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 훈련

Search Result 4,18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f Virtual Drought Exercise (가상가뭄 훈련의 국내외 사례 연구)

  • Ahn, Sang-Hyun;Kim, Jitae;Chung, Il-Moon;Lee, Jeong Eu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0 no.4
    • /
    • pp.415-421
    • /
    • 2020
  • Drought has repeatedly occurred due to the climate change effect. The government is working on ways to reduce drought damage and is conducting drought exercise. This study analyzed drought literature and exercise cases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Kore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suggested considerations in selecting exercise types which are workshop, tabletop exercise and functional exercise, and process of the drought exercis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prepare the virtual drought exercise.

Development of drought exercise procedure through US case analysis (미국 사례 분석을 통한 가뭄 훈련 절차 개발)

  • Ahn, Sang Hyun;Kim, Sang Mun;Choi, Jung Rye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4-404
    • /
    • 2020
  • 우리나라는 매년 반복되는 가뭄으로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가뭄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을 중심으로 용수배분 등을 위한 가뭄 대비 훈련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가뭄 훈련을 준비하고, 계획하기 위한 가뭄 특성을 반영한 훈련 기준이 미비한 실정으로 가뭄 훈련을 위한 기준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가뭄 훈련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검토하고, 국내 가뭄 훈련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미국은 가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뭄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가뭄 피해 및 가뭄 대비를 위한 사항을 제시하고 있으며, 워크숍, 게임, 도상훈련, 기능 훈련 등의 훈련 종류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훈련을 시행하는 데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 있어, 체계적인 훈련 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가뭄 훈련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지식부터, 훈련의 종류, 훈련시 고려사항, 훈련계획 수립 절차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모든 재난 유형에 대한 범용적인 훈련 지침을 제시하고 있어, 가뭄으로 인한 피해 대응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는 미국 사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훈련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가뭄이라는 재난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훈련을 좀 더 내실있고,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가뭄 훈련 지침이 필요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차세대 IT·OT 융복합 사이버훈련장 구축 연구

  • Young Han Choi;Taek Jun Nam;DongHo Jeon;Hyun Chul Yang;SooHyun Jo;Jungmin Kang
    • Review of KIISC
    • /
    • v.33 no.6
    • /
    • pp.79-87
    • /
    • 2023
  • 사이버위협의 증가로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이버훈련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훈련이란 개인의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및 사이버공격에 대한 조직적 대응을 단련하는 일련의 행위를 가리킨다. 최근 IT 영역에서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OT 영역으로 사이버공격 범위가 늘어나 그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 사이버공격에 대비한 사이버훈련이 필요하며, IT 위주에서 OT를 포함한 사이버훈련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IT와 함께 OT 영역까지 사이버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사이버훈련장 구축 연구를 소개한다. 본고에서는 OT 영역을 11개의 국가기반시설로 분류하였고, OT 사이버환경을 SW 기반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사이버훈련장을 통해 IT와 OT 대상 사이버공격에 대한 사이버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이버보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A Study on Improvement of Fire Simulation Training for Improving Fire Response Ability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화재모의훈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Eun-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3-114
    • /
    • 2023
  • 본 연구분석결과 훈련 이벤트가 다수 적용될 때 훈련 참여자의 참여율, 관심도 및 화재대응자세가 많이 향상되고 훈련계획시 훈련 참여자들의 초기대응능력(화재통보 및 화재신고, 초기소화, 화재대피) 향상과 유지에 훈련목표를 두고 각 대응단계별 목표시간을 설정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정량적인 훈련평가를 하여야만 화재대응능력 향상과 향후 화재모의훈련의 개선 및 피드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of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Gye-Je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79-291
    • /
    • 2012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S-OJT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구성요인과 실행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S-OJT프로그램 구성요인은 교육훈련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지원은 학습자의 특성과 무관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가 낮은 경우, 교육훈련의 적절성과 환경에, 학습동기가 높은 경우에는 교육훈련의 훈련전문가의 역량이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능력이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OJT 실시에 있어 조직의 지원은 프로그램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효과가 있으며, 훈련전문가의 역량은 현업적용도, 직무성과를 높일 것이다. 아울러 훈련프로그램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Discussion Based Training Applying to Army War-game Process in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 Training』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시 군(軍)의 '워-게임(War-Game)' 과정을 적용한 효과적인 '토론기반훈련' 에 관한 연구)

  • Yoon, Woo-Sup;Seo, Jeong-Che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3
    • /
    • pp.347-35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method for effectively conducting discussion-based training in disaster response safety training. Method: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isaster response training of developed countries and suggested the training scenarios by applying the war-game process that is currently applied in the operation planning of our military. Result: In one disaster situation, several contingencies could be identified, and supplementary requirements for the manual could be derived. Conclusion: Therefore, in conclusion, if the military war-game process is applied to the discussion-based training in disaster response safety training, effective training can be carried out.

A Study on Determinants of Training Effectiveness in Public Sector (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Hong, Kil-Pyo;Lim, Hyo-Cha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9 no.2
    • /
    • pp.95-116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program components and training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Training program components(training planning, trainer's teaching ability, trainee's motivation to learn, training contents) and the social support(superior's support, peer's support) that are supposed to affect the training performance were chosen by the literature review. There are 20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tested by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It is turned out to be part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ning program components and training performance.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es were mentioned.

  • PDF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ster Training System in Disaster Response Safety Training in Korea (에너지산업현장에서의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시 재난훈련시스템 적용성 검토 사례조사)

  • Park, Namhee;Yeo, Wookhyun;Kim, Tae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2
    • /
    • pp.211-21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use the disaster drill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training in the required situation in the safety training situation in the safety industry to prepare for the disaster in the energy industry field by utilizing the developed system.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investigated the papers, reports, statistical data, and visited the site to investigate the training situation. Results: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n training is not only responding to disasters but also cooperating activities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contents are complex, diverse, and multifaceted. Conclusion: The disaster training system should be applied to the self training of the organization to prepare for the disaster and the safety training for disaster response in Korea.

Effects of the Eccentric Viewing Training Software Based on Korean for Reading Speed: A Case Study (한글기반 중심외보기 훈련 프로그램이 읽기속도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 Hong, Seung-Py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441-449
    • /
    • 2018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nsist of the eccentric viewing training software based on Korea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reading speed. The program was used the Korean stimuli by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Single-subject A-B-A' research design for 2 normally-sighted young adults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The reading speed data on short-sentence of participan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s both data from the intervention period and post-training baseline period deviated more than 2 standard deviations from the pre-training baseline period.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ed that eccentric viewing training software based on Korean characters stimulation would allow clinician in Korea to improve reading skills of low vision individuals with central scotomas.

Introduction to Development of Disaster Response Training Method That Utilizes Augmented Reality Based Simulator (증강현실기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 훈련방안 개발 소개)

  • Yun, Jun-Young;Lee, Jong-Uk;Jung, Duk-Hoon;Kim, Chan-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89-91
    • /
    • 2015
  •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현시대에는 지역적으로 특성화된 재난의 급증과 함께, 각종 재난 유형의 복합화와 대형화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재난대응 훈련의 조치들은 증가하는 재난의 위험에 발맞추지 못한 채 한계에 부딪쳐 답보중인 상태이다. 이에 따라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하여 현장의 긴박한 상황을 이해하여 빠른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훈련 시뮬레이터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더불어, 훈련 시뮬레이터의 개발뿐 아니라 시뮬레이터의 효율적인 이용과 변화하고 있는 현대 재난에 대한 발 빠른 대응을 위하여, 기존의 단편, 부분적인 훈련 시스템을 탈피한 새로운 훈련 시뮬레이터에 대응하는 훈련 방안과 재난대응훈련 평가체계 방법에 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되고 있는 증강현실기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 훈련 방안 개발 내용을 소개하며 연구의 목표와 기대성과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