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재 조형에 대한 한.일 이미지 비교-안경, 소형카메라, 전기면도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of the Image on the Consumer Goods by Korean and Japanese-On the example of Glasses, Small Camera, Shaver-

  • 윤형건 (광주대학교 산업디자인 학과)
  • 발행 : 1997.08.01

초록

현대 소비재의 조형 이미지를 한국과 일본의 양국 젊은 세대를 놓고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한국 젊은 남성과 여성들은 $\ulcorner$정치(精緻)-단순(單純)$\lrcorner$$\ulcorner$실질(實質)-비실질(非實質)$\lrcorner$$\ulcorner$경(輕)-중(重)$\lrcorner$$\ulcorner$화려-수수$\lrcorner$$\ulcorner$우미(優美)-투박$\lrcorner$의 3인자의 이미지로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소비재에 대하여 한국의 남녀는 동일한 이미지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에 반해 일본의 남.녀는 이미지 구조에 차이가 있다. 이것은 성별에 따라 중시하는 조형요소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본다. 한국의 젊은 남녀는 현대 소비재에 있어 소비재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문양, 장식, 색상의 조형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본의 젊은 여성들도 소비재의 조형의 이미지를 파악할 때 한국의 젊은 남녀와 동일하게 소비재 표면에 처리되어 있는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한편 일본 젊은 남성들은 소비재 표면의 요소보다는 소비재의 가치에 의미를 두고 조형이미지를 파악하고 있다.

This study 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age structure young korean and Japanese on the present day consumer goods. Korean young men and women have image structure with 3factors of "minute-simplicity" , "practical-nan-practical ", "light-heavy", Japanese young men have those with, "light-heavy", "gay-quiet", "graceful-unstylish". And Japanese young women have those with, "gay-quiet", "light-heavy", "graceful-unstylish". Korean men and women have the same image structure. While Japanese men and women have different image structures. Korean young men and women are sensitive to decoration elements of consumer goods. Japanese young women are also sensitive to the decoration element. Korean young men and women and the Japanese young women seem to grasp their image on the consumer goods at the level of recognition, However, Japanese young men seem to grasp their image on the consumer goods at the level of sense of value.er, Japanese young men seem to grasp their image on the consumer goods at the level of sense of val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