조직에서 약 45%의 높은 성공률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화경액아 배양으로 약 30% 정도의 성공률을 나타낸 반면 근단, 화경절간절편, 화경엽, 성숙엽의 경우에는 성공률이 1%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품종별 원괴체의 유도능력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11개 품종에서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한 결과 백색계 와 핑크계품종 모두에서 30%이상의 높은 원괴체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줄기기저부배양에서 줄기기저부를 절단하지 않고 천체조직을 치상하였을 경우 거대 원괴체가 유도되었는데 이 거대 원괴체는 진한 녹색으로 보통 원괴체의 3∼5배 정도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거대 원괴체를 증식하기 위해 절단하여 증식배지에 치상하였으나 새로 나온 원괴체는 정상적인 크기의 PLB로 유도되었다. 줄기저부배양에서 얻어낸 원괴체들은 증식과정을 거쳐 정상적인 조직배양묘를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호접란 클론묘생산에 쓰일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의 하나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줄기기저부 절편배양을 이용하여 원괴체를 유도 증식하고 플라스크묘를 만든 뒤 다시 그 묘의 줄기기저부절편을 이용하여 원괴체를 유도 증식하고 플라스크묘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에 응용함으로써 무한수의 조직배양묘를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체계가 제시되었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현탁세포 perfusion 배양 연구

  • 김영화;이용일;김익환;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301-304
    • /
    • 2002
  •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현탁세포의 고농도 배양을 위하여 perfusion 배양을 한 결과 세포의 생장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 배양 5 일째부터 sucrose를 4배 농축한 배지로 2 mL 씩 교환해준 결과, 세포의 생장이 계속 유지되었고 최대 세포농도도 23.7 g/L 로 대조구에 비하여 1.7 배 증가하였다. 초기 당농도를 50 g/L 로 하여 배지 교환을 한 결과, 최대 세포농도도 23.8 g/L 로 30 g/L 당농도 대조구에 비하여 1.6 배 증가하였고, 배지교환을 하지 않은 50 g/L 대조구에 비하여 1.1 배 증가하였다 . 따라서 초기 당농도를 높이고 연속적으로 배지교환을 해준다면, 고농도의 세포를 얻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참당귀 세포가 생산하는 다당류의 생산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Agrobacterium spp.에 의하여 형질전환된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모상근의 성장과 tropane alkaloid의 생성 (Growth and Tropane Alkaloid Production of Hairy Roots of 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 Transformed by Agrobacterium spp.)

  • 양덕조;강현미;이강섭;김용해;양덕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7-142
    • /
    • 1997
  • 모상근의 성장을 위한 최적배지 및 tropane alkaloids함량을 위한 최적배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독말풀(Datura stramonium var. tatula Torr.)의 잎과 줄기에 Agrobacterium spp.spp.를 접종하였다. 접종된 균주 중 모상근의 유도에 효과적인 균주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textrm{A}_{4}$ T와 A rhizogenes ATCC 15834이었다. SH (Schenk and Hildebrandt, 1972) 액체배지에서 선발된 23개의 clone중 성장이 양호한 clone은 DTLA9 이었으며,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이 양호한 clone은 DTLE6 이었다. 이들 두 종류의 세포주를 9종류의 서로 다른 액체배지에 각각 배양하여 성장 및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상근의 성장은 두 세포주 모두 SH와 MS배지(SH > MS배지순)에서 다른 7개의 배지에서 보다 양호하였다. 한편,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은 두 세포주 공히 GD와 B5 배지(GD > B5배지순)에서 다른 7개의 배지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SH배지에서 모상근을 성장시킨 후, GD배지에 옮겨 2단계 연속배양하면 tropane alkaloids의 함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문고병균(Corticium sasakii)의 균사생장, 색소형성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 (Effect of Light on Mycelial Growth, Pigmentation and Sclerotial Production of Corticium sasakii (shirai) Matsumoto)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375-380
    • /
    • 1975
  • 본 연구는 인공배지(Rice Polish Agar) 위에서 자라는 문고병균(C. sasakii)의 균사생장, 색소형성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배양적 성질이 다른 두균주(D-3, D-15)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 균주 모두 연속관선조사구, 광암교호구 및 암처리구에서 균사 생장량에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균주 D-3는 균사 및 배양기가 갈색으로 착색되엇고 암처리구보다 관선조사구에서 더 많이 착색되었으나 균주 D-15에서는 갈색 색소형성이 없었다. 2) 균핵형성에 미치는 광선의 영향은 두 균주간에 차이가 있었다. 즉 균주 D-15는 각 처리간의 총 균핵형성량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암처리구에서 광암교호구 및 연속 광선조사구 보다 대형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반면 균주 D-3는 연속광선조사구에서는 많은 균핵을 광암교호구에서는 중간정도, 암처리구에서는 적은량의 균핵을 형성하였다.

  • PDF

Cellulomonas sp.에 있어서 셀로비오스의 미량공급에 의한 생성물 저해의 조절 (Control of Catabolite Repression by Limit Feed of Cellobiose in Cellulomomas sp.)

  • 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235-243
    • /
    • 1976
  • Cellulomonas sp. CS1-1의 셀룰라아제 생산에 있어서 분해생성물에 의한 저해 기구를 연구하고 아울러 효소 작용시 생성물의 저해 작용 여부를 구명하기 위하여 각종 함량의 셀로비오스를 함유한 아비셀 중층 한천배지시험, 셀로비오스의 공급을 극소화함으로써 세포외 셀룰라아제의 증산을 목적으로 한 연속배양 시험, 그리고 효소기질에 각기 다른 농도의 셀로비오스가 존재할 때의 활성도에 대한 저해 시험을 시도한 결과 i) 효소반응 혼액중 셀로바오스의 농도가 10mM 이하에서는 셀룰라아제의 작용이 저해되지 않았으나 20mM에서 30%, 50mM에서 약 55% 저해됨이 인정되었다 ii) 아비셀 중층 배지 시험에서 셀룰라아제의 분해 작용은 글루코오스및 셀로비오스에 의해 크게 저해되었다 iii ) 연속 배양에 의하여 배지중의 셀로비오스의 잔존량을 극히 적게 한 경우(희석율 0.05 및 $0.1hr^{-1}$)에도 세포내외 효소가 증산되지 않았다.

  • PDF

Calcium Alginate로 고정화된 Acetobacter aceti에 의한 식초생산 (Vinegar Production by Acetobacter aceti Cell Immobilized in Calcium Alginate)

  • 유익제;박기문유연우최춘언
    • KSBB Journal
    • /
    • 제5권2호
    • /
    • pp.167-173
    • /
    • 1990
  • Acetobacter aceti OLS-130cell을 Ca-alginate gel에 고정시킨 후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한 연속적인 식초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Working volume 2L규모의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한 회분식발효를 발효온도 3$0^{\circ}C$, 통기량 1.0VVM에서 초기 ethanol 및 초산농도 3g/l와 27g/l에서 수행한 결과 free cell인 경우 발효 80시간 경과 후 23g/l의 초산이 생성되었으며, 이때 overall productivity는 0.31g/l-hr였고, 고정화 초산균의 bead를 250g/l로 하여 발효를 수행한 결과는 발효 48시간 경과 후 23g/l의 초산이 생성되어 overal productivity는 0.48g/l-hr로서 free cell일 때보다 약 1.5배 높았다. 위의 초산발효조건에서 배양 48시간 이후부터 연속발효를 실시한 결과 배양 90일까지 초산함량 50~55g/l의 식초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이때 dilution rate는 $0.12hr^-1$로서 초산생산성은 약 2.76g/l-hr로 최대값을 유지하였으며 회분식 발효에서 free cell인 경우보다는 초산생산성이 약 8.9배, 고정화 세포인 경우보다 약 5. 8배 더 높았다.

  • PDF

Isolation and cultivation of follicle constituting cells from human hair follicles

  • Shin, Youn-Ho;Seo, Young-Kwon;Lee, Doo-Hoon;Yoo, Bo-Young;Song, Kye-Yong;Seo, Seong-Jun;Whang, Sung-Joo;Kim, Young-Jin;Yang, Eun-Kyung;Park, Chang-Seo;Chang, Ih-Seop;Park, Jung-Keu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365-368
    • /
    • 2003
  • 모낭은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성장 및 주기가 조절되며 다양한 세포들로 구성진 기관이다. 모낭의 세포들이 in vitro에서 배양될 때 그들의 형태나 양상 등의 관찰을 위하여 구성 세포들을 분리 및 배양하였다. 모낭의 bulge를 구성하는 ORS 세포와 색소 합성을 하지 않는 멜라닌 세포를 두 단계의 효소처리 방법을 통하여 분리 및 배양하였고, bulge를 구성하는 세포의 경우에는 microdissection을 통하여 각각의 조직을 분리하고 DP와 DS 세포는 explantation 방법을 통하여 배양 하였으며, matrix 세포는 효소처리를 통하여 분리 및 배양할 수 있었다. 또한 연속 배양을 통하여 그들의 형태적인 특성 및 증식양상을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