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업무 의미감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직장인의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정서적 지원,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 직무성취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worker's stress symptoms and coping related variables: Focusing on emotional support, self-efficacy, job-satisfaction and job-performance)

  • 박영신;이경란;안자영;이상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3호
    • /
    • pp.317-338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 관련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서적 지원(가족, 직장동료, 직장상사), 자기효능감(자기조절, 사회성, 관계, 어려움극복, 업무처리), 직무만족도, 직무성취도가 스트레스 증상 및 대처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교사 559명(초 205, 중 203, 고 151; 남 132, 여 427)이었다. 분석결과, 학교급별로 초, 중, 고등학교 교사는 스트레스 증상과 대처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자 교사가 남자 교사보다 스트레스 증상이 높았으나 대처도 더 잘 하였다. 정서적 지원, 자기효능감, 직무성취도, 직무만족도 변인을 투입하여 중다회귀분석 하였을 때, 스트레스 증상에 대해 남녀 교사 모두 직무만족도가 의미 있는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스트레스 대처에 대해서는 남자 교사 경우에 어려움극복효능감이, 여자 교사 경우에 어려움극복효능감, 동료의 정서적 지원, 직무성취도, 가족의 정서적 지원이 의미 있는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남녀 교사 모두 높은 직무만족도는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남녀 교사 모두 높은 어려움극복효능감은 스트레스의 효율적 대처에 기여하였으며, 여자 교사 경우에는 이외에도 동료나 가족의 정서적 지원 및 직무성취도가 스트레스 대처에 도움이 되었다.

  • PDF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 on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이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84-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신입사원의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이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인에 따라 자기효능감과 직업적응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성공에 대해 노력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서도 노력 귀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운 귀인을 할 때 직장만족도, 업무만족도, 자기효능감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나 직업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적 성공에 대한 귀인과 직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입사원이 자신의 노력에 따라 직업적 성공이 좌우된다고 인지할수록 직무를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고 믿고,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더 많은 노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적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에서 신입사원에게 직업적 성공에 대한 노력 귀인을 습득할 수 있도록 내재적 및 외재적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직업적응도를 높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폴리텍대학의 기술향상훈련이 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technological improvement training staff at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 이운성;고경한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69-75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폴리텍대학에서 기술향상교육훈련을 1회 이상 받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 3일부터 11월 25일까지 총 62부 설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은 27개 문항 중 11개 문항을 제거 후 최종 16개 문항을 사용하여 5개 요인을 도출되었고 유의확률 p=.000로 타당성이 검증된다. 공선성 진단 결과는 Durbin-Watson 값은 각각 1.787, 1.780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폴리텍대학의 기술향상훈련이 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내용의 적합성(p<.05, ${\beta}=.434$)과 방법의 효율성(p<.05, ${\beta}=.328$)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소속감은 목적의 명확성(p<.05, ${\beta}=-.338$), 방법의 효율성(p<.05, ${\beta}=.394$)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술향상훈련과 이직태도 간의 상관관계는 방법의 효율성-업무만족도(.311), 방법의 효율성-목적의 명확성(.350), 방법의 효율성-내용의 적합성(.771), 목적의 명확성-내용의 적합성(.467), 업무만족도-내용의 적합성(.191)으로 나타났으나, 소속감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폴리텍대학의 기술향상훈련이 근속년수에 따른 이직태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술향상훈련이 이직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을 검증한 것에 연구의 의미가 있다.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s' Socio-emotional Problems on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 최수찬;박해웅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177-196
    • /
    • 2005
  • 현대 산업사회의 기업 근로자는 극심한 경쟁과 과다한 업무에 노출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지원의 부재로 말미암아 다양한 사회정서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자의 당면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개인의 정신건강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근로자의 삶의 질을 훼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가 당면하는 사회정서적 문제가 직장 및 개인생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조직, 퇴직고충, 직장폭력 등의 직장생활 분야와 가족관계, 자녀교육, 위기문제 등의 가정생활 분야, 그리고 문화생활 및 건강관련 분야에서 폭넓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개인의 동기유발이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 지지의 역할은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근로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사회적 자원이나 지지 체계가 우울감을 낮추거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직차원의 대응과 노력이 절실히 요청된다.

  • PDF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Teaching Efficacy)

  • 강이슬;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5-352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내적 교육신념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및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36개월 미만의 영아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결과처리를 위하여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이 개인적 교수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교수효능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보통보다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업무관련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아들과의 활동 스트레스, 개인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에서 일반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적 교수효능감 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는 교육수준, 월 급여, 근무시간이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월 급여가 적을수록, 근무시간이 많을수록 영아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기 효능감이 직장 스트레스 및 워라밸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모델 활용을 중심으로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p-Stress and Work-Life Balance: Focusing 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한승조;이세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79-6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직장 내 자기 효능감이 직장 스트레스와 워라밸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워라밸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정부에서 주 52시간 근로정책을 추진하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의미하는 워라밸이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가정이나 교육계에서 주로 언급되고 있는 자기 효능감은 그 범위가 가정 및 교육계뿐만 아니라 직장 내에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조 방정식 모델에 포함될 관측변수용 자료들은 5,454명의 성인으로부터의 설문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모델 구축 및 통계분석을 위해 AMOS 21이 활용되었다. 직장에서의 자기 효능감은 직장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자기 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워라밸 수준도 높아지는 것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 내에서 업무 중심적인 직장인이 가정보다 직장에 노력과 시간을 더 투자하기 때문에 워라밸이 낮을 것이라는 의견을 부정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육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워라밸 정책의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다.

아나운서의 직업 만족도와 직업 지속의도 (Announcers' Job Satisfaction and Jon Continuity Intention)

  • 황유선;오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25-4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 콘텐츠 제작 종사자로서 아나운서의 직업 현실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나운서들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를 직업 선택 동기, 조직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평판 차원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아나운서들의 실제 직업 만족도와 직업 지속 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아나운서 직종이 과연 대중이 인식하는 이른바 인기 직종 관념과 얼마나 부합하는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현직 아나운서 대상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다. 응답자는 총 106명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아나운서들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는 업무에 대한 외재적 동기가 아닌, 내재적 동기와 관련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아나운서 업무 만족도 및 직업 지속 의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요인은 조직일치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평판 요인은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아나운서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가 외적 보상이나 조건 및 평가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창의성역량 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부모협력을 통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through Parent Cooperation)

  • 안태욱;이일한;박재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25-39
    • /
    • 2017
  • 전통적인 대학의 역할에서 사회진출을 하기 위한 진로 측면을 강조되어왔고, 최근에는 창업을 진로의 측면으로 강조하여 대학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확산되고 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창업을 자신의 진로 측면에서 선택하는 청년들은 비교적 적다. 정부의 주도로 대학 창업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창업의지와 학생 창업으로 연결되는 성과는 매우 낮다. 여전히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실질적인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하다. 그럼으로 창의성 역량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고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부모지지)가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받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393개의 표본을 최종적으로 검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협업적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혁신적 업무행동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혁신적 업무행동 능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협업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간에 사회적지지(부모지지)의 조절효과는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교육을 통해 창의성 역량에 대한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대학생들의 실질적인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 부모협력을 통한 사회적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있는 연구결과 도출하였다. 따라서 대학들은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반드시 개설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학생창업을 위한 정책 수립과 창업교육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 PDF

여성예비과학교사에 대한 교직수행능력검사도구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Ability Test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Female))

  • 장정은;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53
    • /
    • 2009
  •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교육 현장에서 성공적인 과학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지적인 능력 이외에도 다양한 업무와 복잡한 인간관계 속에서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적절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과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실천지능, 교직수행지능을 측정하는 검사를 제작하고 이를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교직수행능력을 교과 교육, 행정업무, 인간관계, 전문성 신장의 네 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PATPSP의 총점과 하위영역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p<.01), 특히 교과교육과 행정업무는 PATPSP 총점과의 상관이 가장 높고, 두 영역간의 상관도 높게 나타났다. PATPSP이 측정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직수행능력과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교직수행효능감 검사가 측정하는 '효능감(정의적 특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예비과학 교사의 교직수행지능이 효능감과 같은 정의적 특성과는 구별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예비과학교사의 학년, 전공과 같은 배경 연인의 특성에 따라 교직수행지능이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한 결과, 학년별 집단에서만 통제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직수행능력이 학년과는 관련이 있지만 전공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여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검사결과를 전체 예비과학교사에 대한 것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PATPSP의 개발과 적용으로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직수행능력을 측정해봄으로써 이를 참고로 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성공적인 과학교사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다중이용시설의 테러대비를 위한 테러리즘 해석 (Interpretation of Terrorism Threats in Soft-Target for Public Safety)

  • 오한길;이명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11-3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의 테러대비를 위한 테러리즘 의미를 고찰하여 비교해석 함으로써 국가안보와 공공안전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중적 법적 해석으로 발생하는 이격을 줄이기 위해 진행 되었다. 최근 불특정 다수의 공포감을 극대화를 위한 민간 다중이용시설의 테러증가와 북한에 테러위협, 국내에 발생가능 자생테러를 대비하기 위해 테러행위에 대한 명확한 해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국외의 테러관련 법을 고찰하여 테러리즘에 대한 전쟁행위, 범죄행위, 사고행위를 구분하였으며 이를 통해 부처별 고유업무에 혼선을 줄이는 해석 방법을 제공하였고, 테러리즘 정의의 법적 미비점을 도출하여 개선방향을 제언함으로서 사후 국가위기상황 재난관리에 대한 대테러 전략 구축 및 개선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