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얼룩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5초

유문등 채집에 의한 모기 자충의 개체군 밀도와 분포(1981-1982)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Adult Female Mosquitoes Collected Using New Jersey Light Traps in the Republic of Korea, 1981-1982)

  • A, Wildie-John;Yi, Song-Chu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5
    • /
    • 1984
  • 韓國內 9個道別 地域 가운데 5個道의 駐韓美軍事地域에서 39個의 誘蚊燈에 의하여 2,114 Trap night를 稼動하여 2년동안 채집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屬, 14種, 65,847마리의 암모기가 收集되었으며 금빛 숲모기, 중국 얼룩날개 모기, 빨간 집모기, 작은 빨간 집모기가 가장 넓게 분포되어 主種을 이루었다. 2. 작은 빨간 집모기가 수집된 전체 암모기의 55.4%를 차지하였으며 5개도 전역에 걸쳐 분포되었으나 90% 이상이 평택지역에서 수집되었다. 이 종은 7월부터 수집되기 시작하여 8월에 가장 높은 개체군 밀도를 나타내고 9월부터 감소한다. 1982년 채집된 모기수는 1981년 모기수의 5배에 達했다. 3. 중국 얼룩 날개 모기는 수집된 전체 암모기수의 28.2%를 나타냈고 5월부터 散發的으로 나타나서 7,8월에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이고 9월부터 감소한다. 1981년과 1982년의 채집된 모기수는 큰 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금빛 숲모기는 수집된 전체 암모기수의 8.8%를 나타냈고 5개도 전역에 걸쳐 발생하나 주로 지방에서 수집되었다. 이 종은 5월부터 나타나서 6월에 가장 높은 개체군 밀도를 보이고 그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8월에 다시 조금 높은 발생을 나타내나 6월의 그것에 비하여 낮다. 5. 빨간 집모기는 전체 암모기수의 5.3%를 차지하였고 5개도 전역에 여름에 걸쳐 고루 분포되었다. 6. Anopheles lesteri는 평택지역에서 네마리가 채집되었으나 이 종은 중국 얼룩 날개 모기와 형태학적인 區分이 어려워서 더욱 면밀한 考察이 필요되어지며 나머지 9종의 모기는 매우 적은 수가 채집되었다. 7. 살충제와 모기 驅除法에 관하여 간락하게 논의되었다.

  • PDF

Cry11Aa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Synechocystis PCC6803의 작은빨간집모기와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한 살충효과 (Mosquito Larvicidal Activity of Synechocystis PCC6803 Transformed with the cry11Aa gene to Culex tritaeniorhynchus and Anopheles sinensis)

  • 이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04
  • Bacillus thuringiensis는 포자형성기 동안에 위생해충이나 농업해충에 독성을 보이는 내독소 단백질을 생성한다. 내독소 단백질의 모기 유충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합성에 관여하는 psbA promoter로 모기 살충성 cry11Aa유전자를 발현하는 pSyn4D벡터를 제작하고, 모기 유충이 먹이로 이용하는 Synechocystis PCC6803에 형질 전환시켰다. 형질 전환체들은 kanamycin이 포함된 배지에서 선발되었으며, 정상적인 생물검정을 통해 형질 전환체 Tr2C를 선발하였다. cry11Aa 유전자는 형질전환체의 genomic DNA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 Tr2C는 약 72-kDa크기의 Cry11Aa 단백질을 발현하였으며,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3령 유충과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3령 유충에 75%가 넘는 살충력을 보였다. 모기 유충에 대한 형질전환체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작은빨간집모기 유충과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해 각각 2.1일과 0.7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형질전환체 Tr2C가 모기 유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등얼룩풍뎅이(Exomala orientalis)에 대한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Exomala orientalis(Coleoptera : Scarabaeidae))

  • 이동운;김형환;이상명;추호렬;최우근;권태웅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46
    • /
    • 2005
  • 골프장의 문제해충들 중 등얼룩풍뎅이(Exonala orientalis) 3령충의 방제를 위하여 21계통의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함양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202, 206, 217,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 통,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 S. longicaudum 공주, S. longicaudum 논산, Steinernema sp. 7, 24, 62, 55, 60, 64, 206, 207, 209, 210, 219, 227 계통}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등얼룩풍뎅이 유충 한 마리당 200마리의 선충을 처리하였을 때, 14일 후 치사율은 Heterorhabditis sp. 202 계통이 $55\%$, Heterorhahditis sp. 205 계통과 H. bacteriophora 함양 계통이 각각 $50\%$의 치사율을 나타내어 Heterorhabditis속 선충들의 병원성이 $32.5\%$이하의 치사율을 나타낸 Steinernema속 선충에 비하여 높았다. 등얼룩풍뎅이 3령충 내에서 증식된 선충수는 Heterorhabditis sp. 202 계통이 273,064마리, S. carpocapasae 포천 계통이 273,043마리, Heterorhabditis sp. 217 계통이 248,887마리로 이들 선충들의 증식수가 일반적으로 많았다.

복숭아 과실에서 흰가루 증상 및 녹얼룩점 증상을 일으키는 Podosphaera pannosa (Podosphaera pannosa Causes Powdery Mildew and Rusty Spot on Peach Fruits from Korea)

  • 신현동;조성은;최인영;서경원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93-199
    • /
    • 2018
  • 1991년에 우리나라에서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var. persica) 과실에 흰가루 증상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형태적 특징에 의거하여 Podosphaera pannosa로 동정되었다. 복숭아 과실이 P. pannosa에 감염된다는 사실은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알려져 왔다. 2011년에 Jankovics 등[11]은 세르비아 및 프랑스에서 채집한 10점의 시료를 연구하여 복숭아 과실의 '녹얼룩점(rusty spot)' 증상은 P. leucotricha에 의한 것이며, 천도(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과실의 '흰가루(powdery mildew)' 증상은 P. pannosa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에 발생한 흰가루병을 4점 채집하여 형태적 검경 및 분자적 분석을 통해 병원균의 정체를 밝혔다. 3점의 시료는 흰가루 증상, 1점의 시료는 녹얼룩점 증상을 나타냈다. 형태적으로는 4점 모두 P. pannosa로 동정되었다. 분자적으로는 2점의 시료에서 ITS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99% 이상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maximum likelihood 방법으로 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Rosa spp. 유래의 P. pannosa와 분자계통학적으로 동일한 클러스터에 소속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복숭아 과실의 흰가루 증상과 녹얼룩점 증상은 모두 P. pannosa에 의해 발생됨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병충해 방제 - 칠엽수 잎마름병 (Leaf blotch)

  • 김경희
    • 조경수
    • /
    • 통권142호
    • /
    • pp.47-48
    • /
    • 2014
  • 칠엽수는 마로니에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나무이며, 마로니에는 칠엽수 집안의 나무들을 통틀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일본 원산인 칠엽수, 소아시아 원산이며 열매 겉에 가시가 있는 가시칠엽수는 우리나라의 가로수나 공원수로 많이 심겨져 있다. 이런 칠엽수류에 여름이면 잎에 갈색의 큰 반점이 생기며 지저분해지는 잎마름병이 큰 문제가 되고 있어 이 병을 소개한다. 칠엽수 얼룩무늬병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한국식물병리학회의 공식적인 병명은 칠엽수 잎마름병이다.

  • PDF

미국의 양면인쇄기 활용사례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38호
    • /
    • pp.131-135
    • /
    • 2005
  • 인쇄업체와 제조업체가 양면인쇄에 대해 논의할 때는 효율성과 유연성과 같은 단어들이 항상 따라 나온다. 단면 인쇄기와 달리, 양면 인쇄기는 양면인쇄에 한번의 작업준비만 필요하며 사실상 수동으로 하는 용지 조작 및 건조 시간 등을 절감한다. 이와 함께 양면인쇄기는 인쇄업체들이 새로운 응용시스템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며 얼룩발생과 같은 문제점들도 철저히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