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메니티자원

Search Result 7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Rural Amenity Contents for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의 어메니티 교육내용 개발)

  • Kim, Eun-Ja;Ryu, Cheong-San;Kang, Bang-Hun;Yoon, Soon-Duck;Kim, Sang-Bum;Hwang, Jeong-Im;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4-94
    • /
    • 2009
  •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교재로서 농촌어메니티 교육내용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농업 농촌 가치관 형성 및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대상 교과서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 39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1~5단계의 내용분석 척도를 설정하여(1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 2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내용, 3단계는 어메내티 개념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때 크게 문제가 없는 내용, 4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좋은 내용, 5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교과서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내용) 판정하였다. 그 결과 1단계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여 교과내용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어메니티 관점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한 교과서 구분을 하여 A, B, C 유형으로 나타내었다. A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20개 이상 나온 교과서, B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19개 나온 교과서, C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평정 1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개 미만으로 나온 교과서를 의미한다. 교과내용 개발 결과 총 262건의 교과내용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문장 132개로 50.38%, 사진 105개 40.47%, 삽화 22개 8.35, 그래프 0.76%, 표 0.3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총 262개 개발내용중에서 '사회자원의 시설'부분에 대한 관점 77개로, '사회자원의 경제활동'에 대한 관점 64개, '문화자원의 경관'에 대한 관점 50개 순으로 집계되었다. 그 다음은 '자연자원의 자연'에 대한 관점이 47개, 문화자원의 역사'에 대한 관점이 9개, '사회자원의 공동체 활동'에 대한 관점이 14개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자원 18.31%, 문화적 자원 22,52%, 사회적 자원 관점이 59.16%로 '사회적 자원 관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농촌어메니티의 사회적 자원이 강조되어야 하며, 문화적 자원, 자연적 자원의 순서로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농촌어메니티개념의 확립을 이하여 현재 농업계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시설, 경제활동, 공동체활동 같은 '사회적 자원'을 보강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PDF

Planning of Exhibit Halls in Rural Tourism Villages Applying Experience Factor(4Es) Theory (체험요소(4Es) 이론을 적용한 농촌마을의 테마전시관 계획 연구)

  • Lee, Jeung Won;Kim, Eun Ja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067-1094
    • /
    • 2012
  • Building of exhibit halls in rural area has been a new trend with increasing investments in rural development. Exhibit hall can be an effective way to specialize rural village with amenity resources which is now in a flood of agritourism. However, most of exhibit halls being operated by rural villages have similar display on similar themes and are poorly managed. To aggressively promote rural amenity resources in villages and make visitors satisfy through their experiences, this research reviewed experience economy theory of Pine and Gilmore(1998) and derived planning guidelines of rural theme exhibit hall applying experiential factors(Educational, Esthetic, Escapist, and Entertainment experiences). Finally, we applied these planning guidelines to a site, Igil village which is located in Cheorwon County, Gangwon-do, with a theme of a red-crowned crane for verification.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stribution and Classification of Rural Amenity Resources - Centered on of Sunchang County in Jeonbuk Province - (농촌어메니티 자원분포와 유형별 자원의 특성 분석 - 전북 순창군을 대상으로-)

  • Park,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4
    • /
    • pp.12-2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menities available in Sunchang-gun, Jeonbuk province in Korea through ananalysis of survey data of rural amenity resources. This survey was performed over 4 years(from 2005 to 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 interview, and Internet 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up-Myun in Sunchang County. A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compare provincial, national and other county data. Furthermore, a rank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type of each region. Through this, the type of rural amenity resources was identified.

Analyzing Works from the Rural Amenity Design Competition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작품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 Kim, Eun-Ja;Kang, Bang-Hun;Kim, Sang-Bum;Yoon, Hee-Jung;Lee, Jeung-Won;Lim, Chang-Su;Lee,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2-92
    • /
    • 2009
  •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자원활용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2003년부터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이하 어메니티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으며 2008년까지 6회의 공모전에서 166개의 입상작이 배출되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수상 작품들을 통해 농촌어메니티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실현가능한 농촌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6년간의 공모전 수상작품을 중심으로 농촌공간, 생산물 및 특산물, 프로그램 등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콘텐츠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으로 제 1회부터 6회까지의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공모전 수상작품 166점 중에서 내용이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어 분석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입선작품을 제외하고 최우수상부터 특선까지 81개 수상작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수상작들은 대부분 한 지역을 대상으로 어메니티자원을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었으며, 설계의 배경 및 목적, 지역 주요자원 분석, 기본 구상, 세부계획, 프로그램 계획의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중 작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설계 목적별 작품 분석결과 우선 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기존 농촌의 주거지 등 마을을 포함하여 마을계획이나 생활개선의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들이 69점으로 전체 작품 중 85%를 차지하였으며, 마을과 프로그램상으로 연계는 하였으나 물리적 대상이 마을로부터 독립된 공원조성 등의 내용을 담은 작품이 12점(15%)이었다. 어메니티 환경계획의 목적과 목표는 각 작품들이 대부분 하나 이상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으며 주요 목적만을 중심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작품 패널 및 설명서의 초반에 명확하게 제시한 설계목적을 분석의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67.9% 작품이 직접적으로 도시민 휴양 및 농촌관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6.9%가 주민의 생활개선, 55.6%가 소득증대, 46.9%가 자연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설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된 주요 어메니티 자원을 분석한 결과 자연경관 26, 농특산물 21, 지명 14, 전통자원 13, 동식물 13점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농촌다움이 살아있는 농촌마을을 구현하고, 지속적인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체계를 수립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menity Improvement Directions for Eup and Myun in Jinan County through a Rural Amenity Resources Analysis (진안군 농촌 어메니티 자원 분석을 통한 읍.면별 어메니티 증진 방안)

  • Park, Jae-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12-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menities for Jinan according to Eup and Myun through an analysis of survey data on rural amenity resources. This survey was performed over a period of 4 years(from 2005 to 2008). The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survey, interview, and internet site. Analyses of descriptive statistics, regression and correlation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up/Myun in Jinan Coun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esource. Rank analysis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 type of each region. Through this,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amenities in Jinan according to Eup and Myun are presented.

Rural Amenity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를 통해 살펴본 농촌어메니티 교과내용)

  • Kim, Eun-Ja;Ryu, Cheong-San;Kang, Bang-Hun;Yoon, Soon-Duck;Kim, Sang-Bum;Hwang, Jeong-Im;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3-93
    • /
    • 2009
  • 본 연구는 농업 농촌의 미래세대 주역으로 활동하게 될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통한 학습기회 제공이 무엇보다 중요함에 따라, 그들이 배우고 있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농촌어메니티 교과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농촌어메니티 및 녹색가치 구현에 대한 인식 중대를 도모하고 올바른 농업 농촌의 가치관을 형성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분석 교과서는 원예, 축산, 농기계, 식품가공 등 총 39종의 농업계 교과서를 대상으로, 농촌어메니티자원 37종을 활용한 어메니티 관점으로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환경자원과 자연자원을 포함한 자연적 자원의 경우(대기질, 수질, 비옥한 토양, 미기후, 지형 등) 141개로 17.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사자원, 경관자원을 포함한 문화적 자원(문화재, 전통건조물, 신앙공간 등)의 경우 219개로 27.4%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활동자원을 포함하는 사회적 자원(공동생활시설, 기반시설, 도농교류활동, 생활공동체활동 등)인 경우 440개, 55%인 것으로 나타나 전체 39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어메니티 관점으로 하여 교과내용을 분석한 결과 총 800개가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용분석은 제시유형(문장, 사진, 삽화, 그래프, 표), 교육적 성격(준비학습, 내용이해, 기능습득, 실습활동, 문제해결, 태도형성, 기타)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해당 내용이 농촌어메니티를 적절하게 표현하였는지에 따라 판정 여부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과서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A유형의 교과서는 9권으로 351개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고, B유형의 교과서는 16권으로 322개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으며, C유형의 경우 14권으로 127개의 내용분석이 이루어졌다. A와 B유형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나타낼 수 있는 교과서 내용 요소가 많은 유형이고, C유형은 주로 기술 및 관리 기법 등과 관련된 내용의 교과서였다. 제시유형별 교과내용을 분석한 결과 A유형의 교과서에는 사진 185, 문장 125, 삽화 24 순으로 나타났으며, B유형에는 사진 144, 문장 136, 삽화 37개, C유형에는 사진 57, 문장 55, 삽화 11개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성격별 분석결과 A유형, B유형, C유형 두 내용이해,에 대한 교과내용이 절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나타냈으며, B유형의 경우 기능습득에 대한 교육적 성격도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Amenity Resources for a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농촌마을 종합개발 사업의 어메니티 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 Choi, Yoo Na;Suh, Joo Hwan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 /
    • v.8 no.4
    • /
    • pp.43-51
    • /
    • 2014
  • This research is based on a rural village reconstruction business that is a priority under the national support act for rural village vitalization. Allowing for an analysis of the regional and annual classification of business contents as part of the master district implementation plan, this research presents amenity resource ap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business contents and resource status report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in the rural villages' overall development business, a content analysis of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299 districts was conducted for a seven-year period (2005-2011). Information that included district names, enterprise types, and specifications of a particular business, were coded in Excel, through exhaustive research of the 299 districts. Using this process, a more detailed categorization of seven years of business data, periodic, and regional business contents were defin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apparent that the overall district's facility resources are optimized for the most, and that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of resources, including animal and plant resources, as well as water resources, is continuously decreasing, as was shown in the annual amenity resource usage transition. The annual amenity resource usage transition data denotes the highest rates in Jun-Ra-Buk-Do and Kyung-Sang-Buk-Do. In summary, this analysis verified the urgent need for diverse amenity resource utilization, research on practical alternatives, and the resource optimization of environmental contro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rural areas.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Rural Amenity (농촌어메니티 교원 연수 프로그램 효과 분석)

  • Hwang, Jeong-Im;Kim, Eun-Ja;Choi, Yoon-Ji;Rhee,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7-9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 교원들의 농업 농촌에 대한 가치 인식 및 학교 현장에서의 학생 지도력을 높이기 위해 교원들에게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론과 체험 학습을 제공하는 '농촌어메니티 체험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촌어메니티 개념 및 정책 이해', '농촌어메니티 현장 이해 및 체험', '농촌어메니티 수업 적용'의 3개 영역으로 구성된 총 20시간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09. 7. 23. ~ 8. 13.까지 2박 3일씩 5차에 걸쳐 2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연수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비율이 56.9%로 남성(43.1%)에 비해 높았으며, 일반교사의 비율(53.3%)이 부장교사(26.9%)나 교장 교감 (19.8%)의 비율에 비해 높았다. 연령 분포에서는 50대가 35.2%로 가장 많고, 40대가 3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원들이 67.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관 분포에서는 초등학교 교원들이 54.8%로 가장 많았으며,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이 각각 20.3%, 18.8%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역 분포에서는 중소도시에서 근무하는 교원들이 70.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농촌거주 경험이 있는 교원들이 64.8%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수 참여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한 인식 변화를 분석(Paired samples t-test)한 결과 참여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관심 정도', '농업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농촌의 생활 정주, 관광 휴양 여건에 대한 인식',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이해도'가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중요도 인식'(5점 척도)에서는 환경자원, 자연자원, 역사자원, 경관자원, 시설자원, 경제활동자원, 공동체활동자원으로 분류된 37개의 세부자원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연수 참여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단, 환경자원 가운데 '수질'의 평균 점수는 사전 4.8671, 사후 4.8960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수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교원의 비율이 98.5%로 나타났으며, 연수 이후 농업 농촌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했다는 응답이 98.0%, 학생 지도력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95.0%, 연수에서 학습한 내용을 학생지도시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97.5%로 집계되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이 설계시 수립한 목적 달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of Amenities (국토 어메니티 평가지표 개발)

  • Lee, Jae-Joon;Choi, Seok-Hwan;Kim, Sun-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25-38
    • /
    • 2010
  • This study aims to, first, classify the approach system of utilizing national and local amenities into three groups: evaluation of the level of the amenity, evaluation of the value of amenity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Secondly, the study aims to derive an evaluation index which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pproach system. As for a strategy of utilizing amenities, the self-diagnos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level of local amenities is required. In this study, three sectors, ten items and 43 detailed items have been derived though specialists, FGIs(Focus Group Interview), and the cases within and outside of the country. In the survey with specialists, a unit-space key index which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unit-space characteristics(such as urban and rural area, fishing villages, mountain villages, and littoral areas), environmental area, important index and optional index have been derived. As for the evaluation index which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typical local amenities resources, 14 detailed evaluation indexes from three sectors have been derived. These have been classified again into six key indexes, six important indexes and two optional indexes. In the evaluation index of amenity resources, natural and environmental value-such as ecological value of preservation, uniqueness of aesthetic landscape and ecological value of restoration-historic and cultural value of preservation and individuality of the resources, and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are derived as being important. As for utilization of amenity resources, 15 items from three sectors-such as reservation, restoration, intentional use, and industrial use-have been derived. Also, through a survey with specialists, key indexes and important indexes were derived by unit-space. As a result, in urban areas, seven items-including creative development of space, aesthetic landscape control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have been derived as key indexes; in rural areas, mountain villages, fishing villages and littoral areas, eight items-including brand of region, brand of the products, and brand of tourism resources-have been derived. In environmental areas, six items-including re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historic and cultural heritage, and restoration of ecosystem-have been derived. Indexe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order to establish a strategy for amenity plans and an implementation strategy, but can be readjusted, allowing for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thus, advisable that local governments selectively utilize indexe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r newly develop them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regional amenities.

Preference Analysis of the Mobile Service Users on the Rural Tourism (농촌어메니티자원 정보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관광정보 모바일서비스 이용자 선호도분석)

  • Kim, Sang Bum;Son, Ho Gi;Lee, Dong Gwan;Park, Mee Jeo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833-857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aiming to provide information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real-time smartphones users on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Services. For this purpos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cussions and surveys on technology developments and expert analysis smartphone technology were reviewed. And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people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smart-phone experience, smartphone usage behavior, the required content, service items, service quality, Through this information, the content of rural amenity resources, how to take advantage of smart phones. Service Plan and developed, and a rural village locations to target mobile phone technology, the conten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eferenc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e designed the contents of rural amenity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smart-phone. It will be helpful to enhance the interchange between urban and rural such as farmer's market and rural tou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