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자녀관계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2초

입원 환아 어머니의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anxiety of mothers who have hospitalized ill children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 mothers with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 오재우;문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311-319
    • /
    • 2012
  • 본 연구는 환아의 입원으로 인한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불안 정도를 파악하여 입원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을 감소시키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전 소재의 K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다문화가정 어머니, 한국인 어머니 각 100명 총 200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는 Sielberger(1972)의 STAI를 한국인에 맞게 번역한 김정택 (1978)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상태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 2.11,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경우 2.17, 기질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의 경우 2.09,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경우 1.94로 나타났다. 입원 환아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불안을 비교해 본 결과 상태불안과 기질불안 모두에서 집단간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불안상황에서 한국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 둘 다 처치나 치료에 대한 설명이 없을 때 심한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 환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문화가정 어머니 환아의 경우 성별, 입원횟수에 따른 기질불안이(P<.05)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 정도는 한국인 어머니에서는 월평균수입 상태에 따른 상태불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다문화가정 어머니에서는 검사방법을 인지하게 된 경로에서 기질불안이(P<.05)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환아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어떠하든지, 환아의 일반적 특성에 관계없이 자녀의 입원에 대해 대부분의 어머니의 경우에서 불안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환아 어머니의 불안해소를 위한 간호가 적극적으로 계획되어 다양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야 한다.

어머니의 취업배경, 역할만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Role Satisfac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김회진;정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7-6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their role satisfaction, and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working mothers having 3 to 6-year-old children and 56 teachers of the children drawn from 8 preschools and 7 kindergartens in Cheongju c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job type, mother's income, family finances and the existence of a supporter for bringing up children. Second, mother's rol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income and the existence of a supporter for bringing up children. Thir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sex, age,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job type, mother's income and family finance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their role satisfaction, and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PDF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 경제적 자원과 돌봄 (Resource Transfers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 Financial Resources and Caregiving)

  • 이윤정;고선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6호
    • /
    • pp.137-151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the condition of transfers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in such transfers.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inancial transfers and economic resources on financial transfers and grandchild caregiving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The sample of 3719 mothers with adult children was extracted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others'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financial transfers between mothers and adult children. Mothers who have jobs and spouses are more likely to provide economic resource to their adult children than those who don't have. In terms of receiving economic resources from adult children,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are mothers' age, labor market participation,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household asset, and childre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Especially,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mothers and adult children is statistically powerful factor in financial transfers and caregiving.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역량과 분노 표현과의 관계: 자녀에 대한 염려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oncer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and Anger Expression Amo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정계숙;차지량;김미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7-57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whether concern for children mediates the impact of parenting competence on the anger expression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219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6 years old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motehrs were given 3 rating scales about parenting competence,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 and anger expression. The Parental Anger Scales measuring anger expression consisted of sub-factors such as situational anger, impulsive behavior, and difficulty of anger control. Results: Using the data colle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by Baron & Kenny(1968) were conduct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was verified by the Sobel test.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arenting competence, concern about children, and anger expression. Second, mothers' concern about their childre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and overall anger expression, situational anger and impulsive behavior, an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competence and difficulty with anger control.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approach and content of parent education to help parents with young children control their anger.

어머니와 두 아들의 상호존중 권리실천 이야기 (A Story of Practice of Mutual Respect Rights between a Mother and two Sons)

  • 서영숙;김지은;송은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439-460
    • /
    • 2013
  • 본 연구는 어머니와 두 아들의 '상호존중 권리실천하기' 경험을 살펴 의미를 찾고 가족의 상호존중 권리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와 두 아들을 대상으로 전사, 관찰, 심층면담, 기록물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경험은 어머니와 두 아들과의 상호존중이 충분히 가능하였고 그 과정에서의 첫째 아이 퇴행은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부분이었다. 또한 보호권과 참여권의 갈등은 상호존중의 실천으로 융화되었고, 어머니는 긍정적인 훈육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어머니와 두 아들은 관계를 회복하고 서로를 깊게 이해하게 되었고, 권리실천이 더 진행됨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권리실천이 다른 가족구성원들에게 전이되었고, 어머니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는 용기를 갖게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가정에서의 권리실천 인식과 접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이 제안되었다.

어머니의 영유아에 대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유아와 어머니의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Attachment to Infant-Toddler -Focusing on Infant-Toddler and Mater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 황영희;박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31-23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와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모아상호작용이 모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3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영유아기의 자녀가 있는 어머니 215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사회적 지지, 모아상호작용 그리고 애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집단간 평균비교, 상관관계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의 특성 중 성별(t=3.200, p<.002), 연령(t=4.037, p<.001)과 기질(F=4.614, p<.011)에 따라, 어머니의 특성 중 연령(F=18.028, p<.001)과 학력(F=4.241, p<.016)에 따라 애착의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애착은 사회적 지지(r=.507, p<.001) 및 모아상호작용(r=.57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아상호작용(${\beta}=0.361$, p<.001), 사회적 지지(${\beta}=0.309$, p<.001), 연령(30세미만)(${\beta}=-0.370$, p<.001) 그리고 결혼 기간(10년 미만)(${\beta}=-0.179$, p<.033)이었다. 애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와 모아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The Effects of Mothers' Adaptation Support Strategies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 신희남;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9-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적응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0세부터 만36개월 미만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1993)등이 개발한 PAQ(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적응지원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영아의 초기 및 이 후 어린이집 적응에 관련된 양육 신념 및 어린이집 적응 전략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차이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아의 이후 어린이집 적응(Time2)의 하위 요인 중 친사회성과 긍정적 정서의 경우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초기 어린이집 적응 (Time1)프로그램으로부터 받은 지원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지원 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간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원장, 교사와의 주기적인 상담 및 개별적인 접촉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자아 상태와 하루일과 적응 및 일반적 적응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이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있어서 같은 반 학부모들과의 개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지속적인 육아정보 교환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자녀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Belief on The Types of Discipline Methods in Children)

  • 김미숙;신소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9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신념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와 K도에 거주하는 어머니 219명을 대상으로 양육신념과 훈육방식을 설문지 조사하였다. 양육신념은 Okagaki와 Sternberg(1993)가 개발한 부모 양육신념 설문지를 사용했고, 훈육방식은 Calzada와 Eyberg(2002)의 부모 훈육방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훈육방식은 논리적 설명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방임과 강압적 체벌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어머니가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 양육신념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훈육방식으로 논리적 설명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어머니의 바람직한 훈육방식의 토대가 되는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 양육 신념에 관한 부모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학령 초기 자녀를 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ing Behavior i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 엄은주;박보경;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3-11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ing behavior i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A sample of 166 Korean mothers and 112 Japanes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First, in terms of results, Korean mothers reported higher scor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warmth and neglect than Japanese mothers did. In contrast, Japanese mothers scored higher on intrusiveness than Korean mothers. Second, for both groups,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warmth and reasoning, and positively related to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Third, for both groups,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was positively linked to warmth and reasoning, and negatively linked to intrusiveness, coercion, and neglect. Fourth,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for both groups. Finally,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medi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warmth for both groups. Only in the case of Korean mothers did parenting stress influence reasoning and intrusiveness through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may indeed be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ree parenting-related variabl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사회성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thers Invelvement of Their Preschool Childrens Peer Relations)

  • 안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3호
    • /
    • pp.41-5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involvement of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ir memory of childhood peer relations, and their perception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ubject consisted of 302 mothers of 4- to 6-year-old children. A sample of mother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eer experiences, perceptions about their childrens sociability, and a behavioral checklist of their involvement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own sociability and their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sociability influenced their involvement. More intense maternal involvement occurred when mothers perceived their children to be sociable. Mothers with sociable peer recollections appeared to take more active role in thei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