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자바지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서울시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의 바지교복에 대한 착용실태 및 인식 (The perception of girls'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on the usage of trousers as school uniform)

  • 김성실;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7-148
    • /
    • 2010
  • 바지교복의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시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바지교복 착용현황과 바지교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하의교복으로 동복과 하복 모두 '스커트만 착용'이 가장 많았으며, '바지만 착용'은 하복보다 동복에서 높게 나타났다. 스커트를 착용하는 이유는 동복과 하복 모두 '다수의 친구들이 스커트를 입어서'가 가장 많았고, 하복의 경우 '바지교복이 없어서'가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바지교복은 동복은 '온도변화에 대처할 수 있어서', 하복은 '활동이 편리해서' 주로 입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지교복 착용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바지교복 디자인과 색상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바지통이 좁은 스타일'과 '스트레이트 스타일'의 디자인을 선호하고, 색상은 동복과 하복 모두 검정색, 다음으로 베이지와 청색계열을 선호하였다. 여학생들은 바지교복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동복과 하복 모두 바지를 착용하는 집단은 필요성을 높게, 스커트만 착용하는 집단은 낮게 인식하였다. 바지교복은 추위에 견디기 좋으며 활동하기에 편하지만 외모를 돋보이게 하거나 개성을 잘 표현할 수 있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바지를 착용하는 집단은 스커트만 착용하는 집단보다 바지교복이 옷차림에 신경을 떨 쓰게 하고, 방과 후에 입고 다니기 좋다고 하였다. 바지교복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디자인과 색상의 개선, 기능성의 증가, 홍보의 필요성 등이 나타났다.

  • PDF

고구려 벽화 의복에 관한 연구 - 집안지역과 평양지역 벽화의 비교연구 - (A Study on Kokuryo's Costumes of the Mural Tombs - Comparison between area of Jipan and Pyongyang -)

  • 김정호;이미석
    • 복식
    • /
    • 제55권3호
    • /
    • pp.94-107
    • /
    • 2005
  • Kokuryo mural tombs are located in Jipan and Pyongyang, where were capital Cities of Kokuryo.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performed about costumes in Kokuryo mural tombs so far, the studies comparing regional differences are ra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about the costumes in Kokuryo mural tombs between Jipan, where was the capital city in early period (BC37-AD426) and Pyongyang, where was the capital city for 241 years after the King Jang Su moved.(AD427-AD66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Jipan and Pyongyang in the shape of Chima(skirt) and the direction of Yeomim (adjusting the necklines). While there was only one type, long and narrow pleated skirt in Jipan area, another type of Chima was existed in Pyongyang area including the one in Jipan. Also, the direction of Yeomim was different. Left was popular in Jipan while it was right in Pyongyang. Moreover there are no man's Po(coat) with straight collar which was considered as a basic shape in Kokuryo mural tombs costumes so far. Also we found that Baji(pants) was an ordinary woman's costume, not only for underwear.

졸업작품 패션쇼 모델의 치수에 적합한 원형 연구 (A Study on Block Patterns for of Korean fashion Models)

  • 박상희;강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99-1011
    • /
    • 2008
  • 국내 패션관련 교육기관은 대부분은 졸업작품 쇼를 행하고 있는데, 학생들이 직접 제작하는 작품 쇼의 경우는 시간적, 경제적 인 여유 부족과 정확한 모델 치수 및 이에 따른 인대와 원형패턴의 부재로 의상 제작 후, 사이즈 수정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졸업작품 진행 과정의 문제점과 필요한 원형의 종류를 조사하고, 현역 A급 모델의 신체 치수를 계측하여 표준 사이즈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이템에 따른 원형을 제작, 이를 현역 모델에 착장하여 졸업 쇼를 위한 기본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졸업작품 쇼는 학교에 따라 진행하는 과정과 기간에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모델 가봉 후 수선 정도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상을 새로이 제작하여야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모델 사이즈의 기본원형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나타났다. 모델의 신체 계측결과 모델은 일반인에 비해 슬림하고 가는 체형이며 키가 크고 다리가 길다. 여자의 경우 어깨너비가 일반인에 비해 넓지만 가슴둘레와 허리둘레는 더 가늘게 나타났으며 어깨를 편 바른 자세여서 뒷품과 앞품의 차이가 적었다. 이는 남자 모델의 경우도 같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다리길이와 소매길이의 비율이 크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토르소와 스커트, 바지패턴을, 남자의 경우 재킷과 바지 패턴을 머슬린으로 제작하여 현재 활동 중인 A급 남녀 모델 각각 2명씩에게 착장하였다. 제작원형들은 그 맞음새가 모두 적절하였고 남녀 모두 상의 경우는 편차가 적은 어깨너비는 고정하고 품과 둘레항목에서 편차를 주어 패턴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의의 경우 여자 모델은 엉덩이 부분에 여유가 없는 바지원형을 설계 제시하고, 이는 타이트 핏 팬츠나 스트레치 소재에 사용에 적절하고 여유 있는 바지의 경우는 엉덩이둘레 폭과 밑위너비 폭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자모델의 경우 하의는 비교적 잘 맞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없었으며 전체적인 둘레 편차 역시 3cm 내외로 작아 수정의 폭은 작다. 다만 키에 따른 다리길이 편차가 심해 모델에 따라 길이조정 이 필요하지만 전체적인 맞음새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 치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A급 모델을 기준으로 제안되었으므로 평균적인 모델 치수와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패턴 역시 현재 모델의 신체에 적절하게 잘 맞았으며 모델 개인에 따른 신체 치수의 편차에 따라 차이를 보이겠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된 패턴의 품 조절만으로도 충분히 잘 맞는 패턴으로 사료된다.

조선후기 여자속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omen′s Underwear in the Later Chosun Dynasty)

  • 윤현진;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9-183
    • /
    • 2004
  •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women's underwear culture in the Later Chosun Dynasty, by investigating the kinds and constructions of them, which formed bulky and puffed silhouette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In the middle 17th century in Chosun, Confucianism settled down as fundamental idea of society, while whole country achieved considerable economic growth. As a result for upperclass women, female virtues was demanded more than any other period in Chosun. On the other hand, lower-class women including Kisaengs, had more freedom on their cloth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literature on women's dress institutions and restrictions of the extravagance, the use of kinds of high-quality silk and false hair was criticized, compared to women's clothes in China. From this, one can see the luxury and affluence of women's clothes at that time, which also reflected in luxurious underclothes. Also, the movement of class, by economic development, led to changes in the costumes of middle-to-lower class women, relaxing restrictions on clothes. Underclothes included Bosomband(가슴띠; long sashes for bosom to wrap), Sokjucksam(속적삼), and Sokchogori(속저고리; Korean blouse, worn under the chogori) for upper garment, and Darisokkok(다리속곳; basic underwear like the panty), Soksokkot(속속곳; underwear paji to be wide of hem), Sokpaji(속바지;trouser front and back opening), Tansokkok(단속곳; large size underwear like Soksokkot), Noronpaji(너른바지; paji like the skirt or paji bulky than tansokkot,), Mujigi무지기; tiered skirt for underwear), and Daeshumchi'ma(대슘치마; Korean underskirt, shape hem as a pad into form) for lower clothes.

  • PDF

CAD 시스템 활용을 위한 여자 바지 정장의 Marking 효율 고찰 - 체크무늬 원단 마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rking Efficiency of Jacket & Slacks by CAD System - Focused on the Check-Pattern -)

  • 홍은희;류경옥;서미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28
    • /
    • 2010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elucidation of efficient and correct marking methods by comparing and analyzing marker efficiency depending on the marking job condition such as interval of checking-pattern and marker orientation using woman's Jacket and Slacks. Research Method intended to compare the marking efficiency of Jacket and Slacks, check-less and check- patterned materials with the intervals of $1.5{\times}1.5cm$ and $5{\times}5cm$ were selected. First, in the comparison of marking efficiency depending on check-pattern interval,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marker position, single-item makers and set-item makers, the efficiency of check-less materials was higher than those of check-patterned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intervals decreased marking efficiency and vice versa. Marking efficiency of Slacks was less influenced than marking efficiency of Jacket by check-pattern interval. Second, in the comparison of marking efficiency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marker position, regardless of check-pattern interval and number of maker pieces, the efficiency of nap-up-and-down posi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nap-one-way position. Third, the marking efficiency of single-item was more effective than one of set-item in all working condition except nap-one-way position in checkless materials.

조선시대 여자 속곳형 바지를 활용한 유아 잠옷 바지 디자인 개발 (Making Toddler's Pajamas by Using Women's Sokgot Style Pajama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 조두나;김은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285-291
    • /
    • 2013
  • Interest i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increasing due to globalization. We need to create fashion items using Korea folk culture like the Hanbok. In this paper, the design development of toddler's pajamas was attempted by using women's Sokgot pants, which were worn by women in Joseon Dynasty period. The study involved a review of literature and an investigation of past relics. Traditional women's Sokgot pants had a 'mu' or 'dang' in the crotch which is called 'the mit' now. The opening of the mit will be used for designing toddler's pajamas. Design suggestions for four styles of toddler's pajamas, which reflec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women's Sokgot pants, have been created.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 the characteristics of Ran-pants are applied to design 1 and design 2. There have pleats along the waistband of the toddler's pajamas, making the Mu more hidden. Pleats of the waist part are achieved by using an elastic, which also makes the pajamas easier to fit and to wear. The characteristics of Gaedanggo, of which the crotch is opened, are applied to design 3 and design 4. The opened crotch is applied so that toddlers can relieve themselves easily while they are wearing these pajamas. There is also an opening in the centerline of the front Mu in design 4 which gives additional functionality and comfort. This work shows that items of traditional folk dress can be used to make present fashion items.

한국 여자 내의 문화에 관한 연구 -바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men's Underwear in our country - Based on the trousers -)

  • 김선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65-879
    • /
    • 1997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 21, Nt. 5 (1997) p. 865∼87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 historical change about the women's underwear and trousers this nation of ours until an ancient times to modern ages. Because the record of the women's trousers exist scarcely anything, the study refers to several documents, for example, the literatures of the Chinese and the Chosun Dynasty, the Koryu's fresco, the Tou of Shinra, the painting of the rock face, the archaeological dresses and genre pictures, and The folkways methods through the residents is used to collect and to arrange of an enlightened age and modern times. Originally, the women's trousers appeared for the nomadism and the hunting in the northern distric and the northeastern provinces. Male and female, old and young wear the trousers which are the clothes native to Korea. The trousers which are originally narrow trousers are influnced by Chinese wide trousers. The trousers at the time of Samsuk hand down until Korea. The Skirt on the trousers is nothing but a courtesy. But gradually, it is distinguished only the trousers, and then, there are exchanged an underwear which not only the protection angainst the cold but also the beautiful. Therefore, the form of skirt is diminished, and the underwear is simplified as the increasing status and the activity of woman in the age of civilization. In a way, the reform trousers and Three-kingdom era trousers appeared and the Dansogok and Sogok disappeared at present. There are confirmed in my investigation of folk customs.

  • PDF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의사, 간호사 및 환자의 견해 (Attitudes of Physician, Nurse and Patient towards Physician's and Nurse's Uniform)

  • 정연희;김석범;강복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324-346
    • /
    • 1996
  •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에 대한 견해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1일부터 1996년 3월31일까지 영남대학교 의료원에 근무하는 의사 130명, 간호사 147명과 입원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의상의 복장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모두 기존 코트 형태의 가운보다 다른 형태의 가운을 선호하였고, 특히, 의사보다 간호사들이 더 선호하였다. 환자에서 전체적으로 기존 형태와 다른 형태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력이 높을수록 다른 형태의 가운을 더 선호하였다(p<0.01). 의사의 가운 색상에 있어 의사와 간호사의 73.6%는 흰색을 선호하였으며, 환자는 86.3%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남자의사가 여자의사와 간호사에 비해 흰색을 더 선호하였고(p<0.01), 환자에서는 색상 선호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료시 넥타이를 착용해야 한다라는 응답률이 남자의사, 40세 이상 의사, 내과계 근무 의사, 그리고 교수에서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환자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60세 이상군이 다른 연령군보다, 초등졸 이하군이 다른 학력군보다, 기타 시지역 거주자와 군지역 거주자가 대구시 거주자보다 더 높았다(p<0.01). 주말 및 휴일 진료시 의사의 캐주얼 복장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찬성하는 편이었고, 의사의 연령이 젊을수록 유의하게 선호도가 높았다(p<0.05). 간호사 복장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78%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고, 간호사는 96%가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지원 및 행정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100% 선호하였다. 환자들은 학력이 낮을수록 스커트를 선호하였고, 고학력군일수록 바지 착용을 선호하였다. 간호사의 가운 색상에 대해서는 의사와 간호사 전체의 46.7%가 흰색을 선호하였고, 의사들은 흰색을, 간호사들은 다른 색을 더 선호하였다(p<0.01). 환자들은 79.1%가 흰색을 선호하였다. 캡 착용에 대한 문항에서 간호사들은 95.9%가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40세 이상군과 외래 및 특수부서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전원 캡을 착용하지 않아도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환자들은 77.7%가 캡을 착용하여야 한다라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의사와 간호사의 복장은 기존의 전통적인 형태와 색상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의사와 간호사 본인들과 환자들의 의견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시대적 흐름과 현실감각에 맞게 가운의 형태와 색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일부 병원 종사자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 선호 경향 (Trend in Preference for Dental Hygienist Image among Health Care Workers)

  • 윤현서;김정술;이미옥;김현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1-218
    • /
    • 2010
  • 부산지역 치과를 포함하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병원종사자 228명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주된 업무, 선호하는 내적인 이미지, 선호하는 외적이미지, 사회적 수준 등에 대하여 조사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치과위생사의 주된 업무는 1순위는 치의사의 진료보조 28.2%, 2순위 치석제거 23.2%, 3순위 예방업무 20.6%로 나타났다. 2. 선호하는 이미지는 밝은 표정이 61.4%로 가장 많았으며, 단정함 32.9%, 세련됨 3.5%, 지적 임 2.2% 순으로 나타났다. 기혼에서 밝은 표정을 많이 선호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8.11$, p<.05). 3. 유니폼은 투피스 바지 형을 76.3%로 가장 선호하였으며, 여자에서 투피스 바지 형을 많이 선호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41.09$, p<.001). 4. 치과위생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은 전문적 지식이 49.1%로 가장 많았으며, 성실함과 책임감 23.2%, 친절성 22.4%, 인격과 교양 5.3% 순으로 나타났다. 40세 이상인 종사자가 성 실함과 책임감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20.62$, p<.01) 5. 사회적 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치과위생사의 외형적 모습이 신뢰감 또는 안정감에 영향 을 줄 수 있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9.98, p<.001) 6. 사회적 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경우 밝은 표정을 선호하였으며(${\chi}^2=31.54$, p<.001), 사회적 수준이 낮다고 인식할수록 경우 친절성 및 성실함과 책임감이라고 인식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chi}^2=14.03$, p<.05).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수준과 이미지 향상을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에게 적합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무능력향상 프로그램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가 선호하는 치과 의료진의 복장에 대한 연구 (STUDY ON CHILDREN'S PREFERENCE TOWARD ATTIRE OF DENTIST AND DENTAL HYGIENIST)

  • 남정란;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5-188
    • /
    • 2009
  • 어린이 치과 진료 시 진료에 도움을 얻고자 연구한 설문지조사 시 진료진들의 복장에 대한 선호도에 응한 650명의 어린이에 치과 진료진들에 대한 선호도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 여 치과의사의 복장으로 정장가운과 일상복 중 전반적으로 정장가운을 대상자의 특정별로 남자 67.7$\sim$87.6% 여자 59.2$\sim$75.9% 선호하였다. 2. 남자 치과의사의 정장가운 중 전형적인 흰색 긴가운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일반 긴가운, 짧은 자켓이나, 짧은 수술복 순으로 선호하였다. 3. 여자 치과의사의 가운 중 전형적인 흰색 긴가운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일반 긴가운, 짧은 자켓가운, 짧은 수술복 순으로 선호하였다. 4. 치과위생사의 가운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투피스 바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원피스, 투피스 치마, 만화 캐릭터, 에이프런 가운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5. 가운의 색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흰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6. 가운의 무늬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전형적인 형태의 민무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