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 아세테이트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2초

Amycolatopsis sp. KCTC 29142로부터 유래된 siderochelin A의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Anti-multi drug resistant pathogen activity of siderochelin A, produced by a novel Amycolatopsis sp. KCTC 29142)

  • 이동령;성금화;이성권;홍희전;송재경;양승환;서주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27-33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신규 Amycolatopsis 균주 KCTC 29142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관찰, 계통분석 및 화학분류학적 분석 등 다상 분류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KCTC 29142 균주의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은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났고, 활성물질은 철 이온 킬레이트 물질인 siderochelin A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siderochelin A는 다제내성균인 Acinetobacter baumanii,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및 Escherichia coli (E. coli)에 대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임상에서 분리된 다제내성균에 대한 MIC를 결정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소의 근육과 간 중에 잔류하는 glucocorticoids 동시 분석 (Simultaneous analysis of glucocorticoids in bovine muscle and liver by LC-MS/MS)

  • 신상은;조현우;명승운
    • 분석과학
    • /
    • 제23권4호
    • /
    • pp.405-413
    • /
    • 2010
  • 축산물(소의 근육 및 간)중에 잔류하는 합성 글루코코티코이드 6종 (betametha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prednisolone, methylprednisolone, flumethasone)에 대한 동시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효과적인 기기분석을 위해서 시료는 C18 고체상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정제하였다. C18 컬럼을 사용하여 분리한 후 음이온 전기분무 질량분석법의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적이고 감도있는 HPLC-MS/MS 분석을 위해서 0.1% 포름산이 포함된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이 이동상 용매로 사용되었다. 메트릭스와 약물의 종류에 따라서 검출한계(LOD)는 $0.2-0.1\;{\mu}g$/kg, 정량한계(LOQ)는 $0.8-3.4{\mu}g$/kg 이었으며, 회수율은 89.5-119.6%이었다. 확립된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6종의 글루코코티코이드의 동시분석 방법이 간소화되었고, 좋은 정확도, 정밀도 및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축산 육류 중에 잔류하는 글루코코티코이드들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폐 PVC계 고분자 블렌드의 구조 및 물성 연구(I) -폐 PVC/PE고분자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물성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 Blends (I)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PE Blends)

  • 박재찬;원종찬;최길영;이재흥;조성만;김명기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37-44
    • /
    • 2002
  • 폐폴리염화비닐수지(waste Polyvinyl chloride, RPVC)와 폐폴리에틸렌수지(waste polyethylene, RPE)의 블렌드를 용융 혼합으로 제조하였으며 상용화제로서 주쇄는 에틸렌 구조를, 측쇄는 에스터 그룹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들을 첨가하여 모폴로지 및 인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PVC가 연속상인 조성비 85/15 wt%, 중간조성 50/50 wt%, RPE가 연속상인 조성비 15/85 wt%로 RPVC/RPE의 조성비를 변화시켜 이들 조성비에서의 상용화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폴로지 관찰로 볼 때 RPVC/RPE 블렌드는 $10\mu\textrm{m}$ 이상의 도메인 크기를 보여 상용성이 나쁘며 특히 중간조성에서 가장 나쁜 상용성을 나타내었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와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 (ethylene ethylacrylate-graft-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EEA-MMA)가 상용화제로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물 유래 조효소에 의한 감소 Liquiritin의 Liquiritigenin으로의 변환 (Biotransformation of Liquiritin in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 into Liquiritigenin by Plant Crude Enzymes)

  • 박민주;나인수;민진우;김세영;양덕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4-78
    • /
    • 2008
  • 감초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중 flavonoid 지표물질인 liquiritin이 들어있는 분획 (GUE6)에 살구 및 복숭아 종자로부터 얻은 조효소액 (PDE, PAE, PPE)을 법제 처리하였다. 각 조효소액에서 ${\beta}-glucosidase$ 활성도는 아몬드 (P. dulcis) 259.6 U/g 살구 (P. persica), 복숭아 (P. persica) 조효소액의 ${\beta}-glucosidase$ 활성도가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PDE, PAE, PPE를 이용한 발효 법제 후 liquiritigenin의 함량 비교 결과, 효소중의 ${\beta}-glucosidase$에 의해 liquiritin이 대사되어 항산화, 향군, 세포 독성 억제, 항치매, 항피부암 등 많은 약리효능을 가진 활성 물질인 liquiritigenin이 생산됨이 확인되었으며, 세효수 모두 liquiritin에 1.2배의 효소 처리 시 가장 대사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변환을 위한 최적 농도로 결정되었다 세효소 중 특히 PPE 처리 시 liquiritin이 모두 liquiritigenin으로 변환됨으로써 liquiritin의 변환에 복숭아 종자 유래 효소가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김치에서 발효 식품의 고유 발암원 Ethyl Carbamate 검출 (Determination of Fermentation Specific Carcinogen, Ethyl Carbamate, in Kimchi)

  • 고은미;권훈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1-427
    • /
    • 1996
  • 한국의 발초식품 중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김치 중에서 배추김치를 각 지방에서 15개, 시중에서 판매 되고 있는 5개를 수집하여 김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ethyl carbamate의 부분 정제를 시도하였다. 단계별 효율을 검색하면서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불용성 고분자 물질과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C_{18}$ 수지로 소수성 색소를 제거한 후 알루미나, Florisil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서 수분과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는 부분 정제법을 정립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상에 분리된 표준 ethyl carbamate 피크와 같은 시간에 검출된 김치 추출액의 피크의 질량 분석 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분자 이온 m/z 89와 m/z 74.62 토막 이온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선택 이온 모드로 감도와 선택성이 가장 좋은 Mxlafferty 토막 이온 m/z 62에서 정량한 결과 ethyl carbamate의 범위는 검출 한계 농도 이하부터 4.6 ppb까지 분포하였으며, 김치의 숙성이 진행될수록 ethyl carbamate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양은 다른 식이는 고려하지 dskg고 김치에서만 하루에 섭취하는 ethyl carbamate 양으로 추정하였을 때, 사람에게 실질적으로 안전하다고 보고된 양 정도의 수준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장생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Extra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 손미예;서종권;김행자;성낙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1-655
    • /
    • 2001
  • 장생 도라지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IQ와 MNNG를 사용하여 Ames mutagenicity test를 검토하였다. 장생 도라지 메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은 없었으며, 또한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돌연변이 억제 효과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중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부탄올층에서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도 증가에 따라 colony 수가 감소하였다. S.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와 각 돌연변이 물질에 따라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장생 도라지의 약리 성분은 대사 활성화 과정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체내 세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돌연변이원에 대해서도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 PDF

맥문동탕 용매 분획물의 UV에 의한 피부손상 개선 효능평가 (UV-induced skin damage improveme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Maekmoondong-tang)

  • 유재묘;강윤환;김보미;김동희;박태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83-290
    • /
    • 2018
  • 맥문동탕 열수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을 이용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e, elastase, tyrosinase 억제 효과를 검증하였고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MW-EA)에서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여주었다. 세포를 이용한 활성 검증에서는 MW-EA를 처리하였을 때 ROS 저해활성에서 34% ($100{\mu}g/mL$), MMPs 저해 50% ($100{\mu}g/mL$) 이상, 미백 활성에서는 tyrosinase를 25% ($50{\mu}g/mL$)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맥문동탕은 피부개선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코스모스 추출물의 항균활성 성분 탐색 (Identifying antibacterial activity components of cosmos flower extracts)

  • 김미정;안승현;박세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49-257
    • /
    • 2020
  • 본 연구는 코스모스꽃 추출물이 박테리아에 대해서 항균 활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항균 효과를 내는 물질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흰색, 분홍색, 자주색의 코스모스꽃이 4종의 박테리아인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E. coli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는지 접종 후 24 h 동안 관찰하였다. 3종의 꽃 추출물 중에 EtOAc층 분획물에서 4개의 박테리아에 대해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이 관찰되었고 S. aureus에 대해서는 CHCl3층 분획물도 효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흰색 코스모스꽃 silica gel Fr. 1과 분홍색 코스모스꽃 silica gel Fr. 2, 자주색 코스모스꽃 silica gel Fr. 1은 0.1 mg/mL에서 최소저해농도가 나타났다. 이 분획물들과 코스모스 내에 존재할 것으로 유추되는 apigenin 간의NMR과 HPLC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유효 성분내에는 apigenin구조 요소가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phenolic acids와 총 폴리페놀 함량

  • 김성란;하태열;이지연;이세은;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6.1-226
    • /
    • 2003
  • 최근 쌀 소비량이 감소되고 쌀중심 식생활의 영양적 우수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쌀은 주식으로서 위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동안 쌀의 영양특성에 관한 연구로서 주로 탄수화물 급원으로서의 당질에 관한 연구와 미강을 중심으로한 식이섬유, 미강유등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었다. 특히 미곡 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다양한 유효성분들이 확인되어 그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가 기능성 소재로서 제품화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실제 우리의 식생활에서 섭취되고 있는 백미 또는 현미상태에서의 유효성분의 분포 및 함량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의 영양적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유효성분 중 phenolic acid와 폴리페놀 함량을 품종 및 도정도에 따라 조사하였다. 조생종인 오대와 만생종인 남평 품종으로부터 현미와 7분도, 10분도 및 12분도로 도정도를 달리한 백미, 도정도별 미강을 각각 제조하였다. Ferulic acid 등 쌀과 미강에 존재하는 phenolic acid 는 알칼리로 추출한 후 pH를 조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반복 추출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현미에 함유된 phenolic acid는 ferulic acid가 가장 많아 50% 내외를 차지하였으며 p-coumaric acid, benzoic acid, sinapin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오대 현미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65.9 mg%로서 남평 현미의 57.2 mg%보다 높았으며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백미 중의 총 phenolic acid 함량은 감소되었다. 미강 중에는 백미의 10배 량에 해당하는 phe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benzoic acid와 m-hydroxy benzoic acid는 미강 시료에서만 검출되었다. 도정한 백미 중의 phenolic acid는 28.8∼51.7 mg%, 미강에서 321.4∼438.4 mg% 범위로 나타났다. 현미, 백미 및 미강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표준 페놀화합물로 카테친을 사용하고 비색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오대 현미의 폴리페놀 함량은 78.4 mg%, 남평 현미 88.8 mg% 였다. 도정한 백미 중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30.3∼56.9 mg%, 미강이 541.5∼472.6 mg%의 범위였다. 이상과 같이 쌀에는 phenolic acid 및 총 폴리페놀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배유보다는 강층에 많이 존재하므로 이들 성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쌀의 섭취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초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 안은영;신동화;백남인;오진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80-687
    • /
    • 1998
  •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75% 에탄올 추출물이 L. monocytogenes 5 균주에 대하여 뚜렷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어 용매 분획한 후 활성이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었고 이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연속으로 2회 정제하여 황색 분말의 항균 활성 소획분을 분리하였다. 활성 소획분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10{\sim}50\;ppm$ 수준에서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고 50 및 100 ppm 농도에서는 살균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S. aureus에 대해서는 $30{\sim}50\;ppm$ 수준에서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E. coli에 대해서는 100 ppm 농도에서도 증식억제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IR, $^1H-NMR$$^{13}C-NMR$로 기기분석하여 활성 획분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감초에 함유된 flavanone 화합물의 하나인 liquiritigenin으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