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코드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6초

가정용 가스 보일러 CO발생 검지 장치 전산해석 (CFD analysis of CO detecting device in household gas boiler)

  • 황재순;박주원;신동훈;정태용;채재우;최경석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6년도 에너지.가스.기후변화학회 연합춘계학술대회 및 특별심포지움
    • /
    • pp.164-169
    • /
    • 2006
  • 본 연구는 가정용 가스 보일러의 배기가스 유동특성을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하여 정밀 분석하고 CO 검지 장치의 최적화 설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CFD 상용코드 FLUENT 6.2를 이용하였다. 배기가스 포집위치에서 가스 유속의 균일성과 CO농도 검출기에서의 속도가 주요 성능 인자이며 포집기의 위치, 포집구멍의 크기 및 배기가스의 유량을 주요 변수로 선택하였다. 포집기의 위치는 배기부의 상부와 하부인 두가지의 경우이고 두 경우의 배관 높이 차이는 10 mm이다. 포집구멍의 직경 변화는 3 mm, 4 mm 및 5 mm인 세가지 경우이다. 마지막 변수인 배기가스의 유입속도는 20,000 kcal/hr용량의 k사 가스 보일러가 공기비 1.1일 경우에 정상 연소시 0.5 m/s임을 알았고 저부하와 고부하일 경우를 고려해서 0.3 m/s, 0.5 m/s 및 0.7 m/s의 세가지 경우를 변수로 결정하여 총 18가지 형태의 대상을 전산유체 역학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궁극적인 목표였던 배기가스의 균일성은 한가지 경우를 제외 하고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 때문에 CO검지 장치가 위치할 곳에서의 속도 및 포집구멍의 크기가 CO농도 검출기 유속의 주요 인자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포집구멍의 크기가 5 mm인 6가지 경우 중에서 두가지 경우는 검지장치의 유효속도를 초과하였고 포집구멍의 크기가 3 mm인 경우는 검지장치의 유입 속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포집구멍의 크기는 4 mm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원자력발전소 안전계통 소프트웨어의 확인/검증을 위한 시험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acility for Safety System Software V/V in Nuclear Power Plant)

  • 이순성;서영;문채주
    • 에너지공학
    • /
    • 제7권1호
    • /
    • pp.96-102
    • /
    • 1998
  • 원자력 안전계통의 일부분인 컴퓨터의 사용은 일반 산업분야에서 명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요건 즉 소프트웨어의 확인 및 검증, 하드웨어의 품질요건이 요구된다.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컴퓨터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연계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원자력 안전등급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개발환경이 요구되고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원자력 코드 및 표준에 따라 확인 및 검증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의 하나인 부적절노심감시계통에 대한 시험설비가 개발되었다. 시험설비는 입출력 모의설비, 자료수집계통 케비넷 및 감시컴퓨터의 3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시스템의 성능을 수동시험절차에 따라 검증되었다.

  • PDF

구리밀봉 증기발생기의 열적크기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Thermal Sizing of a Copper Bonded Steam Generator)

  • 김의광;김연식;어재혁;김성오;백병준
    • 에너지공학
    • /
    • 제12권2호
    • /
    • pp.84-92
    • /
    • 2003
  • 구리밀봉 증기발생기의 열적크기 계산을 위한 1차원 열수력코드를 개발하였다. 고온 및 저온측 전열관사이의 구리의 열전도는 1차원으로 가정하고, 전열관 피치의 함수로 열저항을 구하였다 물/증기측 유동영역은 아냉, 포화핵비등, 포화막비등, 과열영역의 4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매개변수 연구를 위한 전열관 갯수는 250에서 3500이며, P/D비율은 각각1.4, 1.6, 1.8로 하였다. 계산결과, 전열관 갯수가 2500일 때 전열관 길이는 약 12 m, 직경은 약 3 m이다. P/D를 증가시키면 구리에 의한 열저항 성분이 증가하지만 전열관 길이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중수로 원전에서 액체방출밸브의 개방압력에 대한 민감도평가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LRV Opening Pressure in CANDU)

  • 김성민;고동욱;유성창;김종현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40-44
    • /
    • 2015
  • 중수로 일차냉각재계통 액체방출밸브의 개방압력에 대한 안전여유 및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열수력코드로 경년열화가 반영된 노심에 대해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과거에는 안전해석을 수행할 때 안전여유와 시간지연을 반영하여 평가하지 않았으나, 월성1호기 안전해석 인허가 심사과정중 반영 평가하였다. 중수로 안전해석에서 압력경계는 일차냉각재계통 액체방출밸브이다. 따라서 액체방출밸브 응동이 안전해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안전여유와 시간지연 부가가 안전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해석에 반영하기 위해 일차냉각재계통 과압이 걸리는 사고들에 대해 평가하였다.

에어챔버가 설치된 가압펌프 계통에서의 수격현상 (Water Hammer in the Pump Pipeline System with an Air Chamber)

  • 김상균;이계복
    • 에너지공학
    • /
    • 제16권4호
    • /
    • pp.187-193
    • /
    • 2007
  • 갑작스런 펌프 정지로 야기되는 수격현상은 과압이나 부압을 일으킬 수 있다. 과압을 줄이거나 부압을 방지하는 것은 계통설비의 피로를 피하고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에어챔버가 설치된 펌프 관로 계에서 수격현상에 대한 현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특성 곡선법을 사용하여 과도현상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계통에 대한 헌장시험과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수치해석코드에 사용되는 주요 입력변수인 폴리트로픽 지수, 유량계수, 압력파의 속도에 대한 보정값 검증과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격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챔버의 크기와 관련 변수의 영향이 현장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연구되었다.

차세대 원자로 정지냉각계통의 냉각 성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ooldown Performance of Shutdown Cooling System of Korea Next Generation Reactor)

  • 유성연;이상섭
    • 에너지공학
    • /
    • 제8권4호
    • /
    • pp.525-532
    • /
    • 1999
  • 한국형 차세대 원자로는 ABB-CE사의 System 80+의 설계개념을 근간으로 하여 표준화된 원자로의 계통설계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원자로 정지냉각계통의 운전시 요구되는 인허가 요건등제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해석하였다. 또한 운전시 필요한 열교환기의 유효면적과 원자로 기기냉각수 유량등 기본적인 설계자료를 산출하여 차후 차세대 원자로 정지냉각계통의 상세설계 업부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핵증기공급계통 (NSSS)의 기술개발을 이루는데 목적이있다. 차세대 원자로는 울진 3, 4호기 열출력 2.825MWth 에 비해 열출력이 4,000MWth 로 증가되어 정지냉각계통의 관련서례자료를 새로 산출해야하므로 정지냉각계통의 냉각능력을 평가하는 KDESCENT 전산코드를 이용하여 원자로 노심의 잔열과 정지냉각계통의 현열을 제거할 수 있는 최소 유량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구성기기인 열교환기, 펌프, 밸브 및 기타 기기의 기능 및 정지냉각계통의 운전절차를 고찰하였다.

  • PDF

건물용 연료전지 복합배기구조 안전 실증평가 (An Empirical Evaluation of Safety of the Common Vent Structure for Stationary Fuel Cell Systems)

  • 이은경;이정운;문종삼;이성희;신동훈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596-605
    • /
    • 2018
  • Interest in hydrogen, as an energy carrier, has been growing to solve the problems on shortage of fossile fuels and greenhouse gas. According to the standard KGS FU 551 for stationary fuel cell installation, the fuel cell system could be connected up to two common exhausts to one floor. depending on the required power for building or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in buildings, multiple fuel cell systems could be installed. Afterwards the number of perforations and flues could be decided. Hence, economic efficiency in significantly determined with respect to installation area and the number of fuel cell systems. In addition, the complexity of common vent structure for stationary fuel cell systems could be changed. In this paper, Verific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connecting the common exhaust system to the fuel cell simulation system and the actual fuel cell system. Humidity and temperature were changed at ON/OFF, but no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performance or system malfunction. Exhaust emissions were also measured to obtain optimized values. We intend to expand the diffusion of stationary fuel cells by verifying safety of common exhaust structure.

수소 정제 시스템의 건조 타워 열전달 해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코드 개발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Program Code for Dryer Tower of Heat Transfer Analysis in Hydrogen Purification System)

  • 권수인;진병석;최경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334-341
    • /
    • 2023
  • The purity of hydrogen finally purified in the hydrogen purification process system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uniformity of the purification temperature of the dry tower. A in-house code that can be easily used by field designers has been developed to predict the capacity of the appropriate heat source and the time to reach the temperature of the dry tower. A code was developed to predict unsteady heat transfer using 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o verify the developed code, a grid independence test was performed, and finally, calculations were performed for two cases. In the first case, the time f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jacket to reach 360℃ was about 1,400 seconds when the supply heat source was 1,000 W. And in the second case, the time f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jacket to reach 360℃ was about 710 seconds when the supply heat source was 2,000 W. It was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code well describes the actual test data of the regeneration process of adsorption and desorption, and it is judged that the code developed in the design process of various capacity systems will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heat capacity calculation in the future.

초음파 미립화 노즐의 분무 특성에 미치는 주요 인자의 영향 (Effect of Major Factors on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Atomizing Nozzle)

  • 정선용;이계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7
    • /
    • 2017
  • 분무식 노즐(spray nozzle)은 액체의 표면을 증가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공급하여 액체를 다수의 액적으로 미립화시키는 장치로 연소과정에서의 연료의 미립화 또는 표면이나 입자의 코팅 등 여러 산업분야에 다양한 목적으로 응용된다. 초음파 미립화 노즐은 진동 발생장치로부터 고진동수의 전기에너지를 받아 같은 진동수의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변환기를 갖고 있다. 변환된 에너지를 액체에 부가하여 고주파 진동에 의해 미세한 액적을 생성하여 분사한다. 코팅작업에서 가압되지 않은 저속의 분무는 액적이 튕겨나가지 않고 표면에 달라붙어 과도하게 분사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초음파 미립화 노즐은 초음파 진동부 외벽에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는 공간을 통해 생성된 보조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저속의 액적을 운반하여 분무특성이나 분무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위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원하는 분무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액적의 분사 운동을 모사하기 위해 라그랑지안 분산상 모델(DPM)을 적용한 상용코드 FLUENT를 사용하여 액적 주위의 공기흐름을 동반하는 초음파 미립화 노즐을 해석하였다. 노즐 수축부 형상, 액적의 크기 그리고 공기 측 압력차의 크기를 변화시키며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코팅용 분무를 위한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사물인터넷에서 경량화 장치 간 DTLS 세션 설정 시 에너지 소비량 분석 (Analysis on Energy Consumption Required for Building DTLS Session Between Lightweight Devices in Internet of Things)

  • 권혁진;강남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8호
    • /
    • pp.1588-1596
    • /
    • 2015
  • 사물인터넷에서는 센서와 같은 자원이 제한된 장치들이 인터넷을 경유하여 통신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량화 장치가 응용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IETF에서는 전송계층 UDP를 이용하는 CoAP을 표준으로 제정하였으며, 보안을 위해 DTLS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DTLS는 데이터 손실, 단편화, 리오더링 그리고 리플레이 공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가적인 보상 기술이 추가되었다. 이로 인해 DTLS는 TLS 보다 성능이 저하된다. 경량화 장치는 배터리로 구성된 경우, 배터리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저전력으로도 동작될 수 있는 보안 설계 및 구현 역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소비량 관점에서 DTLS의 성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성능 분석을 위해 Cooja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장치와 IEEE 802.15.4 기반의 네트워크 실험 환경을 구축하였다. 실험 환경을 통해 DTLS 통신을 하고자 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에너지 소비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DTLS의 핸드쉐이크 Flight 별 에너지 소모량, 처리 시간 및 수신 시간, 전송 데이터 크기를 측정하여 코드 크기, 암호 프리미티브 그리고 단편화 관점에서 분석된 결과를 함께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