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최성은. 2012. 헤로도토스와의 여행(Podrooze z Herodotem)에 나타난 리샤르드 카푸시친스키의 저널리즘 철학. 동유럽발칸학, 14(1), 서울.
|
2 |
오항녕. 2013. 역사기록, 그 진실과 왜곡 사이-무적함대가 졌다 스페인은 건재했다. 신동아, 서울: 동아일보사.
|
3 |
김귀옥. 2014. 구술사 연구, 서울 : 한울.
|
4 |
노암 대로. 2014. 300: Rise of an Empire. LA : Warner Brothers Pictures, Inc.
|
5 |
김영수. 2016. 사기를 읽다 쓰다, 서울 : 위즈덤하우스.
|
6 |
김봉철. 헤로도토스와 그리스 신화 서술. 서양고전학연구, 27, 서울 : 한국서양고전학회.
|
7 |
오항녕. 2017. 역사학과 기록학. 기록학연구, 54, 서울: 한국기록학회.
|
8 |
정인철. 2018. 여행기와 지리서로서의 헤로도토스의 역사. 문화역사지리, 30, 서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9 |
오항녕. 2019. 유시민의 역사의 역사에 대한 소감 , . 프레시안, 서울: 프레시안.
|
10 |
Herodotos. Histories Apodexis(천병희 역. 2009. 역사, 서울 : 도서출판숲).
|
11 |
Ibn Khaldun. al-Muqaddimah(김호동 역. 2003. 역사서설, 서울: 까치).
|
12 |
李宗侗. 1965. 中國古代의 史官制度(閔斗基 編. 1985. 中國의 歷史認識上, 서울: 창작과비평사).
|
13 |
Jorg Fisch. 1992. Zivilization/Kultur, Stuttgart:Klett-Cottta(안삼환 옮김. 2007. 코젤렉의 새념사사전1-문명과 문화, 서울 : 푸른역사).
|
14 |
內藤虎次郞. 1949. 支那史學史 弘文堂; 東京.
|
15 |
오항녕. 2010. 기록한다는 것, 서울 : 너머학교.
|
16 |
김영수. 2014. 사기를 읽다, 서울 : 동양고전강의.
|
17 |
유시민. 2018. 역사의 역사, 서울: 돌베개.
|
18 |
오항녕. 2018. 실록이란 무엇인가, 서울 : 역사비평사.
|
19 |
James C. Scott. 2017. Against the Grain,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전경훈 옮김. 2019. 농경의 배신, 서울: 책과함께).
|
20 |
孔子. 春秋. 北京: 中華書局.
|
21 |
司馬遷. 史記. 北京: 中華書局(김원중 역. 2015. 사기, 서울 : 민음사).
|
22 |
劉知幾. 史通(오항녕 역. 2016. 사통, 서울 : 역사비평사).
|
23 |
Chavannes. Edouard. Introduction des memoires historiques de Se-ma-Tsien(岩村忍譯. 1974. 司馬遷と史記, 東京 : 新潮社).
|
24 |
김봉철.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사료비판 사례. 서양고전학연구, 9, 서울 : 한국서양고전학회.
|
25 |
宮崎市定. 1996. 史記を語る, 東京 : 岩波書店(이경덕 역. 2004. 자유인 사마천과 사기의 세계, 서울 : 다른세상).
|
26 |
藤田勝久. 2003. 司馬遷の旅 : 史記の古跡をたどる(주혜란 역. 2004. 사마천의 여행, 서울 : 이른아침).
|
27 |
김경현. 2005. 헤로도토스를 위한 변명. 서양고전학연구, 24, 서울 : 한국서양고전학회.
|
28 |
윤진. 2005.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문학적 장치로서의 신탁과 꿈. 서양고대사연구, 17, 서울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29 |
잭 스나이더. 2007. 영화 300, LA : Legendary Pictures.
|
30 |
윤택림 편역. 2010.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서울 : 아르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