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개발과 기업성과

Search Result 1,36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rporations on management Performance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oon, Sun-Jung;Seo, Jong-Hyen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3 no.1
    • /
    • pp.51-83
    • /
    • 2021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how th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It also analyz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nd the non-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he samples for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in-situ data of 2,543 enterprises classified as technical innovation enterprise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hrough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s in-house technical evaluation. Variables for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were analyzed using variables such as the size of manpow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th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ratio of intangible assets, the amount of knowledge properties, the amou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the intensiveness degre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ll factors except for the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were found to affect business performance, which supported the study hypothesi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nowledge properties has had a relatively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averag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nd the non-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confirm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conducted higher values i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Analysis of Management Performance and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r SMB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과 기업성과 분석)

  • Oh,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126-128
    • /
    • 2009
  • 한국정부의 중소기업 정책을 분석하고 기업의 성과 분석을 통해 지원 정책의 유효성을 연구하였다. 중소기업의 지원 정책 과제를 창의와 혁신주도의 역동적인 중소기업군 육성, 기술경영혁신 활동 및 협력활동 강화, 자금 인력 판로 등 성장기반 구축 등 3가지로 분류한 후 기업의 성과(사업성과, 기술성과, 정책만족)와 비교하여 정책의 영향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가 추진하는 중소기업 정책에 대한 기업의 성과의 특징은 자금 지원 분야였다. 전체 24개 측정 변수에서 연구 결과 중 가장 유의미한 변수로 선정된 5개 변수는 1)벤처,이노비즈,경영혁신형기업 육성, 2)지식기반서비스 육성자금 지원, 3)기술 연구개발 지원, 4)경영안정자금 지원, 5)공공부문의 중소기업 판로 지원이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R&D Policies' Importance Percep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연구개발 정책의 중요도 평가와 기업의 경영성과와의 관계)

  • Kim, Soo-Hyun;Lee, Sang-K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498-506
    • /
    • 2018
  • Considering that firms' view on R&D activitie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economic situation, in this paper, R&D polici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are identified. The analysis is conducted by dividing the analysis time-frame into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recession. In addition, we analyze by considering the type of industry, the proportion of R&D investment, and the type of government support policy that the companies participate i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provision of global market and technology information is recognized to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for both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recession. It is shown tha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self-technology development', 'enhancing technical cooperation with foreign countries', and 'enhancing the contract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system' that had significant effects before the recess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after the recession. The analysis results could give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 for deciding which R&D activities should be supported.

기업지원 정보서비스의 품질과 조직특성 요인이 서비스 활용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Cheol-Seung;Go, Il-Sang;Jeong, Cheol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486-492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민간기업의 정보화에 소요되는 자원을 제공하여 수혜기업의 경영성과와 이를 통한 연관산업의 경쟁력 증대를 도모하는 정보화 분야의 정책적인 기업지원서비스"를 "기업지원 정보 서비스"로 정의하고, 기존 공급자 중심의 사업목표 달성여부의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연구에서 벗어나,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업지원 정보서비스 활용요인과 성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활용요인을 기업지원서비스 품질(정보, 서비스, 시스템)과 조직특성(정보기술자원의 성숙도, 조직문화)차원으로, 기업성과 차원을 정보 지향성(Information Orientation)개념과 경영성과 요인으로 구성하여 기업지원 정보서비스의 활용과 기업 성과의 영향관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는 산업정보지원센터의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 186개의 기업체 표본을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설정한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 품질과 조직문화가 활용수준에 큰 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정보지향성이 경영성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정보화 분야의 기업지원 서비스 정책 수립 방향과 개별기업의 전략적 정보 기술 활용을 위한 주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on Management Performances:Focusing on mediating effect technological capability in SMEs (CEO의 기술적 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기업의 기술적 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

  • Lee, In Ki;Yang, Dong 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2
    • /
    • pp.167-1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mediating role of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The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are taken not from subjective studies released by companies but from the Korea Technology Guarantee Fund's(KTGF) technology assessment data.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important influence on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on technological performance(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echnology spillover effect(+)) and on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mediating role of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is revealed negatively only between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Because of CEO technological capabil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start-up based on expertise show a higher probability of success than the founder.

  • PDF

Technology Policy Issues on the Effect of Technology Development Factor on Innovation Performance (기술개발 요인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술정책적 과제)

  • Kang, Seok-Min;Kim, Taew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4
    • /
    • pp.505-521
    • /
    • 2015
  • Using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located on 3th seongseo industry complex in Daegu,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chnology development factors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in terms of technology policies. Technology development factors are categorized into both fundamental based factors and external cooperation based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external cooperation based factor positively affects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is positive effect is reported in firms having more than average firm size. Under environment uncertainty, external cooperation based factor plays a key role to increase innovation performance to firms having more than average firm size. Therefore, policy making should be focused on external cooperation, not on fundamental base such as people and infrastructure, and also dissimilar policy suggestion based firm size is needed to be considered.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E's governmental support system utilization, R&D service,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중소기업의 정부지원제도 활용, 연구개발서비스와 기술혁신역량 및 기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 Chi-Kook Kim;Byoung-Ki Park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3
    • /
    • pp.19-35
    • /
    • 2023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 innovation system for SMEs as part of an innovative growth strateg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MEs in Korea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loss of industrial competitiveness due to the powerful wa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ong with the pandemic of COVID-19 that started in 2020.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it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for SMEs to pursue open innovation for survival and growth, as well as to possess excellent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or technological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fluencing factors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SMEs to effectively utilize R&D services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resources possessed by SMEs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The results of this stu dy are considered to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SMEs to secu re a competitive edge and enhance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rough government support systems and open innovation.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 향상에 관한 연구

  • 김형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4
    • /
    • pp.47-75
    • /
    • 1999
  • 지식사회, 지식경제의 등장과 더불어 기업의 자원으로서 지식(knowledge)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마케팅 전략의 한 분야로서의 신제품 전략에서도 신제품 개발과정에 있어 기업(혹은 신제품 개발 팀)의 지식과 지식의 활용 능력을 어떻게 확장할 것인가가 중요한 전략적 이슈(issue)가 된다.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시장 불확실성과 기술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와 지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기업내의 다양한 조직-특히 R&D, 생산, 마케팅-과의 지식공유·통합과정이 중요시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제품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이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NPD)과정이며 구체화 과정에서 개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둘째, 기존의 신제품 성과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는 많은 요인들을 '지식역량(knowledge competence)'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러한 지식 역량과 신제품 경쟁우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신제품 경쟁우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셋째 신제품 개발조직의 지식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기업을 지식의 결집체로 인식하고 있는 지식거점관점(knowledge based perspective)과 이러한 지식자원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조직학습(organizational learning) 이론 그리고 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분산된 인지이론(distributed cognition theory)을 활용한다.

  • PDF

디지털농업화에 따른 농업경영체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정부지원정책 프로그램 활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Choe, Seon-Ju;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97-203
    • /
    • 2021
  •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와 식량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농업화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농촌에서의 노령화에 따른 노동력부족은 스마트팜을 비롯한 디지털농업화를 더욱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고 농업이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많은 변화와 정책적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진털농업화에 따른 농업경영체의 기업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를 정부지원정책 프로그램 활용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경영체의 디지털기술혁신지향성, 운용혁신지향성, 생태계건강지향성, 기업가정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불확실한 환경 하에서 정부의 프로그램 중에서 재정적지원과 기술개발지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기업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EDI 성과제고를 위한 인과관계 지식기초의 EDI 통제모형에 관한 연구

  • Lee, Geon-Chang;Kim, Jin-Sung;Moon,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175-183
    • /
    • 1999
  • 국내 무역업무 환경이 EDI 시스템 도입 및 정부의 적극적인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EDI 시스템 도입, 활용방법, 성과측정 및 표준화에 대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기업에게 있어서 EDI 도입에 따른 성과향상 및 성과측정이라는 이슈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EDI 시스템 도입의 궁극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EDI 시스템도입에 따른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EDI 시스템 구현 및 활용방안 등에 대한 기존연구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EDI 시스템을 활용하면서 시스템에 대한 통제요인의 개발 및 통제요인간의 인과관계 확인과 요인들간의 상관성 조절을 통해서 기업 전체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EDI 통제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DI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통제요인 및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를 퍼지인식도 (FCM: Fuzzy Cognitive Map)와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EDI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는 통제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