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계시험기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00rdinated Testing between transformer Tap Selection and Inverter Voilage Control in the PV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태양광 분산 발전 시스템의 계통연계용 변압기탭 선정과 인버터전압조정 협조시험)

  • Yoon, kap koo;CHO, Seong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98-1099
    • /
    • 2015
  • ${\bullet}$ 시험대상: 영월태양광 4,990kW(998kW ${\times}$ 5호) ${\bullet}$ 13.07.31 연계기술검토의뢰 ${\bullet}$ 13.08.28 한전검토결과: 인근변전소 영월S/S(40MW) 초과로 10.8km 지점의 평창 D/L 평창간 347호 주진S/S에 다음의 보완대책과 연계 권고 ${\cdot}$ 문제점: 적정전압이탈 및 순시전압변동률 유지불가 ${\cdot}$ 연계기준만족을 위해 한전에서 제시한 보완대책 : 계통용량증설(설비보강), 연계용량 감소 및 전용선로 연계 ${\bullet}$ 14.01.09 분산형설치자의 용역사(에이스기술단)에서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정과 연계기준 만족을 위한 보완대책 제안 ${\cdot}$ 태양광발전시스템 인버터 자동전압(역률/무효전력) 조정기능 및 감시설비 구비 ${\cdot}$ 최적 공통연결점 선정: 분산형전원으로 부터 전기적으로 가장 가까운 영월D/L 영월S/S측에 개폐장치설치 하고 주진S/S 측으로 연계 ${\bullet}$ 14.01.29~06.19 한전(전력연구원)의 유효성 검토 ${\cdot}$ 보완대책 기술적 유효(실증시험 시행 후 시행공문 발송 예정) ${\bullet}$ 14.08.08 송배전용전기설비 이용규정 개정에 따른 협의 ${\cdot}$ 변압기 대당 20MW에서 25MW ${\cdot}$ 변전소 전체 60MW에서 75MW까지 허용 ${\cdot}$ 영월 S/S 측 문곡/영월 D/L 연계 공사 협의 ${\bullet}$ 14.10.04 사용전검사, 한전계통연계운전 시작 ${\bullet}$ 인버터 고정역률(99.9~100%) 운전 시험 ${\cdot}$ 14.11.21 22.9kV 계전기(SEL-751) 5대, 15분 간격 자료저장 ${\cdot}$ SEL-751/USB to RS232C/노트북 15분간격 측정(첨부) ${\bullet}$ 14.03.07 인버터 역률 95.0% 조정 15분간격 측정(첨부) ${\bullet}$ 변압기탭 선정과 인버터전압조정협조시험 계획 ${\cdot}$ 변압기탭을 현장에서 상하 1탭씩 변경 ${\cdot}$ 인버터역률을 인버터공급사에서 원격조정 ${\cdot}$ 22.9kV 보호계전기 SEL-751, 15분 간격 측정 ${\cdot}$ 인버터 370V 계전기 K-PAM DG3000/현장감시설비 연계 ${\cdot}$ 15분 간격 측정 저장 ${\cdot}$ 현장감시설비/인터넷 연결 원격측정(첨부예정)

  • PDF

Prediction of Startup Characteristic for 30 tonf Liquid Rocket Engine TP-GG-CC Coupled Test (30톤급 액체엔진 TP-GG-CC 연계시험에서 시동특성예측)

  • Moon, Yoon-Wan;Kim, Seung-Han;Kim, Chul-Woong;Seol,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62-65
    • /
    • 2009
  • This study for prediction of startup characteristics for 30 tonf liquid rocket engine TP-GG-CC coupled test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TP-GG test and prediction results. For determining the valve sequence the startup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specified program for several main valve time and the adequate valve sequence for startup could be obtained.

  • PDF

A Design and Fabrication of Hydromechanical Transmission Emulator (정유압 기계식 변속기 에뮬레이터의 설계 및 제작)

  • 방호균;이병선;김두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11a
    • /
    • pp.1078-1082
    • /
    • 1996
  • 기계적 구동장치와 연계된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에 대한 개발 시험은 비용, 공간 및 시간 등의 측면에서 제약을 받는다. 이러한 제약은 에뮬레이터를 이용한 개발 과정을 통해서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설계 제작된 에뮬레이터는 전자 제어식 변속기에 적용된 장치로서 기계적 메카니즘 없이 전자 제어 메카니즘을 완전하게 에뮬레이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제어장치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고 문제점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에뮬레이터의 개발은 수학적 모델링에 의해서, 장치에 대한 검증은 실차 시험을 통해 얻을 결과와 비교하여 수행된다.

  • PDF

Certification Test Result of After-burner Test Facility for Gas-generator of 75 tonf Class Liquid Rocket Engine (75톤급 액체로켓엔진용 가스발생기 후연소 시험설비 인증시험 결과)

  • Kim, Chae-Hyoung;Lee, Kwang-Jin;Han, Yeoungmin;Chung, Yonggah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9 no.5
    • /
    • pp.91-97
    • /
    • 2015
  • After-burner test facility for gas generators of 75 tonf class liquid rocket engines was designed, which was verified by the facility certification test of the Combustion Chamber Test Facility(CCTF). The purpose of the certification test of the after-burner test facility is to verify the combustion stability of gas torches equipped in the gas generator and the after-burner test facility by using methane and oxygen gases. In the case of the autonomous test, the supply system provided steadily methane and oxygen gases to the after-burner system without pressure drop. The combustion pressure of the gas torch approached the design requirement. In the case of the coupled test, the gas generator ignition and the fuel-rich exhaust gas combustion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leading to the verification of the test facility.

Optimum Tuning of Current Controller for Grid-connected Inverter under the Distorted Voltage Condition in Distribution System (배전계통 전압왜곡 하에서의 연계인버터 전류제어기의 최적조정)

  • Ahn, Jong-Bo;Hwang, Ki-Hyun;Park, Jun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5.07a
    • /
    • pp.532-534
    • /
    • 2005
  • 본 논문은 신${\cdot}$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분산전원용 계통연계 인버터의 전류고조파저감에 관한 연구로서 전류고조파는 진력풍질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나 전원전압의 불평형, 왜곡 및 부적절한 전류제어기의 조정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이런 목적의 달성이 어렵게 된다. 전류제어기법 중에는 동기좌표게 상에서 동작하는 전향보상부 PI 제어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전원전압 왜곡 하에서 전류제어기 이득과 전류고조파의 관계를 분석하고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PI 제어기를 최적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모의시험과 적용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xternal Fault Performance Evaluation of Grid-Connected Power Conditioning System for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외부사고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Lee, Jung-Woon;Seo, Won-Seok;Kim, Young-G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31-131
    • /
    • 2009
  • 최근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적인 전력생산 요구 등의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전력구조가 기존의 중압 집중형 발전을 탈피한 분산전원 발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분산전원으로서의 전력생산은 공급의 안전성, 경쟁력 및 에너지의 지속성 등이 요구되어지는데, 재생에너지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 지속성의 한계 및 설치의 제약성을 탈피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현재 연료전지시스템이 가장 근접해 있는 실정이다. 즉, 도시가스 인프라가 우수하고 인구조밀 지역이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각 가정 및 건물에 쉽게 설치하고 공급의 안전성을 갖는 건물용 연료전지는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산전원 시스템 중의 하나이다. 올해부터 모니터링사업의 일환으로 수용가에 설치 될 연료전지 시스템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전기와 열을 각 가정에 공급하고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가는 건물용 연료전지의 분산전원으로서의 가능성 및 국민의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연료전지시스템은 상용전력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 뿐만 아니라 상용전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연료전지시스템의 성능 및 안전성평가의 일환으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연료전지 검사를 위한 계통연계형 전력변환장치의 시험평가 항목으로는 크게 정상특성성능시험, 보호기능성능시험, 과도응답특성성능시험 및 외부사고성능시험 등으로 나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사고 성능시험 항목들인 출력측 단락시험, 계통전압 순간정전?순간강하시험 및 부하차단 시험 등을 통하여 외부사고에 대한 성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외부사고 성능시험의 주 목적은 시스템의 이상 운전이 아니라 외부의 영향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 및 전력품질을 평가한다. 출력측 단락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변환장치를 정격 출력 전압, 정격 출력 주파수 및 정격 출력에서 운전한 후, 교류 전원장치는 단락 전류를 검출하여, 사고 발생 후 0.3초 이내에 개방하도록 설정하였다. 여기서, 단락 저항 Rsc를 정격 전류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부하와 같은 값으로 설정하였다. 스위치 SWSC를 폐로하여 단락 상태를 만들며, 이 때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전류와 차단 또는 정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판정기준은 단락전류를 검출하여 0.5초 이내에 개폐기 개방 또는 게이트 블록 기능이 동작하여 시스템을 안정하게 정지시키고 시스템 어떤 부위에도 손상이 없어야 한다. 실험 결과 파워컨디셔너의 출력전류 및 차단 또는 정지된시간이 40ms로 나타났고, 출력전류의 파형도 매우 안정함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모든 실험을 수행한 결과 외부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이 안전하게 정지하는 등 연료전지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 PDF

Verification of STATCOM Controller Using RTDS (RTDS를 이용한 STATCOM 제어기 검증)

  • Choi, J.Y.;Han, S.H.;Song, J.H.;Kim, J.M.;Kim, D.H.;Lee, W.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102-10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RTDS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개발중인 STATCOM 시스템의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STATCOM 제어기와 연계하기위한 RTDS 시뮬레이터의 구성방안과 RTDS 내부에 GPC 카드를 이용한 STATCOM 인버터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간단한 계통을 구성하여 제어기-시뮬레이터 연동시험을 실시하여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Influence Analysis of Grid Connected Wind Power Generator by Line Constants (풍력발전 계통연계시 선로정수에 따른 계통 영향 분석)

  • Choy, Young-Do;Kwak, No-Hong;Jeon, Young-Soo;Jeon, Dong-Hoon;Han, Byung-Moon;Yun,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49-250
    • /
    • 2008
  • 본 논문은 고창 전력품질 실증시험장에서 실 계통 연계를 위해 시험 중인 1.5M급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의 선로정수를 PSCAD/EMTDC를 이용하여 모의하고 선로정수에 따른 풍력발전시스템이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현재 고창에 설치되어있는 전력품질 실증시험장은 22.9kV 급전선에 SSTS(Synchronous Static Transfer Switch)의 한쪽 스위치로 직접 연결되어있으며 다른 한 쪽은 전력계통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SSHG(Sag Swell Harmonics Generator)를 통하여 연결되어있다. 전력품질 향상기기중 하나인 DVR(Dynamic Voltage Restorer)는 SSTS의 부하쪽으로 직렬로 연결되어있으며 delta-wye 변압기를 통해 정류기 부하와 APF(Active Power Filter), 그리고 순저항부하와 유도성부하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SSHG를 통하여 연결된 배전선에는 DSTATCOM(Distribution Static Compensator)가 병렬로 연결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창에 있는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와 동일하게 PSCAD/EMTDC로 구성하였으며 선로정수를 모델링 하기 위해 선로모델을 10Km, 20Km, 30Km, 40Km,로 설정하여 선로정수에 따른 계통영향을 분석하여 풍력발전 시뮬레이터에서 모의가능 한 선로정수 값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500kW Grid-Connected Photovoltaic Inverter (500kW급 태양광발전용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개발)

  • Hwang, Chunhwan;Shin, Youngchan;Kim, Youngroc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242-24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00[kW]급 태양광발전용 계통연계형 인버터에 이어 500[kW]급 태양광발전용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개발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500[kW]급 태양광발전용 계통연계형 인버터는 500kVA급 상용주파수 변압기 절연방식으로 3상3선식 380V/60Hz를 출력한다. 본 논문에서는 500[kW]급 단일용량 인버터를 개발함에 있어, 계통연계 시험, 발전량에 따른 효율과 THD 등의 결과를 보이고 있다.

  • PDF

Field Operating of 3MW EBOP system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Generation (용융탄산염 발전용 연료전지 3MW급 EBOP 시스템 현장 실증)

  • Jang, Ju-Young;Joung, Woo-Taek;Lee, Jeong-Hum;Mo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74-75
    • /
    • 2011
  • EBOP(Electrical Balance of Plant)는 연료전지 출력인 DC 전원을 전력변환기술을 이용하여 계통 전원에 연계하는 계통 연계 인버터 시스템이다. 포스코파워에서 개발한 3MW급 EBOP 시스템은 국제 규격(IEEE std.1547, UL1741)에 의한 성능 검증 시험을 거치고 국내 2개 현장에 5기를 적용하여 운전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