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사인식

검색결과 815건 처리시간 0.022초

역사적 관점에서 일본의 사회보장의 체계와 경제구조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Japan's Social security System and It's economic structure)

  • 정성범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3-72
    • /
    • 2013
  • 일본은 한국과 역사적 문화적으로 많은 공통적 유사성을 띠고 있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은 경제발전의 여건이 유사하면서 사회보장제도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세계 경제대국인 일본의 사회보장제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우리의 실정에 부합하는 일본 사회보장제도의 도입과 보완 그리고 일본 사회보장제도의 확충과 발전을 도모함에 있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의 사회보장제도를 역사적 관점에서 이론적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일본의 사회보장제도의 구조를 분석하며 그 성립과 발전의 과정을 경제적 사회적인 발전의 배경하에 개관하고 그 현황을 분석하고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오늘날 일본이 당면한 사회보장제도의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그 발전을 전망해 보는데 있다.

  • PDF

지역문화자원으로 본 안동중앙극장 인식 (Perception of Andong Joongang Cinema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 김용남;정낙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9-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유일의 예술영화관인 안동중앙극장이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지역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문화자원 관련 선행연구 조사와 안동중앙극장 및 예술영화관 관련 자료를 토대로 지역문화자원과 안동중앙극장의 기능을 분석하고 상관성을 검토하여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안동중앙극장의 인식을 위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제안된 분석틀을 토대로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안동중앙극장에 대한 인식을 문화·예술향유로서의 인식, 역사성으로서의 인식, 관광지로서의 인식, 커뮤니티형성으로서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중앙극장은 지역문화자원의 세 가지 기능인 정체성, 전통성, 공동체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안동중앙극장은 지역의 문화자원으로써 기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자원들은 단독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그 지역의 역사와 주변 환경의 흐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다. 안동중앙극장 역시 지역문화자원으로써 지역의 역사성을 지키며 문화예술의 향유공간이자 관광지로서, 대중과 소통하는 문화 공간으로써 그 기능을 하고 있다. 추후 안동중앙극장이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지속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를 중심으로 본 한국의 에스닉(ethnic) 노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thnic Labor in Korea: Focused on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Job of Marriage Migrant Women)

  • 김경희;허영숙
    • 아시아여성연구
    • /
    • 제53권2호
    • /
    • pp.75-11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새로운 직업인 통번역사의 창출 배경과 노동 경험을 분석하여, 통번역사 노동이 가진 에스닉 노동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인 통번역사의 에스닉화된 노동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의 창출 배경은 차별배제적 성별화된 한국 이주정책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는 정주가 부인되고 취업이 제한되는 반면,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가족에의 편입을 전제로 한 포섭과 지원의 대상이기 때문에 통번역사로 고용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통번역사라는 직업은 이주노동시장에서 비교적 좋은 일자리로 인식되지만, 실제 노동조건은 한국 노동시장 내에서 저임금과 불안정 고용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닉 층화구조의 하층에 위치하고 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들은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들에게 자신의 이주 경험과 언어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중립적 통역자이기도 하지만, 실제 노동과정에서 선주민의 차별과 불신을 경험하면서 그들의 대변인으로서의 역할과 자신 또한 이주여성이라는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결론에서는 직업으로서의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의 지속 가능성을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와 노동시장 전망에 대한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수리철학과 수학의 역사에서 직관 (The Intuition in History of Mathematical Philosophy and Mathematics)

  • 이대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30
    • /
    • 2005
  • 직관은 참된 지식을 발견하는 도구이며 문제해결 과정에서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발현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직관에 의해 우리는 자명한 사실을 즉각적으로 인식하며, 수학적 사실을 발견하는 힘을 부여받는다. 따라서 직관은 논리와 더불어 수학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중요한 주제이다. 인 글에서는 수학 교수$\cdot$학습에서 직관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 직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수리철학의 역사와 수학적 발견의 역사에서 직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PDF

자유교육의 전통과 하버드 교육 (Tradition of Liberal Education and Harvard Education)

  • 차제순;이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85-392
    • /
    • 2014
  • 본고는 하버드의 교양교육이 자유교육으로서 어떠한 역사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오늘날 대학교육의 원형인 자유교육의 의미를 역사적으로 개괄해 보았고, 자유교육의 전통에서 가장 끝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하버드 자유교육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은 "대학의 특성화와 구조조정"의 문제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는 우리 대학들이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더 생각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더듬어 볼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대학들의 혼란은 대학교육을 학부교육과 대학원교육으로 구분하지 않는데서 기인한다. 학부교육은 학습자의 "liberalize"를 목표로, 전문대학원을 포함한 대학원은 전문적인 지식교육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우리 대학들의 인식은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인식 부족은 대학의 학사구조와 교양교육의 왜곡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고찰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근대시기 일본이 바라보는 한국에 대한 시선 -일본사회의 담론과 교과서의 한국관련 콘텐츠를 중심으로- (The Japanese View to Korea in Early Modern Era -Focusing on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and Korea-related Contents in Textbooks-)

  • 박소영;정예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33-642
    • /
    • 2016
  • 이 글은 근대시기 일본의 한국인식을 당대의 한국 담론과 교과서 콘텐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민족성, 역사인식, 한국의 사회상으로 주제를 설정하고 교육 잡지를 중심으로 각 주제에 관해 형성되었던 담론과 이들 담론들이 투영된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의 서술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민족성에 관해서는 나태 무기력 미개라는 단어로 대표되는 부정적 측면에서 인식하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역사를 수동적, 타율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무능한 국가운영으로 인해 부정적 민족성이 형성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독립을 유지할 능력이 없는 한국은 일본과 동양의 평화를 위협하는 존재이며 결국은 한일강제병합에 이르렀다는 것이 한국 역사에 대한 인식이다. 또한, 일본이 한국사회를 평가하는 척도는 서구식 문명화였으며 한국사회의 모습을 문명 문화의 정도가 낮은 전근대적 사회로 규정하고 있었다. 근대시기 일본에서 형성된 한국에 대한 담론에는 근대국가로 탈바꿈한 일본의 자신감과 제국주의의 길을 걷게 된 일본의 지배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었고 이와 같은 담론은 교과서와 지도서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확산되고 있었다.

아프리카 대륙의 식민 역사 : 프랑스부터 중국까지 (On the Colonial History of African Continent : From France to China)

  • 김태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41-551
    • /
    • 2018
  • 본 논문은 아프리카 대륙의 식민 역사에 대한 소고이다. 아프리카 대륙은 고대 그리스와 고대 이집트 시기부터 '인류의 고향' 혹은 '따뜻한 지역' 등으로 불리던 인류의 발원지였다. 하지만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서양 국가들은 15세기부터 아프리카 대륙 곳곳을 유린하며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건장한 남성들을 노예로 잡아갔으며 주요 자원들을 빼앗아갔다. 이러한 불행의 역사는 20세기 중반,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운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표면적으로는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제무대에서 동등한 파트너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들은 독립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가난하고 힘없는 대륙일 뿐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21세기 들어서면서 아프리카의 위상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 이상 아프리카 대륙을 가난한 지역으로 인식하지 않고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새로운 시장이라고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 변화에 주목하면서 전통적으로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들의 전통적 식민 지배 역사를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최근 새로운 시장으로 인식하며 아프리카의 환심을 사고 자국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있는 중국의 새로운 형태의 접근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등장한 아프리카 대륙의 현실을 보다 냉철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 사례 연구 - 지역 역사교사모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Archival Seeking Behavior of Korean History Teachers in High Schools: Focused on the Local Communities of History Teachers)

  • 정경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77-396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 고등학교 역사교사의 기록물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3번의 사전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2개 지역 역사교사 모임 회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록물과 기록관에 대한 인식, 기록물 이용현황, 기록물 탐색경로, 기록물 이용시 장애요인 및 서비스 방안 등 크게 4개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설문에 참여한 역사교사들은 주로 학생들의 역사적 이해력이나 자료에 대한 해석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수업에서 기록물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일정이나 교사의 시간 부족 등은 기록물 이용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설문참여자들은 향후 수업에서 기록물이 활발히 이용되기 위해서는 기록물을 통합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DB가 구축되어야 하며, 기록물에 대한 해석 등이 부여된 가공된 형태의 자료집 등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PDF

민족 수학의 뿌리

  • 박용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377-386
    • /
    • 2001
  • 역사의 시작은 어디인지 아득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헌을 통한 과학적인 신뢰성을 갖게 되는 실질적인 방법이 원칙이다. 하지만 이런 연구가 거의 전무한 우리 수학의 뿌리에 대한 연구는 문헌 연구가 그 기반을 이룰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 역사의 뿌리를 수학적 관점에서 한 분야로서 여러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특히 사학 연구를 활용하여 수학의 뿌리를 찾으려고 하며, 민족 신화(단군신화) 이전의 경전인 천부경(天符經)의 사상을 기초로 한 동양 사상과 철학의 배경으로 그 위상을 세우고자 한다. 결코 우리 민족의 우수성과 고난의 시절에서 많은 상황적 변화로서 와전되어 있는 부분도 있지만 이를 해석한 여러 문헌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하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주로 신라 시대의 석학인 최치원 선생에 의해 천부경 81자의 한자로 구성되어 해석한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특히 한민족의 언어가 아닌 한자로 우리의 언어와 사상이 기록되어 있고, 이 민족의 침입으로 인한 민족 문화의 말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에 어려움을 인식하고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민족 수학의 뿌리를 찾아 민족의 수학사를 인식하는 계기를 주고, 자주적인 민족 정서의 수학 교육에 첫 걸음을 내딛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 PDF

『사기』와 『역사』에 담긴 기록학의 기초 역사-인간[Homo Historicus], 사마천과 헤로도토스 (A Study on the Archival Basis of History by Simaqian and Herodotus)

  • 오항녕
    • 기록학연구
    • /
    • 제65호
    • /
    • pp.365-396
    • /
    • 2020
  • 이 논문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와 지중해의 두 역사가, 사마천(司馬遷)과 헤로도토스(Herodotos)가 남긴 두 역사서에 대한 오해를 검토한 글이다. 그 오해란 이들 역사서가 '나름의 상상으로 지어낸 것'이라는 류의 선입견을 말한다. 지어낸 것이 역사가 될 수 있을까? 2장과 3장에서는 사마천의 『사기』,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편찬, 집필과정을 살폈는데, 사적(史蹟)의 답사, 구술(口述)의 채록, 기록의 정리라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인식을 기초로 4장에서는 역사가 허구일 수 있다고 보는 일련의 오해 또는 왜곡의 저변에는 사마천과 헤로도토스의 기록 활동에 대한 오해, 경험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기록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기』나 『역사』 같은 역사서를 문학적 허구라는 관점에서 보는 견해는 역사 뿐 아니라 문학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오해나 왜곡은 한국 역사학이 기록학이라는 기초를 소홀히 한 데도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근대 분과(分科) 학문의 관점에서, 또는 국민국가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역사학의 범주를 좁게 설정하면서 나타난 부작용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남긴다는 것은 "이 행위, 인물, 사건은 인간 기억 속에 살아 남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데서 출발할 것이다.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의 것이건 야만인의 것이건 간에 빛나는 공적들이 어느 날 명성도 없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였고, 사마천은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들도 덕행을 닦고 명성을 세워 후세에 이름을 남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이렇듯 『사기』와 『역사』는 실제 있었던 인간의 경험을 남긴 역사서이다. 여기에는 "인간은 서로 다르다"고 이해하는 존재의 확장이 있다. 특정한 시공간(時空間)에서 "민족들은 서로 다르며", "이집트에서 여자들은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들은 쭈그리고 앉아서 오줌을 누는" 것처럼 풍속과 전통이 다른 것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여 다름을 이해하기에 이르는 데 초석이 되는 인간의 지적(知的) 활동으로, 그 활동이 사실(事實)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인문(人文) 영역이 역사였다. 인간의 경험에 대한 호기심 넘치는 탐구와 기록, 그 결과 나타난 『사기』와 『역사』, 그리고 이의 보존과 전수는 인간이 호모-히스토리쿠스(Homo-Historicus), 호모-아르키부스(Homo-Archivus)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