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자 고등학생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28초

청소년기 교정환자의 치료 협조도와 연관된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reatment compliance in adolescent orthodontic patients)

  • 김진이;차봉근;이남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7-188
    • /
    • 2004
  • 교정치료 시기의 적기이며 내원 환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청소년기 교정환자의 치료 협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파악하고자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10개월 이상 동적 치료를 받은 중학교 1학년 이상, 고등학교 3학년 이하 남녀 청소년 60명 (남자 23명, 여자 37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치료 협조도를 비교하고 성별, 학령, 치료 협조도에 따른 교정적 태도 척도, 교정용 내외통제소재 척도를 측정,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정용 내외통제소재 척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외적통제-부모의 항목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으며(p<0.05)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외적통제-부모의 양상을 나타내었다. 2. 교정용 내외통제소재 척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협조적인 환자 군과 비협조적인 환자 군간에 외적통제-부모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인정되었으며(p<0.05) 교정치료에 대해 협조적인 군에서 외적통제-부모에 대한 인식이 보다 높았다. 3. 교정 치료를 권유하거나 치료받기를 결정한 사람과 치료시의 협조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으며(p<0.05) 환자 자신의 결정에 의한 경우 가장 높은 협조도를 나타내었다. 4. 치료기간과 협조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p<0.05)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협조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5. 교정적 태도 척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성별, 중학생과 고등학생간, 협조적인 환자군과 비협조적인 환자군 사이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교정치료 시 협조정도와 한자의 성별, 연령, 가족관계, 부모의 직업 및 학력, 학업성적, 양치횟수 등의 변인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 민감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아상-우울-불안-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 신민섭;소준현;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61-6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우울, 불안, 그리고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자아상이 부정적인 청소년들이 자아상이 긍정적인 청소년보다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대인 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두번째로는 낮은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 아니면 낮은 자아상을 가진 청소년들이 우울이나 불안감을 더욱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지 그 인과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총 1,602명 (남자 697명, 여자 905명)에게 Offer의 자아상 척도와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하위 척도중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를 실시한 후, 자아상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상이 낮은 집단이 자아상이 높은 진단에 비해 우울.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점수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상과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LISREL로 분석한 결과,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자아상이 낮은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불안과 대인 공포를 발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고. 사회 공포증 청소년 환자에 대한 치료및 예방에 있어 임상적 시사점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 PDF

CMC 환경과 상호작용 유형이 과학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MC-Environment and Interaction-Types on th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 이정선;유정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625-6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FTF) 환경과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MC) 환경 사이의 차이를 과학 학습 성취도와 만족도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은 교수자-학습자(TS)와 학습자-학습자(SS) 상호작용 유형들 간의 차이에 대하여도 함께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충북 충주 소재의 C여자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3개 반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5월 정규수업과 병행하여 3주 동안 학습 활동을 한 후에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 검사를 다음의 네 집단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CMC-TS, CMC-SS, FTF-TS, FTF-SS. 각각 5문항과 13문항으로 구성된 학업성취도와 만족도 측정을 위한 검사지는 통계 분석되었다. 각 집단간 학업 성취도의 평균 점수는 CMC환경을 이용한 집단(CMC)과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한 집단(TS)에서 높았다. 변량분석에 의하면, CMC환경에서의 학업 성취도 및 만족도는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CMC-SS)에 비하여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강조한 학습활동(CMC-TS)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면대면 (FTF) 환경에서도 TS 활동 (FTF-TS)이 SS 활동 (FTF-SS) 에 비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만족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의 경우에 환경에서는 CMC환경이, 그리고 상호작용에서는 TS 활동이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환경하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을 강조한 활동이 과학 교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상당히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광물자원에 관한 스마트수업 모듈 개발 및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the SMART Instructional Modules about Mineral Resource)

  • 박수경;정아름;이상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46-25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광물자원에 관한 세 가지 유형의 스마트수업 모듈을 개발 적용한 후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으로 실험집단 100명, 통제집단 111명이다. 실험집단에게는 태블릿 PC를 2인당 1대 제공하고 세 가지 유형의 스마트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광물에 대한 흥미도 검사는 5단계 리커트 척도의 10문항을 사용하였고, 이해도 검사는 광물, 광상, 광물자원의 생성과정 등에 대한 15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광물과 광물관련 학습에 대한 흥미 범주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광물과 암석을 직접 관찰하고자 하는 탐구의욕 범주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광물에 대한 이해도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상위수준 학생들에게 스마트수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수업의 장단점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관련 자료를 찾고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을 만드는 경험을 흥미롭게 느끼며 장점으로 인식한 반면, 정보량이 많아 의견조율 및 의사결정이 어려운 점을 단점으로 지적하였다.

여중고생의 혁신과 또래압력이 색조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novation and Peer Pressure on Color Make-up Behavior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남헌일;송기유;이재의
    • CRM연구
    • /
    • 제3권2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특성상 획일적인 유행현상으로 인한 동조소비나 독특한 집단문화의 확산 등을 볼 때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서도 그들만의 특성을 지닌 영향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이들의 개인적 특성 및 사회적 준거집단에 대한 영향력을 통해 화장행동의 고도화 및 일탈행동으로 이어지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여자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색조화장을 하는 정도와 동료 간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총 29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있어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혁신과 또래압력 수용정도에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또래압력에 부(-) 영향관계를 예측하였으나, 정(+)의 관계를 나타내 또래집단의 특성상 자신에 대한 확신이 높다하더라도 집단에 동조하는 등의 여중고생의 심리적 특성을 나타냈다. 둘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은 혁신과 또래압력정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내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가시성이 높은 타인의 눈에 쉽게 인식되는 정도이더라도 새로움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가시성은 또래압력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또래집단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여중고생의 화장에 대한 혁신과 또래압력이 화장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행동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은 혁신보다는 동료 압력에 의한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나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은 또래 압력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여중고생의 화장행동의 고도화는 화장만족과 일탈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중고생의 색조화장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 교복변형, 헤어스타일, 화장을 중심으로 - (Appearance Management Activitie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Star-Entertainer Imitation - School Uniform Modification, Hairstyle, and Makeup -)

  • 최나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5-189
    • /
    • 2012
  •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외모관리행동 즉, 교복 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에 거주하는 여자고등학생 379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북지역 여고생들은 연예인 모방유형에 따라 적극적 수행형, 심리적 욕구형, 연예인 호감형으로 분류되었다. 연예인 모방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높았던 적극적 수행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 경험이 가장 높았으며, 드라마속 연예인이 입고 나오는 교복스타일을 따라해 보고 싶어하고, 연예인 교복스타일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 있는 등 연예인 교복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최신 유행헤어스타일을 인식하고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을 선호하는 등 헤어스타일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매일 기초화장을 하고, 화장법을 배우고 싶어하는 등 화장 관리행동에 더 적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연예인 모방 행동과 모방욕구의 평균이 가장 낮았던 연예인 호감형 여고생들은 교복변형행동, 헤어스타일 관리행동, 화장 관리행동 등에 소극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에게 바람직한 매스미디어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교사들은 청소년들에게 합리적인 모방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면 의생활지도에 있어서 효율적인 교육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원주지역 여고생의 체중감량 시도 여부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영양지식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itud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by Weight Control Attemp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Wonju Area)

  • 이경원;김복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1-105
    • /
    • 2008
  • 본 연구는 원주지역 여자고등학생 50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체중감량 시도 여부에 따라 체중조절 태도, 체중조절과 관련된 생활습관, 영양지식, 식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 중 체중감량을 시도한 여고생은 284명(58.4%)이었으며, 체중감량 시도군의 94.7%, 비시도군의 60.7%는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체중감량 시도군의 85.2%와 비시도군의 50.3%는 자신의 체형에 불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 시도군의 21.8%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여 비시도군(5.5%)의 운동자 비율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대상자의 영양지식점수는 평균 14.3점(20점 만점)으로 체중감량 시도군(14.5점)은 비시도군(13.9점)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특히 균형식, 체중조절 관련 지식 등의 항목에서 정답률이 높았다. 식행동은 평균 31.3점(가능점수: $15{\sim}445$점)으로 보통인 편이었고, 특히 식사속도, 다양한 음식섭취, 식품군별 섭취빈도(유제품, 해조류, 식물성 유지)에서 문제가 나타났으며, 체중감량 시도군은 비시도군에 비해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 음식을 먹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고생들에게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체형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주는 영양교육을 해야 할 것이며, 이들에게 올바른 체중조절을 위한 방법과 바람직한 식생활 행동을 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여자 중 . 고등 학생의 최대 산소 섭취량 (Maximal Oxygen Uptake in the Secondary School Girls)

  • 정일동;남기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권2호
    • /
    • pp.11-20
    • /
    • 1968
  • Maximal oxygen uptake was measured in thirty-three secondary school girls by means of the treadmill test. Eighteen middle school girls aged 14.0 (range: $13.0{\sim}15.9$) years and fifteen high school girls aged 16.9 (range: $16.0{\sim}18.0$) years served as subjects. Maximal treadmill run lasted for 2 minutes and 20 seconds and the expired air was collected in a Douglas bag through a J-valve during the last one minute period. In general, absolute values of various measurements in the high school girls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middle school girls. When values were expressed on the body weight or lean body weight basis, however, work capacity of middle school girls was superior to that of the high school girls.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1. In middle school girls maximal oxygen uptake was 1.78 l/min., 47.4 ml/kg body weight, 12.3 ml/cm body height, and 61.7ml/kg lean body mass. In high school girls maximal oxygen uptake was 1.93 l/min., 39.7ml/kg body weight, 12.3 ml/cm body height, and 51.2 ml/kg LBM. Although the absolute value of maximal oxygen uptake was greater in high school girls than in middle school girls, values expressed on the body weight basis showed the reverse trend, namely, values of the middle school girls was great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girls. 2. The ratio of maximal to resting oxygen uptake was 8.8 in the middle school girls and was 10.2 in the high school girls. 3. Maximal pulmonary ventilation in the middle school girls was 55.3 l/min. and 66.1 l/min. in the high school girls. The ratio of maximal to resting pulmonary ventilation was 10.2 in the middle school girls and 10.1 in the high school girls. 4.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maximal oxygen uptake was relatively high, namely, r=0.79 both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ody weight and maximal pulmonary ventilation was a little less that of between maximal oxygen uptake and showed a value of r=0.60 both in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The lean body mass was a poor reference of maximal oxygen uptake or maximal pulmonary ventilation as compared to body weight. The correlation between maximal oxygen uptake and maximal pulmonary ventilation was high an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in middle school girls was 0.927 and in high school girls it was 0.856. 5. Maximal ventilation equivalent was 30.9 liters in middle school girls and 33.9 liters in high school girls. This indicated that no hyperventilation was induced during the maximal of oxygen uptake exercise period as related to the maximal oxygen uptake. 6. Heart rate reached to the peak value within 1.5 minutes after beginning of maximal oxygen uptake run and remained at the same peak plateau level throughout the entire running period. Heart rate decreased steeply on cessation of running and subsided slowly thereafter. The maximal heart rate was 184 beat/min. in middle school girls and 189 beat/min. in high school girls. 7. Maximal oxygen pulse was 9.4 in middle school girls and 9.9 ml/beat in high school girls.

  • PDF

한국형 자가평가 우울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 이중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292-305
    • /
    • 1995
  • 우울의 존재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1994년 8월 부터 1995년 6월까지 검사 당시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 그리고 일반 성인 및 그 가족을 중심으로 남자 173명(51.8%), 여자 161명(48.2%)으로 총 3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종합 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를 제거하고 SPSS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시행하여 각 문항간의 상관관계 및 문항 내적 상관도를 구하여 SDS의 신뢰도를 검증한 후, SDS의 문항 구성에 대한 내용을 알아 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우울 접수의 평균은 $40.60{\pm}8.66$이였고, 전체 우울 점수의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1.1%(37명)이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 검증에서는 검사-재검사의 신뢰도 계수는 0.82(p < .001), 항목-전체간의 상관계수의 평균치는 0.42(0.08-0.65), 내적 일관성은 0.84(p < .001)을 나타내어서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요인분석에서는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우울이 여러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도 시사한다. 우울척도에서 항목별로 높게 평가한 상위 문항들은 혼동, 우유부단, 성욕감소, 일주기성 변화 및 정신운동 지연 등의 순서이었고, 항목별 하위 문항은 자살사고의 반추, 정신운동 흥분, 변비, 과민성 및 체중감소 등의 항목이었다.

  • PDF

도시지역 일부 여자고등학생들의 월경통과 관련요인 (Dysmenorrhea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Women's High School Srudents in an Urban Area)

  • 신수희;양혜경;조영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1-101
    • /
    • 2007
  • Purpose: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reveal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hysique of adolescent women and dysmenorrhea,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frequency of dysmenorrhea.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511 girls of a women's high school in Daejeon city and they were, during the period of March 1st through April 30th, 2005, give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bout frequency of menstruation, age, physique, exercise, and such menstruation-related items as age of menarche, menstrual period and days, and amount. Results: As with the frequency of dysmenorrhea, 38.4% experienced it 「always」, 44.6% 「occasionally」, and 17.0% 「almost scarcely」, and those with dysmenorrhea accounted for 83.0%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of dysmenorrhea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BMI and HPI. However, the lower the age of menarche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menstrual flow, the more frequent dysmenorrhea. The symptoms of dysmenorrhea included the highest frequency of low back pain(68.5%) and it was followed by abdominal pain(65.9%), sensibility(54.0%), fatigue(51.7%), and nervousness(49.5%). These accompanied symptoms tended to be worse as the frequency of dysmenorrhea increased.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ve risk of frequency of dysmenorrhea is 2.2 times in age of 14, by a standard age of 15 as menarchial age, 2.2 in 13, and 3.1 in below 12. The menstrual days was 3.0 times in both below 2 days and over 8 days with the standard days of 3-7 days. The menstrual amount was 1.9 times in the group with a greater amount of menstrual bleeding and 1.5 times in the group with a less amount than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rate of experiencing dysmenorrhea was up to 83.0% and 38.4% from these had dysmenorrhea upon every menstruation. It is thought that dysmenorrhea could be a great disadvantage sufficient to impair optimal health to a larger body of school girls. Further, for quality of life, it is required that more fundamental strategies instead of pain killers or others for palliation of dysmenorrhea would be established among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