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관지식

Search Result 60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Web Document-based Associate Knowledge Extraction Method : Applying to Bioinformatics (웹 도큐먼트 기반 연관 지식 추출 기법 : 생명정보분야에의 적용)

  • 문현정;김교정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2 no.5
    • /
    • pp.9-19
    • /
    • 2001
  • In this paper. we develop associate knowledge extraction method for finding and expanding user preference knowledge automatically from web document database. To reflect user interest or preferences, agent explores and extracts relevant information to central term involving the intent of users from the example documents. To do so, we apply association rule exploration data-mining method to the extraction of the relevant objects in the web documents. Also, to give the weighted-value to the extracted and relevant information, we present associate tag block-based weighting method. We applied to bioinformatics above associate knowledge extraction method to find related keywords.

  • PD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siderations to Apply Methods for Identifying Content Relevance between Knowledge Into Managing Knowledge Service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 파악 기법의 지식 서비스 관리 접목을 위한 정량적/정성적 고려사항 검토)

  • Yoo, Keedong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6 no.3
    • /
    • pp.119-132
    • /
    • 2021
  • Identification of associated knowledge based on content relevance is a fundamental functionality in managing service and security of core knowledge. This study compares the performance of methods to identify associated knowledge based on content relevance, i.e., the associated document network composition performance of keyword-based and word-embedding approach, to examine which method exhibits superior performance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As a result, the keyword-based approach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core document identification and semantic information representation, while the word embedding approach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F1-Score and Accuracy, association intensity representation, and large-volume document processing.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more realistic associated knowledge service management, reflecting the needs of companies and users.

User-oriented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Hierarchical and Networked Knowledge (계층형 및 네트워크형 지식지도의 사용자 관점 성능 비교)

  • Jang, Kitai;Yoo, Keedong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2 no.3
    • /
    • pp.75-89
    • /
    • 2021
  • A knowledge map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referential navigation of knowledge inquiries, i.e., cross- and sequential searches and queries on content relevance-based associated knowledge. This study performs a user-oriented test to verify which type of knowledge map, hierarchical or networked, exhibits superior performance in supporting knowledge inquiries required for problem solving. Both the effectiveness identified by the correct answer rate and the efficiency identified by the number of completion time and reference documents have been revealed superior performance in the networked knowledge map. This study's result can underpin the basic steps to develop more user-friendly and reasonable knowledge services.

Keyword-based networked knowledge map expressing content relevance between knowledge (지식 간 내용적 연관성을 표현하는 키워드 기반 네트워크형 지식지도 개발)

  • Yoo, Keed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3
    • /
    • pp.119-134
    • /
    • 2018
  • A knowledge map as the taxonomy used in a knowledge repository should be structured to support and supplement knowledge activities of users who sequentially inquire and select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The conventional knowledge map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systematically sorting out types and status of the knowledge to be managed, however it is not only irrelevant to knowledge user's process of cognition and utilization, but also incapable of supporting user's activity of querying and extracting knowledg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 networked knowledge map that can support and reinforce the referential navigation, searching and selecting related and chained knowledge in term of contents, between knowledge. Regarding a keyword as the semantic information between knowledge, this research's networked knowledge map can be constructed by aggregating each set of knowledge links in an automated manner. Since a keyword has the meaning of representing contents of a document, documents with common keywords have a similarity in content, and therefore the keyword-based document networks plays the role of a map expressing interactions between related knowledge. In order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50 research paper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n exemplified networked knowledge map between them with content relevance was implemented using common keywords.

Bayesian Automatic Document Categorization Using Apriori-Genetic Algorithm (Apriori-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자동 문서 분류)

  • Go, Su-Jeong;Lee, Jeong-Hy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3
    • /
    • pp.251-260
    • /
    • 2001
  • 기존의 베이지안 문서 분류는 문서의 특징 표현에 있어서 단어간의 의미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Apriori-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Apriori 알고리즘은 단어간의 의미를 반영한 연관 단어의 형태로 문서의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된 연관 단어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구축한다. Aprrori 알고리즘만으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지식베이스 안에 부적당한 연관 단어가 포함된다. 따라서 문서 분류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베이지안 확률을 이용하는 분류자는 최적화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를 기반으로 문서를 클래스별로 분류한다. Apriori-Genetic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 방법, 역문헌빈도를 사용한 베이지안 문서 분류 방법, 기존의 단순 베이지안 분류 방법과 비교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Associative Word Knowledge Base using Apriori-Genetic Algorithm (연역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의 최적화)

  • Go, Su-Jeong;Choe, Jun-Hyeok;Lee, Jeong-Hye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8
    • /
    • pp.560-569
    • /
    • 2001
  • 지식 기반 정보검색 시스템에서의 질의 확장은 단어간의 의미 관계를 고려한 지식베이스를 필요로 한다. 기존의 단순 마이닝 기법은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연관 단어를 추출하므로 재현율은 향상되나 정확도는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간의 의미 관게를 고려한 연관 단어 중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연관 단어만을 포함하는 정확도가 향상된 최적화된 연관 단어 지식베이스 구축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 분야의 웹문서를 8개의 클래스로 분류하고, 각 클래스별 웹문서에서 명사를 추출한다. 추출된 명사를 대상으로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관 단어를 추출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지 않은 연관 단어를 지식베이스의 구축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Apriori 알고리즘과 유전자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Apriori 알고리즘은 상호 정보량과 Rocchio 알고리즘과 비교하며, 유전자 알고리즘은 TF.IDF를 이용한 단어 정제 방법과 비교한다.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타 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타 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115-123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타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타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타 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왔다. 특히 데이타 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타 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타 제공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타 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는 관련성이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 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타 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고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타 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데이타 마이닝에서 추출된 결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로운 지식 탐색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 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검증된 지식을 토대로 일반화를 통한 새로운 가설을 생성하여 데이타 웨어하우스로부터 연관규칙을 검증하는 일련의 아키텍쳐(architecture)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데이타 마이닝 결과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데이타 웨어하우스와 데이타 마이닝 기법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연관규칙탐사에 대한 정의 및 방법을 보이고, 대상 영역에 대한 데이타 웨어하우스의 스키마를 보였다. 다음으로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표현 방법으로 Relational predicate Logic을 제안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해 Relational Predicate Logic으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론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반복적인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데이타 마이닝을 통한 귀납적 지식생성에 있어 귀납적 오류의 발생을 고메인 지식을 통해 설명가능 함을 보임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이러한 설명을 통해 연역적으로 새로운 가설지식을 생성시켜 이를 가설검증방식으로 검증함으로써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의 통합 데이타 마이닝 접근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 PDF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터 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터 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1999.03a
    • /
    • pp.115-123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 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왔다. 특히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터 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 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는 관련성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도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터 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검증된 지식을 토대로 일반화를 통한 새로운 가설을 생성하여 데이터 웨어하우스로부터 연관규칙을 검증하는 일련의 아텍쳐(architecture)를 제시하고다 한다. 먼저 데이터 마이닝 결과에 대한 설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이닝 기법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연관규칙탐사에 대한 정의 및 방법을 보이고, 대상 영역에 대한 데이터 웨어하우스으 스키마를 보였다. 다음으로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위한 지식표현 방법으로 Relational Predicate Logic을 제안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해 Relational Predicate Logic으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반복적인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귀납적 지식생성에 있어 귀납적 오류의 발생을 도메인 지식을 통해 설명가능 함을 보임으로 검증하고 아울러 이러한 설명을 통해 연역적으로 새로운 가설지식을 생성시켜 이를 가설검증방식으로 검증함으로써 귀납적 접근과 연역적 접근의 통합 데이터 마이닝 접근을 제시하였다는데 있다.

  • PDF

Knowledge graph-based knowledge map for efficient expression and inference of associated knowledge (연관지식의 효율적인 표현 및 추론이 가능한 지식그래프 기반 지식지도)

  • Yoo, Keedo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7 no.4
    • /
    • pp.49-71
    • /
    • 2021
  • Users who intend to utilize knowledge to actively solve given problems proceed their jobs with cross- and sequential exploration of associated knowledge related each other in terms of certain criteria, such as content relevance. A knowledge map is the diagram or taxonomy overviewing status of currently managed knowledge in a knowledge-base, and supports users' knowledge exploration based on certain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 knowledge map, therefore, must be expressed in a networked form by linking related knowledge based on certain types of relationships, and should be implemented by deploying proper technologies or tools specialized in defining and inferring them. To meet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for developing the knowledge graph-based knowledge map using the Graph DB known to exhibit proper functionality in expressing and inferring relationships between entities and their relationships stored in a knowledge-base. Procedure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are modeling graph data, creating nodes, properties, relationships, and composing knowledge networks by combining identified links between knowledge. Among various Graph DBs, the Neo4j is used in this study for its high credibility and applicability through wide and various application case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a knowledge graph-based knowledge map is implemented deploying the Graph DB, and a performance comparison test is performed, by applying previous research's data to check whether this study's knowledge map can yield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as the previous one did. Previous research's case is concerned with building a process-based knowledge map using the ontology technology, which identifies links between related knowledge based on the sequences of tasks producing or being activated by knowledge. In other words, since a task not only is activated by knowledge as an input but also produces knowledge as an output, input and output knowledge are linked as a flow by the task. Also since a business process is composed of affiliated task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process, the knowledge networks within a business process can be concluded by the sequences of the tasks composing the process. Therefore, using the Neo4j, considered process, task, and knowledge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re defined as nodes and relationships so that knowledge link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sequences of tasks. The resultant knowledge network by aggregating identified knowledge links is the knowledge map equipping functionality as a knowledge graph, and therefore its performance needs to be tested whether it meets the level of previous research's validation results. The performance test examines two aspects, the correctness of knowledge links and the possibility of inferring new types of knowledge: the former is examined using 7 questions, and the latter is checked by extracting two new-typed knowledge. As a result, the knowledge map constructed through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showed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as the previous one, and processed knowledge definition as well as knowledge relationship inference in a more efficient manner. Furthermore, comparing to the previous research's ontology-based approach, this study's Graph DB-based approach has also showed more beneficial functionality in intensively managing only the knowledge of interest, dynamically defining knowledge and relationships by reflecting various meanings from situations to purposes, agilely inferring knowledge and relationships through Cypher-based query, and easily creating a new relationship by aggregating existing ones, etc. This study's artifacts can be applied to implement the user-friendly function of knowledge exploration reflecting user's cognitive process toward associated knowledge, and can further underpin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knowledge-base expanding autonomously through the discovery of new knowledge and their relationships by inference. This study, moreover than these, has an instant effect on implementing the networked knowledge map essential to satisfying contemporary users eagerly excavating the way to find proper knowledge to use.

Explanation-Based Data Mining in Data Warehouse (데이터웨어하우스 환경에서의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 김현수;이창호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5 no.2
    • /
    • pp.15-27
    • /
    • 1999
  • 산업계 전반에 걸친 오랜 정보시스템 운용의 결과로 대용량의 데이터들이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여러 가지 데이터마이닝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등장은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 있어 필요한 데이터 제공 환경을 주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의 적절한 판단과 해석을 거치지 않은 데이터마이닝의 결과는 당연한 사실이거나, 사실과 다른 가짜이거나 또한 관련성 없는(Trivial, Spurious and Irrelevant) 내용만 무수히 쏟아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마이닝의 결과가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하더라고 그 정당성과 유용성에 대한 검증과정과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데이터마이닝의 가장 어려운 점은 귀납적 오류를 없애기 위해 사람이 직접 그 결과를 해석하고 판단하며 아울러 새로운 탐색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인 이러한 데이터마이닝에서 추출된 결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새로운 지식 탐색 방향을 제시하는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연관규칙탐사(Associations)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가능성 여부의 판단을 통해 검증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위해 도메인 지식(Domain Knowledge)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지식표현방법으로 관계형 술어논리(RPL : Relational Predicate Logic)를 개발하였다.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관규칙탐사로 얻어진 연관규칙에 대한 RPL로 표현된 도메인 지식으로서 설명됨을 보이게 한다. 또한 이러한 설명(Explanation)을 토대로 검증된 지식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가설을 연역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연관규칙탐사를 통해 검증한 후 새로운 지식을 얻는 설명기반 데이터마이닝 구조(Explanation-based Data Mining Architecture)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