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tic Study 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rofer School Policy Establishment in Korea

적정규모 학교 정책 수립을 위한 초등학교 재학생수 기초 조사 연구

  • 윤용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8.02.28
  • Accepted : 2018.04.23
  • Published : 2018.04.30

Abstract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1,337 elementary schools in the 29 provinces nationwid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Newtowns,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s 601~750. In particular, 4 small schools (4.2%) showed 300 small sized schools. Second, the number of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is 451~750, and the number of schools under 300 students is 16, accounting for 5.6% of the total. Third, the Chungcheong Province is the largest in the 751~900 people, but relatively fewer than 150 students account for more than 13% of the total. Fourth, Yeongnam region has the largest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 the 301 ~ 450 classrooms, and the number of schools with 150 under 50 schools is 300 and the number of under schools is 118 with 24.3%. Fifth, Honam area is the most in 601 ~ 750 people, but the number of schools under 150 students is 27 and the number of under 300 schools is 23.5%. In particular, small schools in Yeongnam region and Honam area are more than twice as high as other areas. Addition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for other cities.

전국 29개시 총 1,337개 초등학교 재학생수 구간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 29개시 총 1,337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재학생수 조사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기 신도시의 적정학교(301~750명) 규모의 학교수가 총 96개교중 52개교(54.2%)로 가장 많고, 대규모 학교는 40개교로 전체의 41.7%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1200명이상의 초대규모 학교가 5개교가 있다. 또한 300명이하의 소규모학교가 4개교(4.2%)로 150명이하의 학교수가 1개교로 여타지역에 비하여 미미한 편이다. 수도권에서는 적정규모 학교가 148개교로 전체의 51.7%를 차지하고, 과대학교는 122개교로 전체의 42.7%를 차지하고 있다. 재학생수 300명이하의 소규모 학교수는 16개교로 전체의 5.6%를 차지하고 있다. 충청권은 총 243개교중 39개교가 적정규모 학교수는 108개교로 전체의 44.4%로 가장 많으나, 대규모 학교는 99개교로 전체의 40.7%를 차지하고 있다. 소규모 학교는 36개교로 전체의 14.8%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영남권은 전체 486개교중 적정규모 학교는 234개교로 전체의 48.1%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규모 학교는 134개교롤 전체의 27.6%를 차지하고 있다. 전국 학교 규모를 분류해 보면, 적정규모 학교는 656개교로 전체의 49.0%를 차지하고 있고, 과대학교는 34.0%, 소규모학교는 17.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적정규모 학교 육성뿐만 아니라 과대학교와 소규모 학교에 대한 종합적인 중장기 학생수용계획 수립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는 학교 신설뿐만 아니라 학교 통폐합, 이전, 통학구역 조정 등과 연동된 유기적인 학교재구조화 정책 수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적정학교 규모를 학업성취도측면이나 생활지도측면에 경제적 효율성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301~750명으로 하였으나, 다소 논란의 소지가 있어, 이에 대한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외, 초.중.고등학교 적정 규모 학교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교육청, 2008
  2. 1기 신도시 초등학교별 학생수 증감 추세 분석에 관한 연구, 녹색교육환경연구, 2015.12
  3. 이호진, 한국 학교건축의 과거와 미래, 2008
  4. 최기석, 도시재생에서 학교중심의 계획요소와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2

Cited by

  1. 적정규모 학교 정책수립을 위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수와 학급수에 관한 기초 연구 I - 경상남도 17개 시군을 중심으로 - vol.17, pp.3, 2018, https://doi.org/10.7743/kisee.2018.17.3.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