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구기록

검색결과 8,202건 처리시간 0.036초

자기 기록 시스템에서 기록 미디어의 자화에 의해 발생된 와전류에 대한 연구 (Study of Magnetized Magnetic Recording Media Induced Eddy Current Effects on High Density Magnetic Recording System)

  • 원혁;박관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843-844
    • /
    • 2006
  • 자기 기록 시스템이 더 높은 기록 밀도를 가지려면 기록 미디어에 더 작은 공간을 가지는 비트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더 작은 비트를 보존 할 수 있는 고 보자력 기록 미디어와 이를 기록할 수 있는 자기 기록 헤드가 있어야 한다. 자기 기록 시스템에서 기록 밀도와 함께 중요시 되는 것이 바로 기록 속도이다. 시스템이 발전 할 수록 요구되는 속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기록 속도가 빨라지려면 기록 주파수가 높아지고 기록 미디어의 회전 속도가 빨라져야 한다. 자기 기록 헤드는 자화되어 있는 고 보자력 기록 미디어 위를 빠른 속도로 직선 운동하고 있는 형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자기 기록 헤드에 와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되는 와전류의 형태는 기록 미디어에 자화된 형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고 또한 자기 기록 미디어의 회전 속도와 와전류가 발생되는 기록 헤드의 전기전도도에 따라 변화 된다. 본 연구는 이렇게 발생된 와전류를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수 이 와전류가 기록 필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제시 하였다.

  • PDF

기록매체에 대한 제도 개선 방향 연구 - 전자기록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rchives Acts and Standards Related to Recording Media of Electronic Records)

  • 조이형;이관용;김영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28
    • /
    • 2012
  • 정보량의 빅뱅, 전자기록물의 대량 생산, 다양한 기록매체의 출현 등 급변하는 기술변화 환경 하에서 안정적인 전자기록 관리체계 구축 운영을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관련 기술 흐름과 발전 방향을 이해하고 준비 대응해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재 기록매체와 관련된 기록관리 법령과 표준 등의 미비점을 도출하였다.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기록매체와 관련된 기술 현황과 기록매체의 수명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을 분석하는 동시에 미국, 영국 등 해외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기록매체 종류의 확대, 기록매체 선택 요소의 수정 보완, 기록매체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등 제도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전자기록 연구의 동향 분석 - 회고와 전망 - (Trends Analysis of Electronic Records and Archives Research in Korea: Retrospect and Prospect)

  • 이소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31
    • /
    • 2011
  • 이 연구는 지난 11년 간의 전자기록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그 간의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록학 분야의 양대 학회지인 한국기록관리학회지와 기록학연구, 그리고 4종의 문헌정보학회지에 실린 논문 중 전자기록을 다룬 논문 57편을 선정하였다. 8가지 세부 주제영역별로 연구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각 영역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인 시사점도 실증연구, 연구방법론, 그리고 학술연구의 기본요건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공과대학 연구실 연구기록의 체계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Research Records in Engineering School Laboratories in Korea)

  • 최현옥;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9-139
    • /
    • 2010
  • 연구의 진실성을 검증하거나 특허권 관련이나 지식재산권에 관한 법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구기록은 증거로도 매우 중요하며, 이전 연구의 정보 제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공과대학 연구실의 연구기록 관리는 아직 초보적 단계이며, 관련 규정 및 모범 사례도 부족하여 체계적인 연구기록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연구실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들을 분석해보고, 효율적인 연구기록 관리를 위해 관련 규정 및 프로세스의 정비, 연구기록관리 과정의 체계화, 연구자 교육 및 인프라 구축 등의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7~2020년 기록관리 혁신 평가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Innovation in 2017~2020)

  • 심성보
    • 기록학연구
    • /
    • 제65호
    • /
    • pp.7-46
    • /
    • 2020
  •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기록공동체는 지난 정부 9년간의 기록관리의 지체와 정체를 극복하고 기록관리 혁신이 추진되기를 기대했다. 이 글은 국가기록원이 공공기록관리 부문에서 추진해온 기록관리 혁신을 중심으로 하여, 그 경과와 주요 내용을 추진 주체, 혁신 계획, 법령 개정, 주요 사건 등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평가했다. 2020년 상반기까지 약 3년간의 기록관리 혁신을 평가하면, 첫째, 국가기록관리 폐단에 대한 조사 결과를 이어받아 혁신의 방향과 인적 동력을 마련하는 데 실패했다. 둘째, 2017년까지 진행된 국가기록관리혁신TF,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연구 등 여러 혁신적인 노력의 성과를 국가기록원이 스스로 종합하여 취사선택하지 못하고 기계적·실무적 수준에서 처리해왔다. 셋째, 2018년 혁신추진단의 '공공기록관리 혁신과제'와 2019년 '국가기록관리 중장기 발전계획'은 국가의 한 영역의 전략과 계획의 수준에는 많이 미달했다. 넷째, 2018~2020년의 법령 개정은 애초부터 "이견이 적은" 사안을 중심으로 한 것이어서 "기록관리제도 전면 개편"에는 전혀 미치지 못하는 것이었다. 다섯째, 소통, 특히 각급 기록관의 기록연구직과의 소통을 중시했으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기록공동체 저변과 소통하고 그로부터 지지를 끌어내기 어려운 상태에 이르렀다. 여섯째, 문재인 정부는 "민간 기록전문가 출신 국가기록원장"을 임명했으나, '신임 국가기록원장을 중심으로 기록공동체'는 또는 '신임 국가기록 원장은 기록공동체와 함께' "기록관리제도 전면 개편"과 "국가기록원 독립성 강화 및 대통령기록물 관리체계 혁신"이라는 약속을 지키기 어려운 상태이다.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해야 한다면 권한과 책임 모두를 가지고 있는 국가기록원장일 수밖에 없다.

연구 품질 확보를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cords Management Tasks for Obtaining Quality Research and Laboratory)

  • 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3-206
    • /
    • 2011
  • 연구기록의 생산 및 관리는 연구 품질 확보를 위한 필수전제조건이다. 연구품질보증 시스템은 연구노트를 포함한 연구기록의 품질 요건 강화를 기반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분야가 성장하고 전자연구노트 도입이 추진됨에 따라 연구의 품질보증을 위한 연구기록의 관리 방안 수립이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구개발기관들이 연구품질을 확보하는 기반으로서 연구기록을 생산, 관리하는 과정에서의 현안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기록의 품질 특성을 정리하고 국내 연구기관의 연구기록 관리현황 및 현안을 살펴본 다음 GLP(Good Laboratory Practice)를 벤치마킹하여 연구기록의 관리 요건 강화를 위한 과제를 제언하고 있다.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NTIS vs. NKIS 비교를 통해 - (An Evaluation of Web-Based Research Record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ir Improvement: NTIS vs. NKIS)

  • 강주연;남연화;오효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9-160
    • /
    • 2017
  • 연구기록의 보존 및 활용 가치가 부각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접근이 용이한 웹을 기반으로 연구기록을 서비스하는 기관 역시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그들이 제공하고 있는 연구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품질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어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기록정보서비스 대표 포털인 NTIS와 NKIS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 기관별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의 특징을 알아보고 공통된 평가 지표를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해 각 사례별 장 단점을 분석함으로써 웹 기반 연구기록정보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원자력분야 연구기록물의 체계 분석과 TOC 기반 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y Analysis and TOC-based Structuralization of Research Records in Atomic Energy Field)

  • 오정훈;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87-306
    • /
    • 2014
  • 연구개발 과정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연구기록물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최근 들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연구기록물의 유형 분석 및 구조화 방안에 대한 연구는 효율적인 지식전수체계를 위하여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록물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연구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효율적인 기록물 구조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원자력기술 연구개발 과정에서 생산되는 광범위한 연구기록물의 유형을 분석하고 체계화하였다. 둘째, 연구기록물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활용성 측면에서의 보다 효율적인 콘텐츠 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연구기록물을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계시키고자 전체 기록물을 TOC(Table of Contents)에 기반하에 데이터 연계, 검색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조화를 시도하였다.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 모형 구축 (A Study on Developing a TOC-based Research Record System Model)

  • 오정훈;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09-13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개발과정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연구개발 경험과 지식이 축적된 각종 연구기록물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TOC(Table of Contents) 기반의 연구기록물시스템 모형을 구축하고 그 활용성을 밝히는데 있다.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TOC를 기반으로 한 기술기록을 할 수 있도록 기술기록 작성 템플릿과 각 아이템에 대한 구성요소를 제시하였고, 이 TOC 기술기록과 기존의 연구기록물과의 유기적인 연결을 할 수 있도록 콘텐츠 구조화 설계를 하였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논리 스키마를 설계하였고, 연구기록물과 TOC 기술기록으로 테스트 컬렉션을 구축하였다. 아울러 통합검색을 포함하는 TOC 기술기록 검색시스템 및 활용 인터페이스 등의 설계를 통해서 연구기록물시스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분산 운영 일반시스템과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의 활용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활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연구기록물의 활용성은 기존에 분산하여 운영하고 있는 연구기록물의 일반시스템보다는 TOC 기반 연구기록물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