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업

Search Result 3,433, Processing Time 0.076 seconds

학공치 표층예망어구 모형의 운동특성

  • 김석종;조동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57-58
    • /
    • 2001
  • 최근 우리나라는 연근해 어업에 대한 환경변화가 심화되면서 어로작업의 생력화 및 지역특성에 알맞은 어구어법개발이 필요시 되고 있는데 제주도의 경우 주변국가와의 어업협정 이후 어장축소 등으로 말미암아 종래의 어선어업이 위축되면서 따라 연안 유용수산자원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여 어민소득증대에 기여할 새로운 어구어법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학공치 표층예망어구는 장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연안어업의 하나이다. (중략)

  • PDF

열대 태평양 황다랑어.눈다랑어의 풍도와 수온과의 관계

  • 양원석;조규대;박영철;문대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09-410
    • /
    • 2001
  • 태평양 해 역은 1985∼1997년간 우리나라 연승어업에 의한 다랑어류 평균 어획량의 55%를 차지하는 중요한 해역으로 눈다랑어와 황다랑어가 전체 어획량의 82.2%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다랑어 연승어업의 중요 어장인 태평양 해역에 대하여 서부∼동부 해역의 적도 주변에서 한국 다랑어 연승어업에 의해 주로 어획되는 황다랑어와 눈다랑어를 대상으로 풍도 변동, 연직분포, 어획 적수온, 수온 변동에 따른 분포 특성 등을 밝혀 동 해역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의 과학적인 어장 정보 제공과 다랑어류 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어업자원 관리와 공공선택이론

  • 박성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81-282
    • /
    • 2000
  • 본고는 첫째 어업정책 결정에 초점을 맞추어 공익과 특정이익 사이의 상쇄현상을 보이기 위해 구체적 예를 제시하고, 대안적 집단선택 룰(rules)을 처방적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정치선호 가중치의 범위는 헌법이 정하는 집단선택 룰에 의해 정해지며(Rausser and Freebain 1974) 이론적 분석틀의 주요 논점을 설명하기 위해 공유재(commons), 즉 어업자원의 비극을 예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예망어업 어획과정의 3차원 애니매이션

  • 최윤경;김용해;하석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57-58
    • /
    • 2002
  • 예망어업의 혼돈행동 이론이 의한 어획 시뮬레이션 결과는 수중 어구의 3차원 형상과 아울러 어류의 반응행동이 가시화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결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예망 어구의 3차원 수중형상 그래픽(김 등,2000), 어업계측 정보 디스플레이, 어군의 이동 현상 등을3차원 애니메이션하여 실시간으로 구현하였다. (중략)

  • PDF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자동화 조업시스템 개발 -VIII - 생력형 어구의 수중형상 특성 -

  • 장충식;김광홍;안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1-42
    • /
    • 2001
  • 권현망어업은 어선의 예망마력 증대에 따른 어구 규모는 커졌으나 어구 규모의 증대로 인해 조업자동화를 시도하는데는 오히려 걸림돌이 되었으므로 권현망어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어구의 규모 축소와 더불어 어획성능을 향상시킨 생력형 어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략)

  • PDF

경제성 기준에 의한 선망어업 최적선단 구성에 관한 연구

  • Choe, Nak-Gyeong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3
    • /
    • pp.49-57
    • /
    • 2004
  • 선망어업은 우리나라 근해어업을 대표하는 어업으로서 출어 1일당 어획량, 어서 1톤당 어획량 등에서 타 업종을 압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등어 등 대중성 어종을 어획하고 있어 국민 식생활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Mapping of Fishing Activity using V-Pass Data - Focusing on the Southeast Sea of Korea - (선박패스(V-Pass) 자료를 활용한 어업활동 지도 제작 연구 - 남해동부해역을 중심으로 -)

  • HAN, Jae-Rim;KIM, Tae-Hoon;CHOI, Eun Yeong;CHOI, Hyu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1
    • /
    • pp.112-125
    • /
    • 2021
  • Marine spatial planning(MSP) designates the marine as nine kinds of use zones for the systematic and rational management of marine spaces. One of them is the fishery protection zone, which is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fishery products, including the protection and fosterage of fishing activities. This study intends to quantitatively identify the fishing activity space, one of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designation of fisheries protection zones, by mapping of fishery activities using V-Pass data and deriving the fishery activity concentrated zone. To this end, pre-processing of V-Pass data was performed, such as constructing a dataset that combines static and dynamic information, calculating the speed of fishing vessels, extracting fishing activity points, and removing data in non-fishing activity zone. Finally, using the selected V-Pass point data, a fishery activity map was made by kernel density estimation, and the concentrated space of fishery activity was analyz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is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ing vessel and the season. The pre-processing technique of large volume V-Pass data and the mapping method of fishing activities perform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fishing activities in the future.

Risk and The Economics of Acid Chemical Use in Korean taver Farming (김 양식에 있어서 산 이용의 생산위험과 경제성에 관한 연구)

  • Park Seong Kwae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2 no.1
    • /
    • pp.41-55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김 양식 있어서 무기산 또는 유기산 사용 문제와 김 양식 어업인들의 생산위험 회피행위를 고찰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개발하고, 정책함의를 도출하는데 있다. 김 양식의 생산위험 또는 가격위험은 김 양식 어업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의 사길정변수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무기산(또는 폐염산) 또는 유기산은 농업에 있어서 농약처럼 김 양식 어업인들이 생산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종의 보험 생산요소(insurance production inputs)으로 볼 수 있다. 김 양식 어업인들의 생산위험은 평균(1차 적률 mean), 분산(2차 적률 variance), 왜곡도(3차 적률 skewnesss)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특히 김 양식 어업인들은 확률이 낮을지라도 일단 첫병과 잡태(예: 파래 등)가 광범위하고 심각하게 발생하게 되면 생산물의 심각한 질적 저하가 야기된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김 양식 어업인들은 평균생산 뿐만 아니라 생산의 분산과 하향성 확률 분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생산기술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김 양식 어업인들의 위험회피행위를 분석하기 위해 기대효용이론을 채택하고, 미지의 진효용함수를 테일러 시리즈 확장에 의해 3차 적률까지를 근사치로 이용하였다. 이윤에 대한 기대효용 극대화를 위한 1차 최적조건을 구하면, 어떤 산(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얼마만큼 이용하느냐 하는 문제는 생산량의 분산과 하향성 분포에 대한 김 양식 어업인들의 위험회피계수의 크기와 생산요소의 탄성치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하향성 위험회피계수가 높고 3차 적률에 대한 생산요소 산의 탄성치가 클 경우 김 양식 어업인들른 하향성 위험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강력하고 가격이 저렴한 산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된다. 또한 두 가지 산의 효과가 같다면 무기산/유기산의 시장가격과 정부 산 가격 정책이 김 양식 어업인들의 산 종류 선택과 사용량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무기산의 사용이 광범위하고 집약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김 양식부문에서 폐공업용 염산 이용에 의한 생산위험 감소는 해양생태환경 파괴위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 바로 정부 산정책의 딜레마가 있다. 따라서 김 양식의 생산성 증대와 환경보전의 균형 유지에 대한 확고한 정책목표가 필요하며, 이러한 정책목표가 흔들릴 경우 산 문제에 대한 정부정책은 생산성 증대와 환경보전 어느 한쪽 부문에 심각한 왜곡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 PDF

Impact Analysis for Changes in Oil Cost of Anchovy Boat Seine Fishery in South Korea (우리나라 기선권현망 멸치어업의 유류비 변동 영향분석)

  • Yun, Sang-Don;Nam, Jongoh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5 no.4
    • /
    • pp.517-54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economic impacts for changes in the oil cost of the anchovy boat seine fisheries in South Korea. As analytical approach, this study employs the exponential surplus production model to estimate the maximum sustainable yield and also utilizes the bioeconomic model to calculate changes in producer surplus of the anchovy boat seine fisheries under the open access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oil cost. As the result of analysis, increases in the oil cost due to prohibition of duty-free oil supply result in the negative impacts to the producer surplus of the anchovy boat seine fisheries in South Korea. However, increases in the oil cost of the anchovy boat seine fisheries lead voluntary exit to fishermen which can no more run their busines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fishing efforts of the anchovy boat seine fisheries reduce under the fishing efforts of the maximum sustainable yield ($F_{MSY}$) and stock of the anchovy incr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