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 재킷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A study on simulation of women's Jacket using 3D CAD system (3D CAD system을 활용한 여성재킷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Kwak, Youns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3
    • /
    • pp.191-19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ments for 3D garment simulation system by comparison with the difference between real garment and 3D garment simulation A, B of women's jacket. The process of the study was to take pictures on the standard sized subject wearing the jacket of basic size, to get a avatar from body sizes of the subject, and to obtain images of 3D garment simulation on the avatar. The appearance evaluation was resulted by the method of a questionnaire survey after presenting the images to 20 members of women's jacket customer. On that appearance evaluation,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f same degree between the real garment and the Virtual garment A in women's jacket.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f same degree between the real garment and the Virtual garment B in women's jacket. It was done t-test for difference in appearance evaluation between real garment/virtual garment A and Real garment/virtual garment B. There were the differences on 4 areas: 1 question on the fabric, 9 questions on the front, 3 questions on the side, and 6 questions on the back.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mart Jacket for the Elderly -Focused on American Women-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재킷의 개발 및 평가 - 미국 여성을 대상으로 -)

  • Paek, Kyung-Ja;Ashdown, Susan P.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
    • v.11 no.2
    • /
    • pp.315-3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시판 중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외관에서는 기성복의 스타일을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부여한 노년 여성을 위한 스마트 재킷을 개발하였다.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시력은 약화되며 효과적인 체온조절도 저하된다. 이에 열과 빛의 기능을 제공하는 연구재킷을 제작하고 노년층 소비자들의 평가를 실시하여 그 수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재킷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전문가 외관 평가 및 소비자 착용 평가로 실시되었으며 재킷의 피트성, 활동성, 디바이스의 기능성, 수용 가능성 여부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노년층에서도 충분히 미적요소와 기능성이 결합된 스마트 의류가 일상복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스마트 의류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디바이스의 무게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가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의복의 가능성과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Form of Jean Fashion in Fashion Collections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진패션의 형태적 디자인 특성)

  • Pu, Chen;Kim, Ae-Kyung;Lee, Kyou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577-586
    • /
    • 2012
  •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jean jacket and jean pant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collection. To offer a basic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jean jackets and pants, pictures of fashion web pages from 2007 to 2011 were used, and data were analysed by the usage of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SPAW Statistics 18.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Men's jackets were mainly medium in length with a tetragonal silhouette and simple detail. On the contrary, women's jackets were mainly of an X silhouette, short in length, and with varied details. Men's jean pants were mainly represented by a straight, comfortable silhouette while women's jean pants were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silhouettes, fit, and lengths.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Western Women's Jacket in the Late 19th Century (19세기 말 서양 여성 재킷의 구성기술에 관한 연구)

  • Ryu, Kyung Hwa;Kim, Yang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65 no.7
    • /
    • pp.60-74
    • /
    • 2015
  • It is considered that jacket was widespread in the 19th century due to its simple and convenient production techniqu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estern women's jacket in the late 19th century, which is the basis of modern women's outwear, and we focused on the patterns and construction, the technical aspect of the jacket. We researched pattern books and preserved costume materials, and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pattern of the jackets from the pattern books and preserved costumes. Second, we analyzed the construction of the jackets from the preserved costumes and compared it to previous research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9th century jacket consisted of a bodice, a back bodice, a side panel, two-piece sleeve and a collar. The front bodice had cuttings and a dart to make the jacket fit the shape of the body and the two-pieced leg of mutton sleeve, puffed at the shoulder. Various styles of collar and neckline existed. The pattern suggested diverse ways of designing a jacket, such as cutting with partition, dart and pattern expansion that focused on three-dimensional effect at that time.

A Study on the Wool Knitted Jacket Pattern Development Suited for a Middle-Aged Woman's Body Shape (중년 여성의 체형 특성에 적합한 양모 소재 니트 재킷 패턴 개발)

  • Han, Jin-Yee;Choi, Jin-Hee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5 no.2 s.67
    • /
    • pp.299-31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wool knitted Jacket pattern suited for Middle-aged women's body shape. The usable data of first and second wearing test were coded for further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and one way- ANOVA test, Student-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 by using SPSSWIN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first evaluation for the appearance test on fitness, pattern B were better than the rest of them. 2. It was found that second evaluation for the test, jacket B with milano were better than the rest of them. Therefore, it should be designed as possible as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nitted materials. 3. It was found that third evaluation for the test, it is necessary that knitted jacket follow a similar size tolerance such as a woven jacket.

  • PDF

Ready-made Jacket Purchase Realities and Satisfaction focused on Middle-aged Women (중년 여성의 기성복 재킷 구입실태 및 만족도)

  • Kim, In-Hwa;Kweon, Soo-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1 no.3 s.162
    • /
    • pp.398-409
    • /
    • 2007
  • Today women's social participation is highly increasing, and especially the middle-aged women's activity is amazing. However, many ladies have trouble in wearing suits or jackets. Because the current ready-made apparels focus on young and slender women, and accordingly the current size system is made for them.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size system for general ladies who are hardly well-proportioned figures. The survey of mid-life ladies in this Paper vividly reveals the above Problem. Many ladies dissatisfied with the fitness of the existing apparels. Therefore updating the current size system of ladies' apparels is badly needed. It also helps reducing corporates' stock-holding costs and customer's clothes-adjusting expenses.

The Development of Smart Jacket Incorporating MP3 functionality for Commercial Use (MP3 기능 스마트 재킷의 상용화 모형 개발)

  • Cho, Hyun-Seung;Kim, Jin-Hyung;Park, Sun-Min;Ryu, Jae-Hun;Lee, Joo-Hy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9 no.4
    • /
    • pp.377-38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esign model of a smart jacket incorporating MP3 functionality for commercial use, as one of the digital lines of textile to apply If technology.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usability and wearability tests were conducted using five prototype design models of smart wear with MP3 functionality. Accordingly, the smart jacket incorporating MP3 functionality for commercial use, for which user-centered interface, usability and wearability were completed, was developed by optimizing the design and location of the input interface, control module, the path of wires and earphone etc., based on textile wire and keypad. The smart jacket targets the female dress market from late-teens to early twenties. It will be a high value commodity considers all aspects of recent fashion trends, consumers' emotional satisfaction and the value of digital we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