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성이미지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33초

소비재 조형에 대한 한.일 이미지 비교-안경, 소형카메라, 전기면도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of the Image on the Consumer Goods by Korean and Japanese-On the example of Glasses, Small Camera, Shaver-)

  • 윤형건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95-204
    • /
    • 1997
  • 현대 소비재의 조형 이미지를 한국과 일본의 양국 젊은 세대를 놓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한국 젊은 남성과 여성들은 $\ulcorner$정치(精緻)-단순(單純)$\lrcorner$$\ulcorner$실질(實質)-비실질(非實質)$\lrcorner$$\ulcorner$경(輕)-중(重)$\lrcorner$$\ulcorner$화려-수수$\lrcorner$$\ulcorner$우미(優美)-투박$\lrcorner$의 3인자의 이미지로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소비재에 대하여 한국의 남녀는 동일한 이미지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에 반해 일본의 남.녀는 이미지 구조에 차이가 있다. 이것은 성별에 따라 중시하는 조형요소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국의 젊은 남녀는 현대 소비재에 있어 소비재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문양, 장식, 색상의 조형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본의 젊은 여성들도 소비재의 조형의 이미지를 파악할 때 한국의 젊은 남녀와 동일하게 소비재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편 일본 젊은 남성들은 소비재 표면의 요소보다는 소비재의 가치에 의미를 두고 조형이미지를 파악하고 있다.

  • PDF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 (Evaluation of Textile Image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 이정순;신혜원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피륙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촉감, 태 이외에도 색채, 무의 등 여러 요소들의 영향을 받아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의류소재의 총체적인 개념인 의류소재 이미지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들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의류소재 이미지의 평가를 위한 축을 개발해 보았다. 1995년부터 2000년까지의 Texjournal과 인터패션플래닝에서 발간되는 98/99FW부터 0255까지 트렌드 북에서 소재를 설명하는 형용사를 조사하여 유사한 형용사를 통합 처리하여 87개의 형용사를 최종 추출하여 형용사쌍을 만들고 소재 자극 없이 형용사쌍이 주는 소재이미지만을 가지고 쌍비교법을 통해 유사성을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87개의 형용사의 평가차원을 살펴보았다. 의류소재 이미지를 평가하는 축을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결과 '남성적-여성적', '새로운-낡은 듯한', '캐주얼-클래식', '모호한-정돈된'의 4가지 차원의 8개축이 개발되었다.

  • PDF

그레쥬에이션 시술 각도에 따른 트렌드 감성별 룩 포지션과의 관계 분석 (Depending on the angle of grazing procedure Analysis of relationship with look position by trend emotion)

  • 손광현;박장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497-502
    • /
    • 2018
  • 여성 그레쥬에이션 시술 각도의 변화에 따른 한국남성들의 트렌드 감성별 룩 포지션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로서 시술각도에 따른 여성 그레쥬에이션의 다양한 이미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그레쥬에이션 커트시술이 가능해 지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총 100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그레쥬에이션의 시술 각도 $5^{\circ}$, $31^{\circ}$, $85^{\circ}$ 에서는 세련된(sophisticated) 이미지가 나타난다고 응답하였으며 $15^{\circ}$, $65^{\circ}$의 시술 각도에서는 우아한(elegance) 이미지가 나타난다고 응답하였으며 시술 각도 $50^{\circ}$에서는 현대적인(modern) 이미지가 나타난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남성들이 느끼는 트렌드 감성별 룩 포지션에 의하여 세분화 된 여성 그레쥬에이션 커트에 대한 향후 심층적인 후속 연구가 가능해지며 고객만족을 창출과 동시에 보다 심도 깊은 헤어커트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해지리라 사료된다.

헤어 컬러디자인 기법 중 그라데이션 기법을 응용한 헤어 컬러디자인 작품연구: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Hair Color Design Works using the Gradient Technique among Hair Color Design Techniques: Focusing on Women)

  • 이승주;박기원
    • 산업과 과학
    • /
    • 제2권3호
    • /
    • pp.29-3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컬러디자인 기법 중 그라데이션 기법 분석을 통해 디자이너의 헤어컬러디자인 제작물을 일관되게 제작할 수 있는 헤어 컬러 작업 계획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한다. 연구 방법은 2022년부터 2023년 9월 15일까지 대중 매체에 나타난 여성의 사진 10개를 선정하여, Adobe Photoshop CS6의 Eyedropper Tool로 컬러 칩과 RGB 값을 추출하여 컬러 칩의 RGB 값을 Munsell Conversion(version 12.1.13a)의 HV/C 값으로 데이터화하였다. 추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배색 스케일에 데이터를 표기하여 여자 대중 스타들의 그라데이션 헤어컬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서 여성 대중 스타의 배색 스케일은 부드러움보다 딱딱함의 이미지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동적임 보다는 정적임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헤어 컬러에 따른 배색 이미지로는 고상한, 점잖은, 우아한, 은은한 과 같은 형용사로 추출되었다. 이를 적용한 주제로 3점의 헤어스타일을 제작하였다.

성격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제 2보) -35$\sim$59세 중년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age Preferences of Fashion Product According to Personality and Body-Cathexis -Focused on Middle-Aged Women between 35 and 59 Years Old-)

  • 심정희;연명흠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5-1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과 신체 만족도에 따라 선호하는 패션 제품의 이미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선행 문헌 자료를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 배포, 회수한 후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5$\sim$59세의 우리나라 중년 여성 352명이다. 자료 분석은 SAS와 SPSS를 사용하여 인자분석, 군집분석,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안정성과 자신감이 높았으며, 보다 대담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의 패션 제품을 선호하였다. 성격 특성과 선호하는 패션 제품 이미지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배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대담한 이미지의 패션 제품을 선호하였으며, 책임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패션 제품에서 실용성을 추구하였으나 대담성에 관해서는 선호도가 낮았다. 정서적 안정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품위 있고 실용적인 패션 제품을 선호하였으나 대담스러운 이미지에 관해서는 선호도가 낮았다. 한편 사교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품위있고 남성스러운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자신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대담하고 남성스러운 이미지의 패션 제품을 선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