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업무수행분석

Search Result 1,96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서울시내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 지식과의 관계

  • Jo, Won-Jeong;Gang, Hae-Si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1
    • /
    • pp.30-51
    • /
    • 1991
  • 본 연구는 산업간호사가 수행하는 산업간호업무 수행실태를 파악하고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직무만족도와 지식의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91년 4월 26일 부터 5일 3일까지의 총 8일간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사업체의 산업간호사 77명을 대상으로 연구자와 조사자 1명이 직접방문을 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분석방법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업 간호업무 수행 정도는 근로자건강관리업무 중의 통상질환관리 업무를 대상자의 97.6%가 실시하여 수행정도가 가장 높았고, 가장 수행정도가 낮은 업무는 근로자복리중 진업무로 대상자의 40.2%만이 실시하고 있었다. 산업환경위생관리업무(실시율 45.5%), 직업병 관리업무(실시율 43.1%), 산업보건교육업무(실시율41.5%)로 역시 낮은 실시율을 보였다. 2. 산업간호사 직무만족도는 최대가능점수 240점에 대하여 점수 143.8점이며 최대평점 5점에 평점 3.0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전문적위치, 자율성면에서 3.4점으로 높았으며 보수에 관한 만족도는 평점 2.3으로 가장 낮아 산업간호사들이 보수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산업간호사의 산업간호업무 관계지식정도는 최대가능점수 21점에 대하여 점수 17.9점을 나타내었다. 영역별로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지식은 건강관리실운영업무 관계지식으로 정확하게 알고있는 사람이 63명으로 전체의 81.4%이었고, 가장 낮게 알고 있는 지식은 산업환경위생관리 업무 관계지식으로 정답자는 42명(54.2%)이었다. 4. 산업간호업무 수행정도와 직무만족도 및 지식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본 결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r=.3010, P<.01), 업무수행정도와 지식정도 역시 순상관관계 (r=.2591, P<.05)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직무만족도와 지식정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에서 나타난 산업 간호사의 업무수행은 통상질환관리 위주의 업무로서 직업병 예방, 산업보건교육, 산업환경위생관리 업무등에는 수행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수행과 직무만족도 및 지식정도는 순상관관계가 있어 직무만족도와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업무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기행렬 모형을 사용한 기업 업무절차의 수행시간 예측

  • Ha, Byeong-Hyeon;Bae, Jun-Su;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48-551
    • /
    • 2004
  • 합리적인 업무 수행도의 예측을 통해 기업은 기존 업무절차의 평가뿐 아니라 업무 개선방안과 새로운 업무의 설계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업무효율지표들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업무절차의 수행시간을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업무는 예측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안정된 성격을 가진다. 우리는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 대기행렬 모형을 구축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정적인 방식의 업무실행 시 수행시간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성능을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Analyzing the Level and Influence Factors for Work Performance of Field Managers in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일반건설업체 현장관리자의 직무별 업무수행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

  • Park, Kyoung-Hun;Son, Chang-Bae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3
    • /
    • pp.115-124
    • /
    • 2010
  • Along with the recent economic downturn,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also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and obstacles. To overcome this situations, now they are trying to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project performance through many means including the reduction of fixed cost expenditures. Level of work performance of construction field managers is very important factor of productivity improvement for successive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level and influence factors for work performance of field managers in construction companies through analysis of work burden and level of work performance. Also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basic data of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enhanc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n future.

A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Method in Valued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s (가중치 워크플로우 소셜 네트워크의 사이중심도 분석방법)

  • Kim, Mee-sun;Kim, Kwang-hoon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7 no.1
    • /
    • pp.65-71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nalysis method and its algorithms to perform the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ments on a valued and directed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The conventional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model is to represent the existences of task transferring relationships among their performers by using a binary social network.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existences of task transferring relationships but also their quantities and directions in order to obtain much more effective and sophisticated 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this paper newly defines a concept of valued and directed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and its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method and algorithms. Especially,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and algorithms, we try to apply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proposed method to an example workflow model respectively, and compare their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is results.

Effect of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기대업무와 수행업무 격차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Choi, Ha-Na;Bae, Hyun-Sook;Cho, Young-Si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5
    • /
    • pp.463-46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A total 292 hygienist in dental hospitals and dental offices in nationwide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their daily routine job and job which they expected and measured gap between expected job and performed job, such as chairside assisting, preventive care, consultation, reception. The study showed the gap on chairside assisting job among age, career and showed the gap on consultation among age, education, career and showed the gap on reception among age, career. gap on chairside assisting, salary satisfaction, personal da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gap on chairside assisting, children, salary satisfaction affected turnover intention. The study showed that salary satisfaction and gap on chairside assisting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Personal day affected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affect turnover intention.

A Study of Job Recognition for Record Manger using the IPA (IPA를 활용한 중앙행정부처 기록전문직 직무인식에 관한 연구)

  • Song, Hye Jin;Kim, You-Se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2 no.3
    • /
    • pp.117-136
    • /
    • 2012
  • The study aims at understanding records professions' job areas and conducting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Under the perception whi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cords professions' job for securing their roles and identity, this study conducts a job analysis and categorizes records professions' job into 4 duties, 19 jobs and 78 job elements. The 4 duties includes records management, records office operation,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nd records information services. Furthermore, it researches jobs' importance and performance using the IPA. Accordign to the analysis, the jobs which rank at to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ist are jobs concerning appraisal and disposal. The jobs which ranks at bottom are jobs related to services. In general the current 'one man records office system' is not appropriate to carry out all the records management business.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lighten records profeesions' workload through the job adjustment in government institutions.

An Analysis on the Design for Safety Work Performance of Owner and Designer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발주자 및 설계자의 DFS 업무수행능력 분석 및 향상방안)

  • Shin, WonSang;Son, ChangBae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5
    • /
    • pp.95-103
    • /
    • 2019
  • While the Design for Safety (DFS)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the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who are implementing this system still have a very low awareness of it. Most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have a negative view of this system due to a variety of reasons, including the additional workload and their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to improve the DFS work performance by standardizing the DFS work process and analyzing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in each business carried out by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t execution of DFS business.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DFS work performance of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the development of a business support system is suggested, which supports key works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the provision of measures to reduce such factors, and risk assessment, and provides relevant information to allow ordering parties and designers to prepare the DFS report smoothly.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업무 분석

  • Yun, Sun-Nyeong;Park, Jeong-Hui;Kim, Myeong-Sun;Im, Hye-Gyeong;Lee, Ae-Gyeong;Lee, Nam-Jun;Hyeon, Hye-Jin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 /
    • v.2
    • /
    • pp.13-25
    • /
    • 1992
  • 본 연구는 업종별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업무의 내용과 수행정도를 측정하고 업종별 보건관리업무 수행정도를 비교 분석코저 한다. 연구방법은 산업간호사회에 등록된 산업장중 서울, 인천, 마산, 창원, 부산, 울산 지역에 있는 130개 산업장을 임의로 선정하여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반도와 백분율, 업종간의 보건관리업무 내용별 수행정도는 일원분산분석과 다중검증 비교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업종별로 산업간호사의 업무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보건관리내용은 서비스업에 있어서 근로자의 건강사정에 대한 수행정도가 제조업과 기타제조업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F=4.23, P=.0167) 반면에 근로자의 건강진단과 계속관리, 작업환경 관리업무 수행정도는 제조업과 기타제조업에서 서비스업보다 높게 나타났다.(F=9.78, P=.0001 ; F=5.366. P=.005) 2) 업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보건관리내용은 산업장진단 또는 건강문제분석, 보건교육, 통상증상에 대한 투약, 기록과 보고, 건강관리실 운영 등이었으며 업무수행정도는 가끔 또는 필요시하는 정도로 나타났다. 반면에 조사, 연구 참여에 대한 수행정도는 세 업종 모두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산업장 간호사의 신규교육이나 직무교육과정운영이 업종별로 운영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산업간호사의 직무 중 보건 교육, 통상질환에 대한 투약, 기록 및 보고, 건강관리실운영등은 업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수행정도는 낮은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실제적인 직무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보건교육도 업종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다양한 보건교육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Effect of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on Job Competency (전문직업관 구성요인이 업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Yoo, Je-Bok;Hong,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407-40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업관이 업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호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간호 서비스 종사자 대상으로 수집한 193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직업관의 구성 요소 중 전문적 자아개념이 업무수행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업무 전문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인식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업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전문직업관을 어떻게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엿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A Convergence Investigation on Nursing Task Performance, Appropriate Performer,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ith Shift Work in General Ward (교대근무를 하는 일반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실태, 수행주체와 직무만족에 대한 융복합적 조사연구)

  • Park, Kyongok;Yi, Yeojin;An, Jiw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7
    • /
    • pp.295-304
    • /
    • 2021
  • This study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to investigate the nursing tasks performance, appropriate performer, and job satisfaction in the general wards with sift work. We found that nurses performed direct (45%) and indirect nursing (55%). The workload per shift was 37.2% in the day, 35.6% in the evening, and 27.2% at night. The tasks performed after handover were 'direct nursing (34.5%)' and 'documentation and notification (25.8%)'. Nurses responded that there were some tasks that could be delegated to nursing assistants or had ambiguous boundaries with other medical personnel.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pliance to the job description of the night shift and job satisfaction (rs=.43, p=.01).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will enhance work efficiency based on job analysis by shift work, reduce handover time using EMR system, stmart devices, and clarify appropriate perfor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