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이전트 기반 화상회의 시스템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74 seconds

An Automatic QoS Tuning Method for Improving Flexibility in Agent-based Flexible Videoconference System (화상회의 시스템의 유연성 개선을 위한 에이전트 내 QoS 자동 튜닝법)

  • Lee Sung-Doke;Kang Sa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511-514
    • /
    • 2005
  • 에이전트 기반 플렉시블 화상회의 시스템은 데스크 탑 컴퓨터로 화상회의 시스템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시스템의 내 ·외적인 다양한 변동 및 이용자에게 가해지는 부담의 감소를 목적으로 설계된 화상회의 이용 지원환경이다. 본 논문에서는 플렉시블 화상회의 시스템의 유연성을 개선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 자동 튜닝법을 적용한 화상회의 매니저 에이전트의 새로운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제안한 화상회의 매니저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구축된 플렉시블 화상회의 시스템은 일반 이용자들이 화상회의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서비스 품질 요구 변경 및 시스템 부담 등의 문제를 유연하게 해결한다. 매니저 에이전트는 다른 에이전트들과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긴밀하게 협조를 하며, 문제 해결의 진행상황을 고려하면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조정한다. 조정된 파라미터에 의해서 시스템은 내 ·외적 변동 대한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고 또한 이용자에게 가해지는 부담도 감소한다. 결국, 제안 아키텍처를 적용한 시스템이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여 유연성이 증가되었음을 실험을 통하여 증명한다.

  • PDF

A Videoconference System based on Agent Knowledge for Flexible QoS Control (유연한 QoS제어를 위한 에이전트 지식 기반 화상회의 시스템)

  • Lee Sung-Dok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11
    • /
    • pp.1047-1058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gent architecture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videoconference systems with strategic-INTER knowledge. The proposed architecture achieves more flexibility by selecting dynamically the strategy of QoS (Quality of Service). To select the strategies, the systems have to take into the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of problems occurred on QoS and the status of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architecture is introduced as a part of knowledge base of agent dealing with cooperation between software modules of videoconference systems. We have implemented the architecture and our prototype system shows its capability of flexible problem solving against the QoS degradation, along with other possible problems within the time limitation.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can improve its flexibility of a videoconference system compared to conventional systems.

KQML-based Multi-agent Structure for the Teleconferencing System on the Web (웹 화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KQML 기반의 멀티 에이전트 구조)

  • Sung, Mee-Young;Yoo, Jae-H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12
    • /
    • pp.3477-3489
    • /
    • 1999
  • Our study is focused on a multi-agent system which provides the efficient teleconferencing facility with the help of the intelligent agents who allow the participants to minimize the effort to call meeting. Our system has multi-agent architecture and use the KQML to communicate among agents. Communicating through the KQML allows us to overcome the heterogeneity when we add new agents into the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multi-agent structure for the teleconferencing system based on the web and describe in detail the now or the KQML messages among agents.

  • PDF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gent Knowledge for Improving Flexibility in Videoconference System (화상회의 시스템의 유연성 개선을 위한 에이전트 지식 구성 및 평가)

  • Lee Sung-Doke;Kang Sang-G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5
    • /
    • pp.605-614
    • /
    • 2005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gent knowledge and QoS tuning methodology to improve the flexibility of agent-based flexible video-conference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flexibility during video-conferencing, we propose a new T-INTER(Tuning-INTER) architecture of knowledge part in video-conference manager (VCM) agent in which an automatic QoS parameter tuning method is imbedded. The flexible video-conference system structured based on the proposed architecture can cope with the changes in service quality required by users. The VCM agent cooperates with other agents by protocols and executes the automatic QoS parameter tuning task whenever needed. By the tuned parameters, the system is a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internal or external changes and the burden of users can b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section, it is shown that our proposed system outperforms the existing system.

Extension and Evaluation of Cooperation Protocol for Agent-based Videoconference System (에이전트 기반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협조 프로토콜의 확장 및 평가)

  • Lee, Sung-Doke;Jeong, Sang-B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8 no.1
    • /
    • pp.78-85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xtension of cooperation protocol which realizes the autonomous control of QoS and show its effectiveness with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s of our agent-based videoconference system. The autonomous QoS control in the agent-based videoconference system means the framework of adjusting its functions/abilities by itself to cope with the changes of user requirements and system resource situations. But, the original cooperation protocol used by the agent-based videoconference system is not enough to perform cooperation closely to use the limited resources effectively. In our proposal, the cooperation protocol is offended in the following points: (1) introducing a cooperation states, (2) extension of performatives, (3) introducing compromise levels. We embedded the proposed protocol to the agent-based videoconference system and experimented the behavior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on this prototype system, we confirmed that the flexibility of the system is improved.

A Study on Reliable Group Communication Based on CORBA (CORBA 기반의 신뢰성있는 그룹통신에 관한 연구)

  • 한윤기;박한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81-183
    • /
    • 1998
  • 방대한 분산 응용들은 예측할 수 없는 통신 지연이나, 부분적인 오류, 네트워크 결합등을 처리해야한다. 또한, 화상회의, VOD(vido-on-demend),병행소프트웨어 공학과 같은 정교한 응용들은 추상적 그룹 통신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의 CORBA 버전들은 이러한 패러다임을 적절히 수용하지 못한다[7][8]. CORBA 는 주로 Point-to-Point 통신을 하는데 분산 시스템에서 예측 행위를 하는 신뢰성있는 응용기술에 대한 구현은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존 논문에서는 머지 복제 기법을 이용한 에이전트를 통해 신뢰성있는 그룹통신을 지원하는 확장된 CORBA를 제시한다.

  • PDF

Multi-Agent based Hybrid Context-Adaptive System (다중 에이전트기반 Hybrid형 상황 적응 시스템)

  • Cho, Jae-Woo;Lee, Seung-Hwa;Lee,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32-534
    • /
    • 2005
  • 최근 컴퓨팅 환경의 변화와 함께, 무선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제약사항들을 극복할 수 있는 적응형 시스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는 적응형 시스템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취합하여, 클라이언트와 프록시 서버에 작업 모듈을 적절히 분산시킨 Hybrid형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시스템은 주변상황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결정하는 작업은 클라이언트에서 수행하며, 미디어 콘텐츠를 직접 변경하는 적응 작업은 상대적으로 리소스가 풍부한 프록시 서버에서 수행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프록시 서버는 적응에 대한 계산 부하를 적절히 나누어 갖게 되며, 미디어 콘텐츠의 조절뿐만 아니라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파라매터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단지 결정에 대한 지시만을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되는 메시지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작업내역과 같은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시스템을 멀티미디어 통신인 '화상회의시스템'에 적용하여 기능을 실험하였으며, 기존의 적응형 시스템들과 기능적 비교를 통해 본 시스템의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 PDF

Service Platform of Grid Systems for Ubiquitous Multimedia Applications (유비쿼터스 멀티미디어 응용을 위한 그리드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

  • Park Eun-jeong;Shin Heon-shi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1B
    • /
    • pp.9-18
    • /
    • 2006
  • Advances in wireless network are enabling the development of ubiquitous multimedia services. These multimedia services need efficient platforms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mobile computing. We introduce an adaptive service platform based on mobile agent and grid systems while specifying the challenges of ubiquitous multimedia services and focusing on frequent disconnections and scarce resources. We applied our platform to framework RtoA (Ready-to-Attend) which supports mobile users to access compute-intensive multimedia service, specifically, mobile education and video conferencing. RtoA includes hand-off, speaker and listener service which enable people to attend a conference or a class with satisfying quality of multimedia service. ns-2 based simulation verifies that our scheme is an efficient way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and to improve the response time of mobil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