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휘의 수준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Keyword Extraction fo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학문목적영어(EAP)를 위한 키워드 추출)

  • Lee, J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5-256
    • /
    • 2018
  • 영어로 진행하는 전공 수업, 영어로 쓰여진 교재의 사용 등이 빈번한 대학 수준 이상에서의 학업을 위해서는 학문목적영어와 관련된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영어로 진행되는 공부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학생들을 돕기 위해 많은 학자들은 해당 분야의 키워드, 즉 전문어휘 목록 작성을 통해 해당 분야의 어휘 학습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분야의 전문 어휘 추출과 관련한 핵심 개념과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각기 상이한 키워드 추출 방법을 채택한 2개의 선행연구를 통해 실제 키워드 추출이 이루어지는 방법 및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Readability between Documents in the Community Question-Answering (질의응답 커뮤니티에서 문서 간 이독성 비교)

  • Mun, Gil-S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0
    • /
    • pp.25-34
    • /
    • 2020
  • Community question and answering service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Web. The quality of information in question and answer documents is determined by the clarity of the question and the relevance of the answers, and the readability of a document is a key factor for evaluating the quality.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quality of documents used in community question and answering service. For this purpose, we compar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by vocabulary level used in community documents and measure the readability index of documents by institution of author. To measure the readability index, we used the Dale-Chall formula which is calculated by vocabulary level and sentence length. The results show that the vocabulary used in the answers is more difficult than in the questions and the sentence length is longer. The gap in readability between questions and answers is also found by writing instit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online counseling services.

A English Composition Level Assessment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영어작문 문장 수준평가 시스템)

  • Eom, Jin-Hee;Kwak, Dong-Mi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1290-1293
    • /
    • 2013
  • 본 논문은 문장 내에서 나타나는 어휘간의 관계를 통해 표현 수준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영어에세이 코퍼스 내의 문장에서 발생하는 철자 및 문법의 오류와 함께 어휘와 문법 패턴에 따른 표현난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질을 생성하고 다양한 기계학습기법을 사용하여 문장의 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에 연구되어온 규칙기반의 문장 평가시스템을 구현하고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문장 평가시스템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철자 및 문법의 오류율뿐만 아니라 표현난이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자질들이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작문 문장의 수준평가를 위해서 국내 학생들의 토플 에세이 코퍼스를 수집하여 2,000문장을 추출하였고, 4명의 전문평가자들을 통해 6단계로 평가하여 학습 및 테스트 세트를 구성하였다. 성능척도로는 정확률과 재현율을 사용하였으며, 제안하는 방법으로 67.3%의 정확률과 67.1%의 재현율을 보였다.

A Corpus-based English Syntax Academic Word List Building and its Lexical Profile Analysis (코퍼스 기반 영어 통사론 학술 어휘목록 구축 및 어휘 분포 분석)

  • Lee, Hye-Jin;Lee, J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2
    • /
    • pp.132-139
    • /
    • 2021
  • This corpus-driven research expounded the compilation of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academic words in the domain of syntax and compared the extracted wordlist with Academic Word List(AWL) of Coxhead(2000) and General Service List(GSL) of West(1953) to examine their distribution and coverage within the syntax corpus. A specialized 546,074 token corpus, composed of widely used must-read syntax textbooks for English education majors, was loaded into and analyzed with AntWordProfiler 1.4.1. Under the parameter of lexical frequency, the analysis identified 288(50.5%) AWL word forms, appeared 16 times or more, as well as 218(38.2%) AWL items, occurred not exceeding 15 times. The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the coverage of AWL and GSL accounted for 9.19% and 78.92% respectively and the combination of GSL and AWL amounted to 88.11% of all tokens. Given that AWL can be instrumental in serving broad disciplinary needs,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to compile the domain-specific AWL as a lexical repertoire to promote academic literacy and competence.

Automatic Construction of Generalized Lexical Information for Syntactic Ambiguity Resolution (구문 분석에서의 중의성 해소를 위한 일반화된 어휘정보의 자동 구축 및 적용)

  • Chung, Hoo-Jung;Hwang, Young-Sook;Kwak, Yong-Jae;Park, So-Young;Rim, Hae-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269-275
    • /
    • 1998
  • 구문 분석에서의 중의성을 해결하는 데 어휘정보가 유용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어휘정보 구축 방법들은 많은 수작업을 요구하거나, 자동으로 구축하는 경우에는 어휘 자체를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심각한 자료 회귀성 문제가 발생했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분석에서의 중의성 해소를 위해 원시 코퍼스와 시소러스를 이용하여 개념 수준(conceptual-level)의 일반화된 술어-인자 어휘정보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이를 파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구축한 일반화된 어휘정보를 파서를 이용하여 명사구의 지배소 결정 실험에 적용하여 본 결과, 정확도가 85.9%에서 91.5%로 향상되었다. 또, 미지격 결정 실험에 대해서는 86.32 %의 격 결정 성공률을 보여주었다.

  • PDF

기술용어(技術用語)의 국어화론(國語化論)

  • Lee, Dong-H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0.11a
    • /
    • pp.49-56
    • /
    • 1990
  • 기술개발의 근원인 사고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고도 정보화사회에 대응하는 국가의 지적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기술적 개념을 어휘 수준, 구문 수준, 의미수준에서 모국어를 확충 발전시키는 것이 기술 용어의 국어화 과제이다.

  • PDF

Analysis of the Earth Science Vocabularies Used in the 11th Grade Science Textbooks (지구과학 I 교과서 어휘 등급 분석 - 살아있는 지구 단원을 중심으로-)

  • Im, Young-Goo;Park, Hye-Jin;Lee, Hyonyong;Kim, Taesu;Oh, Heeji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2 no.2
    • /
    • pp.87-102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vocabularies used the section of 'Living Earth' in 11-grade Earth science textbooks with the Science Word Analysis (SWA)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vocabularies selected by the 11th grade students as difficult ones. For the purpose, we extracted the Earth science vocabularies from six textbooks, and classified into the scientific and non-scientific vocabularies with SWA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lso, we investigated the difficulty of each vocabulary by using questionnaire to three hundred sixty students. From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the scientific vocabularies out of the level was the largest any other level in all textbooks. And from the survey, most of the vocabularies selected by students as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classified into out of the level. From these results, it were suggested that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and difficult vocabularies should be replaced to easy ones within the limits of changeless in the meanings.

  • PDF

Unsupervised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CoreNet (코어넷을 활용한 비지도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

  • Han, Kijong;Nam, Sangha;Kim, Jiseong;Hahm, YoungGy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53-158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어휘 의미망인 코어넷(CoreNet)을 활용한 비지도학습 방식의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siambiguation)에 대한 연구이다. 어의 중의성 해소의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의미 후보를 나눌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동형이의어와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여 의미 후보를 나누어서 진행하였으며 이렇게 나눈 것이 실제 활용에서 의미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였다. 접근 방식으로는 문맥 속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어휘의 의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중의성 해소를 할 수 있도록 마코프랜덤필드와 의존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식 기반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임의의 모든 어휘에 대해 중의성 해소를 하도록 직접 구축한 데이터 셋에 대하여 80.9%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Unsupervised Korean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CoreNet (코어넷을 활용한 비지도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

  • Han, Kijong;Nam, Sangha;Kim, Jiseong;Hahm, YoungGyun;Choi, Key-Su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53-158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어 어휘 의미망인 코어넷(CoreNet)을 활용한 비지도학습 방식의 한국어 어의 중의성 해소(Word Sense Dsiambiguation)에 대한 연구이다. 어의 중의성 해소의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합리적인 수준으로 의미 후보를 나눌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동형이의어와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여 의미 후보를 나누어서 진행하였으며 이렇게 나눈 것이 실제 활용에서 의미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보였다. 접근 방식으로는 문맥 속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어휘의 의미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중의성 해소를 할 수 있도록 마코프랜덤필드와 의존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식 기반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도 코어넷의 개념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임의의 모든 어휘에 대해 중의성 해소를 하도록 직접 구축한 데이터 셋에 대하여 80.9%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Processing of the Associative Anaphor through Semantic Priming and Inference (의미점화와 추론을 통한 연상 조응사의 처리)

  • 윤홍옥;이성범;조숙환;전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65-71
    • /
    • 2002
  • 우리의 기억에 표상되어 있는 개념의 본질과 근원 그리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연상과 기억구조의 관계에 집중되어 왔다 따라서, 어떤 한 개념과 다른 한 개념이 관계되어 있다는 의미적 혹은 연상적 점화의 양상은 의미기억 구조를 적절히 예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어휘수준에서 보여지는 연상의 양상이 문장수준에서도 유사한 예측을 해낼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어휘수준에서 연상적 관계에 있는 두 개념이 선행사와 연상 조응사라는 문법성을 띠면서 문장에서 예상되는 역할을 수행할 때는, 의미기억의 또 다른 양상을 보여줄 것이라 예측되며, 이것은 문장의 의미·화용적 추론의 기제로 유인되고 있음을 제안하려고 한다. 또한, 의미·연상적 점화와 추론의 기제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은 문장의 응집성과 처리속도 간에도 유의미한 예측을 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