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얼룩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Adult Female Mosquitoes Collected Using New Jersey Light Traps in the Republic of Korea, 1981-1982 (유문등 채집에 의한 모기 자충의 개체군 밀도와 분포(1981-1982))

  • A, Wildie-John;Yi, Song-Chu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10 no.1
    • /
    • pp.55-65
    • /
    • 1984
  • 韓國內 9個道別 地域 가운데 5個道의 駐韓美軍事地域에서 39個의 誘蚊燈에 의하여 2,114 Trap night를 稼動하여 2년동안 채집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屬, 14種, 65,847마리의 암모기가 收集되었으며 금빛 숲모기, 중국 얼룩날개 모기, 빨간 집모기, 작은 빨간 집모기가 가장 넓게 분포되어 主種을 이루었다. 2. 작은 빨간 집모기가 수집된 전체 암모기의 55.4%를 차지하였으며 5개도 전역에 걸쳐 분포되었으나 90% 이상이 평택지역에서 수집되었다. 이 종은 7월부터 수집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높은 개체군 밀도를 나타내고 9월부터 감소한다. 1982년 채집된 모기수는 1981년 모기수의 5배에 達했다. 3. 중국 얼룩 날개 모기는 수집된 전체 암모기수의 28.2%를 나타냈고 5월부터 散發的으로 나타나서 7,8월에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이고 9월부터 감소한다. 1981년과 1982년의 채집된 모기수는 큰 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금빛 숲모기는 수집된 전체 암모기수의 8.8%를 나타냈고 5개도 전역에 걸쳐 발생하나 주로 지방에서 수집되었다. 이 종은 5월부터 나타나서 6월에 가장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이고 그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8월에 다시 조금 높은 발생을 나타내나 6월의 그것에 비하여 낮다. 5. 빨간 집모기는 전체 암모기수의 5.3%를 차지하였고 5개도 전역에 여름에 걸쳐 고루 분포되었다. 6. Anopheles lesteri는 평택지역에서 네마리가 채집되었으나 이 종은 중국 얼룩 날개 모기와 형태학적인 區分이 어려워서 더욱 면밀한 考察이 필요되어지며 나머지 9종의 모기는 매우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7. 살충제와 모기 驅除法에 관하여 간락하게 논의되었다.

  • PDF

Mosquito Larvicidal Activity of Synechocystis PCC6803 Transformed with the cry11Aa gene to Culex tritaeniorhynchus and Anopheles sinensis (Cry11Aa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Synechocystis PCC6803의 작은빨간집모기와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한 살충효과)

  • 이대원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3 no.1
    • /
    • pp.35-41
    • /
    • 2004
  • Bacillus thuringiensis produces crystal proteins toxic to medically and agriculturally important pests during sporulation. To improve the activity of insecticidal crystal protein in applying to mosquito larval control, an expression vector, pSyn4D harboring the mosquitocidal cry11Aa gene under control of psbA promoter of Amaranthus hybridus was constructed. This expression vector was transformed into Synechocystis PCC6803 and a transformant, Tr2C was selected with kanamycin. The mosquitocidal cry11Aa gene was stably integrated Into genomic DNA of Tr2C in PCR detection using cry11Aa-specific primers. The transformant expressed 72-kDa Cry11Aa protein and median lethal time (LT$\sub$50/) was approximately 2.1 days for Culex tritaeniorhynchus larvae and 0.7 day for Anopheles sinensis larva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is transformant can be used for mosquito larval contro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Exomala orientalis(Coleoptera : Scarabaeidae)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에 대한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

  • Lee Dong-Woon;Kim Hyeons-Hwan;Lee Sang-Myeong;Choo Ho-Yul;Choi Woo-Goun;Kweon Tae-Woong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19 no.1
    • /
    • pp.39-46
    • /
    • 2005
  • The 21 strains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strain(HbH), Heterorhabditis sp. 202, 205, 217, Heterorhabdiris sp. KCTC 0991BP strain,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ScP), S. longicaudum Gonaju, S. longicaudum Nonsan, Steinernema sp. 7,24, 52, 55, 60, 64, 206, 207, 209, 210, 219, and 227 strain} were evaluated for the control of a turfgrass insect pest, Exomala orientalis. Heterorhabditis spp. showed higher pathogenicity than Steinernema spp. against 3rd instar larvae of E. orientalis with $55\%$ mortality by Heterorhabditis sp. 202 strain and $50\%$ by HbH and Heterorhabditis sp.205 strain at the rate of 200 infective juveniles per larva 14 days later after treatment. The number of infective juveniles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in 3rd instar larvae of E. orientalis was higher in Heterorhabditis spp. than in Steinernema spp.. In general, numbers of produced infective juveniles of three species were much higher, i.e., Heterorhabditis sp.202 strain produced 273,064 infective juveniles, S. carpocapsae Pocheon strain 273,043, and Heterorhabditis sp. 217 strain 248,887, respectively.

Podosphaera pannosa Causes Powdery Mildew and Rusty Spot on Peach Fruits from Korea (복숭아 과실에서 흰가루 증상 및 녹얼룩점 증상을 일으키는 Podosphaera pannosa)

  • Shin, Hyeon-Dong;Cho, Sung-Eun;Choi, In-Young;Seo, Kyoung-Won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 /
    • v.46 no.2
    • /
    • pp.193-199
    • /
    • 2018
  • The fungus, Podosphaera pannosa, was identified in 1991 as the cause of powdery mildew symptoms on peach (Prunus persica var. persica) fruit from Kore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l state. Recently, however, in Serbia and France, the cause of 'rusty spot' found on peach fruit was identified as P. leucotricha, and the cause of 'powdery mildew' on nectarine (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fruit was identified as P. pannosa.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Korean pathogen, we collected four samples of powdery mildew from Korean peach fruit: three with the 'powdery mildew' symptom and one with the 'rusty spot' symptom. Morphological examination of the four samples confirmed P. pannosa as the pathoge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DNA were analyzed for molecular characterization. A phylogenetic tree showed that the Korean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a clade containing P. pannosa from Rosa species, with high sequence similarities of more than 99%. Thus, we showed that the powdery mildew and rusty spot symptoms on peach fruits from Korea are associated with P. pannosa.

병충해 방제 - 칠엽수 잎마름병 (Leaf blotch)

  • Kim, Gyeong-Hui
    • Landscaping Tree
    • /
    • s.142
    • /
    • pp.47-48
    • /
    • 2014
  • 칠엽수는 마로니에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나무이며, 마로니에는 칠엽수 집안의 나무들을 통틀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일본 원산인 칠엽수, 소아시아 원산이며 열매 겉에 가시가 있는 가시칠엽수는 우리나라의 가로수나 공원수로 많이 심겨져 있다. 이런 칠엽수류에 여름이면 잎에 갈색의 큰 반점이 생기며 지저분해지는 잎마름병이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이 병을 소개한다. 칠엽수 얼룩무늬병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한국식물병리학회의 공식적인 병명은 칠엽수 잎마름병이다.

  • PDF

미국의 양면인쇄기 활용사례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s.38
    • /
    • pp.131-135
    • /
    • 2005
  • 인쇄업체와 제조업체가 양면인쇄에 대해 논의할 때는 효율성과 유연성과 같은 단어들이 항상 따라 나온다. 단면 인쇄기와 달리, 양면 인쇄기는 양면인쇄에 한번의 작업준비만 필요하며 사실상 수동으로 하는 용지 조작 및 건조 시간 등을 절감한다. 이와 함께 양면인쇄기는 인쇄업체들이 새로운 응용시스템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며 얼룩발생과 같은 문제점들도 철저히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