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Kokuryo's Costumes of the Mural Tombs - Comparison between area of Jipan and Pyongyang -

고구려 벽화 의복에 관한 연구 - 집안지역과 평양지역 벽화의 비교연구 -

  • Kim Chung-Ho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 Nam University) ;
  • Lee Mi-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 Nam University)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Kokuryo mural tombs are located in Jipan and Pyongyang, where were capital Cities of Kokuryo.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performed about costumes in Kokuryo mural tombs so far, the studies comparing regional differences are ra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about the costumes in Kokuryo mural tombs between Jipan, where was the capital city in early period (BC37-AD426) and Pyongyang, where was the capital city for 241 years after the King Jang Su moved.(AD427-AD66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Jipan and Pyongyang in the shape of Chima(skirt) and the direction of Yeomim (adjusting the necklines). While there was only one type, long and narrow pleated skirt in Jipan area, another type of Chima was existed in Pyongyang area including the one in Jipan. Also, the direction of Yeomim was different. Left was popular in Jipan while it was right in Pyongyang. Moreover there are no man's Po(coat) with straight collar which was considered as a basic shape in Kokuryo mural tombs costumes so far. Also we found that Baji(pants) was an ordinary woman's costume, not only for underwear.

Keywords

References

  1. 金英淑 編著 (1985) 韓國服節史資料選集-上古.高麗 篇. 東洋服節硏究員
  2.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4집, p. 495
  3. 김정호 (1999).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과 사회계층.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정호 (1990). 고구려 고분벽화속의 복식에 관한 연구. 한남대 논문집 20
  5.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4집
  6. 박경자 (1968). 고구려 고분벽화의 복식연구. 조기흥 선생 회갑기념 논문
  7. 박경자 (1981). 덕흥리 고분벽화의 복식사적 연구. 복식. 5
  8. 양경애 (1995). 고구려인의 복식문화 고찰-집안지역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복식, 25
  9. 유송옥 (1980). 고구려복식연구. 성균관대학교 인문사 회계 논문집. 28
  10. 유송옥 (1985). 고구려의 복식구조. 한국의복식. 한국 문화재보호협회
  11. 유송옥 (1995). 중국 집안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복식과 주변지역복식 비교연구. 성균관대 인문과학, 25
  12. 유효순 (1989).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한 고대 우리 복식 연구. 혜전전문대 논집, 7
  13. 이경자 (1976). 고구려 고분벽화의 복식연구. 이대 한국문화연구원, 28
  14. 이여성 (1949). 최근 안악에서 새로 발견된 고구려 고분의 벽화에 년대에 대하여. 력사제문제. 9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5. 이영미, 조효순 (1996).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복식연구-장천1호분과 오회분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07
  16. 이영미 (1994).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복식. 명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전혜숙 (1995).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적 특성과 복식의 표현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전호태 (1996). 고구려 각저총 벽화 연구. 미술자료. 57
  19. 천석근 (1981). 고구려 옷에 반영된 계급 신분관계의 고찰. 력사과,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 천석근 (1986). 안악제3호무덤의 복식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사회과학출판사
  21. 최옥자 (1981) 고구려 고분벽화(무용총,삼실총,신삼총,각저총)에 나타난 한국고대 복식에 대한 고찰. 세종대 논문집, 8
  22. 최원희 (1962) 고구려의 녀자옷에 관한 연구. 문화유산, 과학원출판사
  23. 김 현 (1988). 고구려복식에 표현된 미의식에 관한 연구. 공주사대 논문집, 26
  24. 김혜원 (1986). 고분벽화에 묘사된 복식의 조형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장경혜 (1990).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복식미의 고찰.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장경혜 외 (1993).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복식미 연구. 영남대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2
  27. 김혜전 (1978). 고구려 벽화 복식과 고송총 벽화 복식의 비교연구. 대전숭전대학교 논문집, 8
  28. 김영희 (1984). 고분벽화에 표현된 복식형태의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29. 김영숙 (1966). 고구려 관모에 관한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0. 김정호 (1989). 高句麗 古墳壁畵服節과 社會階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1
  31. 김정호 (1990). 고구려 고분벽화속의 복식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논문집, 20, p. 134
  32.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 II (2000). 고구려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33. 집안고구려 고분벽화 (1993). 조선일보사
  34. 고구려 고분벽화 (1986). 조선화보사
  35. 고구려 특별대전 (1995). KBS 한국방송공사
  36. 고구려문화전 도록 (1986), 고구려문화전 실행위원회
  37. 김원룡 (1973). 한국미술전집. 서울: 동화출판공사
  38. 최순우. 한국미술 I. 서울: 도산문화사
  39. 王宇淸. 中國服裝史鋼, p. 102: 재인용 이경자(1983). 한국복식사론. 서울: 일지사, p. 87
  40.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p. 37
  41. 이여성 (1981). 조선복식고. 서울: 백양당, p. 133
  42. 유희경 (1989).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대출판부, p. 30.
  43. 백영자 (1993). 한국의복식. 서울: 경춘사, p. 23
  44.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p. 24
  45. 안명숙, 김용서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p. 27
  46. 김영숙,김명숙 (1999). 한국복식사. 청주대출판부, p. 78
  47. 한국복식문화조직위원회편 (2001). 우리옷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p. 15
  48. 유희경 (1975). 한국복식사연구, pp. 30-31
  49. 이은창 (1978). 한국복식의 역사-고대편-.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88
  50. 이해영 (1989). 한국 직령교임식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23
  51. 김정호. 고구려벽화에 나타난 복식연구-집안지역 여자 옷을 중심으로-. 한남대논문집, 32, p. 98
  52. 왕우청 (1967), 中國服節史網, pp. 69-70
  53. 朴豆伊 (1997). 반비의 원류와 변천에 관한 연구-한국과 중국의 반비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54. 김미자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연구, 4, p.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