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휘학습전략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4초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분석: 어휘학습전략 중심으로 (Investigat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 김금선;임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35-444
    • /
    • 2014
  • 최근 외국어 학습에 있어 어휘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어휘학습전략 교육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하지만 어휘학습전략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로, 특히 어휘 학습이 필수적인 어린이 영어 학습자 대상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학습 활동과 전략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사용 실태를 알아보고 어린이 영어어휘 지도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영어 교과서 중 총 3개의 교과서와 교사지도서를 선택하고, 수록된 어휘관련 학습활동들을 Schmitt(1997)의 어휘학습전략 분류표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 3종 모두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의 종류를 포함하지 않았다. 3종의 교과서에서 사용된 전략은 상위전략인 발견전략과 강화전략 중 Y사 교과서에서 발견된 '영한사전을 이용한다'를 제외하고는 모두 강화전략이었으며, 암시적인 학습방법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학습자들이 제한된 어휘학습전략을 선호하고 사용한다는 국내 선행연구 [2][4][23]의 결과를 고려해볼 때, 영어교육현장에서는 앞으로 보다 다양한 어휘학습전략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소개하고 활용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겠다.

초등 영어 어휘 습득을 위한 인지전략 기반의 Speaking Training System 설계 및 구현 (Cognitive strategies-based Speaking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vocabulary)

  • 서병태;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91-203
    • /
    • 2015
  • 언어학습에서 어휘는 가장 필수적이고 기본이 되는 단위임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어휘를 지도하고 별도의 학습시간을 제공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어휘를 습득한다는 것은 소리 내어 말하고 듣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눈으로 내용을 이해하고 암기하는 전통적인 언어 습득 방식은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인지전략과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Speaking 중심의 학습 방법을 연구하여 초등 영어 어휘 습득을 위한 인지전략 기반의 Speaking Training system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수준 테스트 후 실험 그룹과 비교 그룹으로 각각 편성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성취감을 높임으로써 학습자의 소리 영어 중심의 어휘 습득을 강화할 수 있었고, 학력향상 뿐만 아니라 학습참여도, 과제수행 정도, 흥미도 등의 자기주도적 능력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놀라울만한 성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실용적인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어휘 지도 방법이 어휘 학습전략 사용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 학생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vocabulary instructional method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affective domain: Focus on an analysis of students' survey responses)

  • 김낙복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3호
    • /
    • pp.89-11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G2). It wa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control group (G1). This results reflect the development of low level high school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positive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G1 and G2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on the first questionnaire. They did, however, differ significantly on the second questionnaire. G2 used more strategies to discover and to consolidate the meaning of the words by means of combining words. In terms of the affective domain, G2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ocabulary growth, memory, self-confidence, motiv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G2 was more inquisitive, interested, challenged, participatory, cooperative, and attentive than G1 in performing the vocabulary task activities. Moreover,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G2 performed more interactive and dynamic activities in solving the given tasks.

  • PDF

한국어 어휘의미망(UWordMap)을 이용한 동형이의어 분별 개선 (Improvement of Korean Homograph Disambiguation using Korean Lexical Semantic Network (UWordMap))

  • 신준철;옥철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호
    • /
    • pp.71-79
    • /
    • 2016
  • 한국어처리 분야에서 동형이의어 분별은 의미처리를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고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주제이다. 최근에 말뭉치를 학습하는 기계학습 방법이 정확률과 속도면에서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미학습 어절을 처리하기 위해 어휘의미망을 이용한 지식기반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말뭉치를 학습한 기계학습 방법에 어휘의미망과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의 기본 전략은 하위범주화 정보를 말뭉치화하여서 기존 말뭉치와 함께 학습시키고, 동형이의어 태깅 시점에서 분석 대상 명사의 상위어를 찾아서 학습정보와 같이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세종말뭉치와 UWordMap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정확률이 96.51%에서 96.52%로 미미하지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상어휘를 기반으로 한 선물 가격 예측모형의 계발

  • 김광용;이승용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지식경영과 지식공학
    • /
    • pp.291-300
    • /
    • 1999
  •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과 귀납적 학습방법 등의 인공지능 방법과 선물가격결정에 대한 기존 재무이론을 사용하여 일상어취로 표현되는 파생상품 가격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모형의 개발은 1단계로 인공신경망이나 기존의 선물가격결정이론(평균보 유비용모형이나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선물 가격을 예측한 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귀납적 학습방법중 CART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If-Then 규칙을 생성하였다. 특히 실용적 측면에서 선물가격의 일상어휘화를 통한 모형개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유용성은 일단 If-Then 규칙으로 표현되어 전문가의 판단에 확실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활용화 될 경우 매우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정확성은 분석표본과 검증표본으로 나누어 검증표본에서 세가지 기본모형(평균보유 비용모형, 일반균형모형, 인공신경망 모형)과 각 모형의 귀납적 학습방법 모형의 다른 3가지 어휘표현방법 3가지를 모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공신경망모형은 상당한 예측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CART를 기반으로 한 일상어취 기반의 선물가격예측 모형은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어 학습자의 원어 연계 전략 (Strateg of Connecting Loanwords to Original Wor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최은지
    • 한국어교육
    • /
    • 제28권2호
    • /
    • pp.185-208
    • /
    • 2017
  •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strategy of associating loanwords to original wor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Loanwords have often been thought as easily learnable because the knowledge of the original word is assumed to be helpful in discovering the meaning. But there is much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emantic transforming in accepting original words in Korean, and therefore, it is not easy to connect Korean loanwords to the original words.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f loanwords and competence of associating Korean loanwords to the original words of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China a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awareness of loanwords is remarkably lower than the awareness of non-loanwords. And, the competence of association also was very low with 17.9% of successful association. This means the learners have difficulty in inferring the meaning of loanwords by connecting that to original words.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학습전략 연구 동향 탐색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of Learning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o-word Analysis)

  • 허영수;박지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5-86
    • /
    • 2021
  •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는 교육의 한 축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이지만 한국어교육의 경우 교육 내용, 교수 방법, 교재 등에 비해 학습자 연구는 미진한 면이 있었다. 이에 학습자 연구, 그중에서도 학습전략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고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연구가 필요한 부분을 도출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습전략 연구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제목에 대해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 관련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읽기'이고, 대상은 '중국인 유학생'과 '결혼이민자'였다. 또한, 연구 주제에 대한 서브그룹 분석 결과를 보면 주요 서브그룹이 네 개가 나타나는데 '학문 목적 읽기' 관련 그룹, '요청, 거절, 대화 등 화행' 관련 그룹, '쓰기' 관련 그룹, '어휘, 듣기' 관련 그룹이다.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과 관련해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 분야가 '읽기, 화행' 등임을 알 수 있으며, 연구 대상과 연구 분야가 부분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다양한 분야와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텍스타일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과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성 분석을 이용한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시스템 (A Fashion Design Recommender Agent System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and Sensibilities related to Textile Design Factors)

  • 정경용;나영주;이정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2호
    • /
    • pp.174-188
    • /
    • 2004
  • 제품의 품질 및 가격뿐만 아니라 물질적 풍요로움과 더불어 다변화 되어가는 생활 환경 속에서 소비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은 제품 판매 전략의 중요한 성공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제품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정서적 감정과 선호도가 반영된 제품의 설계나 디자인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감성과 선호도를 중심으로 소재를 개발하는 방법의 하나로 협력적 필터링 개인화 기법을 응용하여 패션 디자인 추천 에이전트 시스템(FDRAS-pro)을 제안한다. 텍스타일 기반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에서, 예측에 사용될 이웃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 방법을 사용한다. 사용자들간의 유사도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한다. 소재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이나 선호도에 대한 텍스타일의 대표 감성 어휘를 추출함으로써 소재 개발을 위한 감성 어휘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다. FDRAS-pro는 구축된 감성 어휘 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성향이 비슷한 사용자에게 텍스타일 디자인을 추천한다.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성 분석을 하기 위해서, 텍스타일 디자인을 9가지 디자인 요소(디자인 소재, 모티브대 배경비율, 모티브의 변화도, 해석법, 모티브의 배열, 모티브의 명료성, 명도차, 색상차, 채도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패션 디자인 추천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시스템의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Examine the Features of Evidence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book For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 Only about Number and Operations)

  • 김병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3-37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수와 연산' 영역이 학습장애 학생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제작된 분석기준을 활용하여 초등교사 3명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은 전반적으로 중간정도였고, 학년별로 분석해본 결과 1~4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 5, 6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거기반 교수의 특징별로 분석해본 결과, '명확한 목표의 제시, 단일한 핵심개념 및 기술의 지도, 구체적 조작물과 반구체물의 사용, 명시적 교수, 관련된 예들의 제공, 충분한 독립적 연습기회의 제공 그리고 학생 진보의 확인'과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선수 수학 개념들 및 기술들의 복습, 오류 수정 및 교정적 피드백의 제공, 핵심어휘의 지도 그리고 전략들의 지도'와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과 증거기반 교수특징의 포함수준 사이에 부적상관관계 (r= -.343)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