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학교

Search Result 16,56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Review on the Preceding Studies intended to Overcome the Stereotyped School Architecture before School Facilities Modernization Work (학교시설 현대화 사업 이전 탈표준화를 모색했던 학교건축 연구 선례 고찰)

  • 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473-476
    • /
    • 2008
  • 본 연구는 1990년대 시행되었던 학교시설 현대화 사업 이전 시기인 1970년대 초와 1980년대 초 학교건축에서의 탈표준화를 모색했던 연구들에 주목하여 이들을 고찰하였다. 이들 연구는 후속 사업으로 연결되지는 못했지만 편복도형의 극복이나 시설프로그램의 변화, 학교 건축계획에서의 도시적 차원의 접근, 학교공간 내에 다양한 공간 적용 등을 제안하고 있어 국내 학교건축이 표준화교사로부터 벗어나는데 선례적인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 PDF

서울시별시지정 학교도서관교육시법학교 연구보고(초)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 no.5
    • /
    • pp.8-12
    • /
    • 1963
  • 본고는 서울특별시가 학교도서관 교육시범학교로 제정한 서울안산국민학교가 ‘국민학교실정에 알맞은 도서관의 설치와 운영’이라는 주제하에 1963.7.2 발표한 연구보고문을 발취한 것이다.

  • PDF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 Hwang, Hyejeong;Kim, G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1
    • /
    • pp.245-26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perceptions on and needs to school libraries, and suggest an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direc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mpare the perceptions on and needs for library elements, such as facilities, collections, programs, etc.,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e suggest to establish an orientation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We also suggest a need of further study in which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needs among grades in a level of the secondary school for more detailed customization of library services.

Research Trends of School Space in the Field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교육시설환경 분야에서의 학교공간 연구동향 분석)

  • Lee, Jaejin;Choi, Ji-Hee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3 no.3
    • /
    • pp.36-51
    • /
    • 2024
  • School facilities play are crucial in improving educational outcomes not only by serving as physical infrastructure to achieve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but also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school users (e.g., teachers and student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school facilities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of school spaces within the field of educational facilities to identify the future role and research directions of school spaces. Therefore, content and network text analyses were conducted on 531 studies published from 2001 to 2022 that are related to school spaces in the Korean Educational Facilities Society and Korean Educational Green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Further, quantitative changes, target contributions, research methods, and shifts in key words and them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expanding research subjects,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educational stage, broadening the use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expanding research on school safety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school spaces.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chool Vitality Scale Across The Level of School (학교활력 진단도구의 학교급 간 측정동일성 검정)

  • Lee, Jae-Duc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3
    • /
    • pp.41-4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school vitality scale across the level of school. For this study, 3,156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4,411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As a result, school vitality scale was found to have the same factor structure in the structure regression model. Second, the factor load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found to be the same. Third, the structural path coefficients were the same. Fourth, structural covariance was found to be the same. Fifth, the structural residuals were the same.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we can use school vitality scale both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iagnosing school vitality levels and finding ways to improve school management.

An analytic Study 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rofer School Policy Establishment in Korea (적정규모 학교 정책 수립을 위한 초등학교 재학생수 기초 조사 연구)

  • Yoon, Yong-Gi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7 no.1
    • /
    • pp.23-32
    • /
    • 2018
  •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1,337 elementary schools in the 29 provinces nationwid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Newtowns,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s 601~750. In particular, 4 small schools (4.2%) showed 300 small sized schools. Second, the number of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s 451~750, and the number of schools under 300 students is 16, accounting for 5.6% of the total. Third, the Chungcheong Province is the largest in the 751~900 people, but relatively fewer than 150 students account for more than 13% of the total. Fourth, Yeongnam region has the largest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 the 301 ~ 450 classrooms, and the number of schools with 150 under 50 schools is 300 and the number of under schools is 118 with 24.3%. Fifth, Honam area is the most in 601 ~ 750 people, but the number of schools under 150 students is 27 and the number of under 300 schools is 23.5%. In particular, small schools in Yeongnam region and Honam area a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other areas. Addition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for other cities.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 이해명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9 no.1
    • /
    • pp.37-62
    • /
    • 1999
  • 이 연구는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다. 과학자의 생애를 통하여 그들이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였고, 어떤 교육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의 영향을 받았는가를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학 영재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설정해보려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뉴턴, 갈릴레이, 다윈, 빠스뙤르, 파인만 등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중등학교, 대학교에서의 학습내용, 학습-교수 방법, 교육환경 등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습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과학적 기반 형성에 필요한 공통교과, 중등학교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축적에 필요한 전공 교과, 대학에서는 과학적 지식의 생산에 필요한 교과가 중심이 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은 초등학교에서는 관찰, 중등학교에서는 실험과 토론,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연구가 중심이 된다. 셋째, 환경적 영향은 초등학교에서는 가정의 영향이, 중등학교에서는 학교의 영향이, 그리고 대학의 과정에서는 사회적 영향이 중심이 된다.

  • PDF

A Case Study for Boosting of Reading Education at School - Focused on Research and Practice Activities of Gyeongnam 'The Society for School Library' - (학교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사례 연구 - 경남 학생사모의 연구·실천 활동을 중심으로 -)

  • Kim, Soo-Kyo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3
    • /
    • pp.165-19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for boosting reading education at school. Research object is research and practice activities of 'Society for School Library' at Gyeongnam area. Research method is case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interview with 'Society for school library' members through half structured survey, their documents and homepage site databas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ctivities of 'Society for School Library' were explored reading education's outcomes and prospects that performed impassionedly by them. It suggests ways for boosting of reading education at school that under any circumstances reading education at school must connect with school library and the necessity of ties and collaborations with organization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 study on Leading Programs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of School Violence (학교폭력 재발방지를 위한 선도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Shin, seung-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189-190
    • /
    • 2013
  • 최근 몇 년 사이 학교폭력의 피해학생들의 자살하는 사건들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자살사건들로 인하여 학교폭력에 대한 우리사회의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작년 한 해에는 대구에서 학교폭력 피해가 의심되는 이유로 투신자살한 이후 대전, 광주 등에서 자살하는 사건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학교폭력의 피해자들은 가해자들로부터의 벗어나고 싶은 심정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청소년 비행이나 청소년 범죄에 관련된 문제 중에서 학교폭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수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나 학교폭력에 대한 문제해결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경찰청에서는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특별 TF팀을 구성하여 "위해의 사전 예방 제거"에 중점을 둔 근절대책을 추진할 것을 논의하였다. 하지만 한정된 경찰인력만으로는 학교폭력 문제에만 집중할 수 없는 것이 현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학교폭력의 현상과 예방프로그램, 학교폭력에 대한 가해 및 피해학생의 선도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따른 경찰의 역할에 논하고자 한다.

  • PDF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특성과 적응에 관한 연구

  • 문경근;박일영;추봉욱;박수경;곽미용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2
    • /
    • pp.49-73
    • /
    • 2004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지적, 정의적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특성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 선택 경향, 학업성취도, 개별연구과제 선택 경향, 진로선택 및 학교 적응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영재아들의 지적 ${\cdot}$ 정의적 특성 및 학교적응을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의 경우 출신 지역에 따라 영재교육을 받았는지의 여부에 차이가 났다. 즉,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 중 대다수가 수도권과 영남 지역의 학생들이었다. 둘째, 학생들이 지적인 학습 능력에는 만족도가 높으나 대인관계 능력과 관련하여서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았다. 그리고 영재학교의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과 성격 유형상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영재학교 학생들은 일반학교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향적이고 미래 지향적 혹은 개념적이며, 감정보다는 논리적 과정을 우선시한다. 셋째, PT 과목 통과에 있어서 생물과 정보 영역을 제외하고는 영재교육원에서의 교육과 PT 통과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넷째,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R&E 주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물리 과목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호도에는 남녀 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의 여부와 큰 상관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