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 됨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 "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otherhood discourses' during 1920s and 1930s - Focusing on mothering education written in $\lceil$Shinyeosung$\rfloor$)

  • 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5-112
    • /
    • 2005
  • 이 연구는 $\lceil$신여성$\rfloor$ 에 실린 모성담론을 통해 식민지 시기 어머니 노릇의 구체적 내용 및 그 특징과 함께 모성 담론의 논리적 토대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으로 당대 가장 대표적 여성잡지인 $\lceil$신여성$\rfloor$을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lceil$신여성$\rfloor$에 실린 모성담론의 내용은 (1) 여성의 어머니됨, (2) 아동관, (3) 우생학, (4) 아동양육 및 교육, (5) 아동 질병 및 간호, (6) 임신과 출산의 내용으로 나눠지며, 이것은 당시의 가사교과서의 육아단원과 큰 차이가 없다. 또한 모성담론의 집필진은 문인을 포함하여 대부분 의사${\cdot}$박사와 같은 전문가(experts)들이었다. 둘째, 모성담론의 주장에 '당위성'을 부여하는 논리적 토대는 (1) 어머니로서 여성은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여성교육의 주장, (2) 모성은 여성의 본질적 특성이라는 성과학의 주장, (3)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재된 위험과 질병을 밝힘으로써 어머니의 위대함을 찬양하는 의함담론의 주장이 있었다. 셋째, 식민지 시기 모성담론의 특성은, (2) 잡다한 어머니 노릇의 나열, (2) 자녀에 대한 세심한 관찰에 대한 강조 (3) 질병이 내재된 양육에의 위험성 강조, (4) 실천하기 매우 어려운 어머니 노릇의 제시, (5) 새로운 어머니 노릇으로 강조되는 학부모 역할로 정리할 수 있다.

  • PDF

간호이론개발을 위한 개념 분석 : 어머니됨 (The Concept Analysis of Motherhood)

  • 김영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45-257
    • /
    • 1998
  •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behavior related pregnancy and childbirth have reflected on the cultural belief and value in the society. The efforts for women's health promotion through the current illumination of the traditional health care are the prompting assignment to be in nursing. The process of motherhood already progress before the motherhood actually. The functional state as the expectant mother can be the important predicting factor of the postpartum state, the quality of a married life. Motherhood was analyzed by Walker and Avant's method to clarify the concept 'to be a mother' using the various concepts like Koreans' Taekyo, transition to motherhood, maternal identity, maternal role attainment, maternal 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fetal interaction. Upon the concept analysis, naturalness, responsibility, attachment, readiness, controllability were identified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otherhood. The antecedents of motherhood were consist of maternal affection, positive self esteem, pregnancy acceptance, fetus recognition and the consequences of motherhood were consist of positive maternal identity, maternal fetal attachment, confidence about the maternal role, the healthy mother and the healthy baby. The empirical referents of motherhood were consists of recognition of motherhood, expectation about motherhood, fetal recognition with ultrasonography and fetal movement, experience of unification between mother and fetus, expression of affection to the fetus, concern about fetal health, concern and practice about Taekyo, adaptation behavior about physical change and discomfort due to pregna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struction program of motherhood including the defining attributes identified in this study.

  • PDF

어머니 역할 실습교육이 어머니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nal Role Practice Education on Becoming a Mother)

  • 채현주;김수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2-63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practice of the maternal role and becoming a mother using the concepts of self-confidence in caring, maternal attachment, and maternal identit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was used. Data was collected with the use of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007 to April, 2008. A total of 54 women at a Sanhujoriwon (postpartum 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6 women (Nov-Dec), whereas the control group had 28 women (Feb-Apr). Education and practice on the maternal role was given individually and consisted of explanations, demonstrations and practice on breast feeding (day1 to 3), maternal attachment (day 8 to 9), bathing (day 10 to 11) and infant healthcare (day 13 to 14).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education and practice on the maternal role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routine education only. Results: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pre and post questionnaires at admission and fourteen days lat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self-confidence in caring (t=-3.31, p=.002) and maternal identity (t=-2.16, p=.03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Education and practice on the maternal role and being a mother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increasing self-confidence in caring and maternal identity.

초ㆍ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 최정미;우희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3-84
    • /
    • 2004
  • 본 연구는 초ㆍ중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울을 중심으로,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두 변인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이 여자인 경우가 남자인 경우보다 우울이 더 높고, 학년에 따라서는 중학교 1, 2학년이 초등학교 5, 6 학년보다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성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는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와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올과의 상관관계는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수업이 진행될수록 아동간의 대화의 양과 질이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간의 의존성과 신뢰성이 증가하였다. 리더 역할을 하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나타났으며 조원들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언을 해주었다. 셋째, 아동간의 친밀감과 협동심이 증가하여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넷째, 교사와 아동간의 친밀감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수업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들은 점차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아동들은 헝겊 인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여 적극적이고 집중력이 높은 수업 태도를 보였다 셋째, 아동들은 자신이 만든 인형에 애착을 가지게 됨으로서 긍정적인 수업태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내성적인 성향, 독단적인 성향, 과잉행동 성향, 산만하거나 주의력 결핍 아동들이 보다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헝겊 인형 만들기’ 바느질 수업의 전개과정이 아동간의 상호작용 및 수업에 대한 태도를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었다. 조기 수술이 권장되며 조기수술이 안 되어 병변의 진행이 심해지면 대동맥판막성형술의 완벽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병변이 심한 경우 대동맥판막대치술도 수술방법의 선택목록에 포함시켜야 한다.하지 않은 그룹 0 수혜견에 이식한 심장의 생존시간은 5분이었으나 PCPP에 의해 자연항체를 제거 후 이식된 심장의 생존시간은 90분으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조직 병리학적으로도 이식 거부에 대한 특징이 그룹

  • PDF

산욕초기 어머니 됨과 돌봄 자신감 (Motherhood and Role Confidence in the Immediate Postpartum Period)

  • 방미란;이정희;이지애;정지윤;박세영;안옥심;박숙희;김영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91-304
    • /
    • 2000
  • Being a mother is motherhood which means maternal role attainment and has to meet maternal identity and role confidence of caring infa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maternal identity as a motherhood and role confidence in the immediate postpartum period, and then explain the correlations of them. Data were collected for 2 months by questionnaires from 64 mothers in the hospital. The scales were to measure motherhood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1 items and role confidenc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3 items.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with SPSSWIN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chi-square,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maternal identity of primipara was 55.41 and multipara was 53.81. In this outcome primipara's score was higher than multipara's. 2. Mean score of role confidence of primipara was 44.0 and multipara was 46.81. Multipara's score was higher than primipara's. 3.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identity and role confidence was r=0.29(P=0.03). This was a interesting result. Because many studies reported that primipara had a lower score of maternal identity and role confidence than multipara's. But this study showed that primipara's score of maternal identity was higher than multipara's. So nurse has to support primipara's identity as a mother, taking advantage of nursing intervention from prenatal to postnatal periods. Also nurse has to offer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premiparas and multiparas how to care their infants.

  • PDF

어머니용 양육의미척도 개발연구 : 영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eaning of Parenting Scale for Mothers : Focusing on Mothers of Infants and Toddlers)

  • 김연숙;이종희
    • 아동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13-134
    • /
    • 2014
  •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 'Meaning of Parenting Scale for Mothers(MPS-M)' in order to measure how Korean mothers perceive the meaning of parenting. To this end, in Study I, a preliminary scale was designed, based firstly on socio-cultural and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secondly on the responses from 118 mothers concerning meaning of parenting. This was followed up by the collection of 887 mothers' responses to the preliminary scale, which then underw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scale revision.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 collection of responses from 548 mothers using the revised scale. Concurrent validity was tested using a parenting stress scale, and reliability was then checked by conducting calculations for internal consistency. As a result, the MPS-M was finally developed, consisting of 25 items under six factors: 'Internal Maturity', 'Restoration of Naturality', 'Familial Union', 'Physical Burden', 'Affective Disorientation', and 'Comprehensive Loss'. Accordingly, the meaning of parenting was statistically confirmed as a hierarchical two-sided concept possessing six factors under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categories.

어머니의 자기 지각 성향과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 성향간의 관계 - MMPI와 KPI-C의 타당도 척도를 중심으로 - (RELATIONSHIP OF MOTHERS' SELF-PERCEPTION WITH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S - FOCUSING ON VALIDITY SCALES OF MMPI & KPI-C -)

  • 김근향;정유숙;홍성도;김이영;김지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2호
    • /
    • pp.174-179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자기지각 성향과 자녀 문제에 대한 지각 성향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소아 정신과를 방문한 아동 62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다면적 인성검사(MMPI)의 타당도 척도와 그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의 한국아동인성검사(KPI-C)의 타당도 척도간의 상관을 구하였고 t-test를 통해 KPI-C 세 타당도 척도(T-R, L, F) 각각에서 MMPI 타당도 척도 각각의 상·하위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MMPI의 K 척도와 KPI-C의 거짓말(L) 척도간에 유의한 정적상관, MMPI의 F 척도와 KPI-C의 L 척도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t-test결과, KPI-C의 L 척도는 MMPI의 F, K 척도의 상 ${\cdot}$ 하위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KPI-C의 F 척도는 MMPI L 척도의 상 ${\cdot}$ 하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 정교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어머니가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방어적으로 지각하는 성향이 있는 반면, 자신의 문제를 고통스럽고 과장되게 지각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심리적인 문제에 대해서 과장되게 지각하지는 않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자신의 심리적인 문제를 부인하고 단순한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어머니는 자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그 정도를 심각하게 지각하지 않음이 드러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MMPI 타당도 척도 중에서 무엇보다도 K 척도가 상승하는 어머니가 자녀의 문제를 과소평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그러한 어머니가 보고한 자녀문제의 심각도와 내용을 신중하게 평가하여야 할 것을 시사한다.의 효과에 대해 비교했을 때 품행장애가 공존된 집단에서 치료전에 비해서 아동행동조사표의 문제행동목록 중 공격성 요인에서 유의한 감소(p<.05)가 보였으며, 사회적 능력 항목중 활동성과 사회성에서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지능저하등 다른질환군이 동반된 군에서는 사회기술 평가 척도의 사회기술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p<.05)를 보였다. 그러나 각 집단간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세 집단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위 결과로 보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사회기술훈련 치료프로그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만한 사회기술 향상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품행장애가 동반된 군에서 공격적 행동의 감소를 가져오고 인지능력이 떨어진 군에서 사회기술 호전을 보이는 등 아동의 특성 및 동반증상에 따라 사회기술의 호전 및 증상의 변화에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이며, 이것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리 의사들의 적극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에서 자기파괴적인 행동이 있었으며 46명(29.3%)에서 충동성이 동반되었고 35명(22.3%)에서 유뇨증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발병연령과 내원시 연령, 병의 이병 기간, 강박증상의 정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잉행동성과 음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과잉행동성과 충동성, 강박성, 야뇨증, 자기파괴적 행동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의 강박증상의 정도와 과잉행동성, 수면장애, 자기파괴적 행동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저자들은 외래에 내원한 뚜렛장애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동반된 행동상 문제들이 이전 연구와 크게 상이하지 않음을

  • PDF

산업사회(産業社會)에 있어서 가정교육상(家庭敎育上)의 문제(問題)와 그 대책방안(對策方案) (현대(現代) 한국사회(韓國社會)를 중심(中心)으로) (Problems of Family Education in an Industrialized Society and Alternatives(The case of Modern Korean Society))

  • 이경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83-189
    • /
    • 1994
  • 1970년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로 인하여 사회구조와 가정구조가 크게 변화 되었다. 도시집중화로 인한 각종 공해 발생, 교통난, 인구이동의 문제를 비롯하여 그리고 핵가족화로 인한 가부장적 권위상실 및 가정교육부재, 청소년 비행등 수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핵가족화로 발생된 심각한 사회문제는 전통윤리의 붕괴와 가정교육의 부재현상을 발생 시켰다. 이와같은 문제발생에 관한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첫째, 핵가족화로 인해 발생한 가족규모의 축소현상으로 자녀들의 다면적 인격형성에 결손을 초래하여 성장후 독립심과 의지가 약하고 고집이 세며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되어 사회생활에 부적응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다면적 인간관계의 결여로 상호 협조하고 사랑을 교환한 경험 부족과 외동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자녀의 욕구에만 집중되어 자녀종속적인 태도가 크게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둘째는 산업화 사회에서의 부부동시 사회참여가 자녀양육에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이 결여되어 모성실조를 겪게 된 문제를 들 수 있다. 어머니와 자녀간의 애착형성이 결여 됨으로 발생되는 문제는 지적 정체현상과 정서발달의 장애가 주 원인이 되어 감정 통제력이 약해서 공격적 행동이나 반 사회적 행동으로 확대되어 청소년문제 발생의 원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있다. 세째로 산업화사회와 경쟁력 조장을 들 수 있다. 산업사회를 개방사회, 경재력사회 혹은 능력사회라하여 고학력위주의 선발형태가 입시경쟁을 부추기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이 상위 지향적인 심리가 작용하여 자녀들의 입시경쟁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인간교육 즉 가정교육을 외면하여 반도덕적, 반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게 하였다. 특히 전통적 가정윤리가 붕괴되어 부모에 대한 효관의 약화, 부부간의 애정약화 및 물질지향적인 사고가 이혼률을 증가시켜 가정붕괴를 가져왔다. 이상에서 논의된 자녀교육의 부재가 자녀들의 지적 정서적 문제로 확대되어 산업화사회의 모순점을 노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안은 훌륭한 가정교육을 위해서 우선되어야 하는것은 부모자신의 인격적 개인완성을 제안하였다. 인격의 완성은 양심과 행동이 일체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다음은 서로 위하여 사는 삶을 영위하는 인격체가 되어 양심의 법에 따르는 삶, 타인을 위하여 사는 삶을 자녀들에게 보여줌으로서 반두라의 모델링 교육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과 같은 암기위주의 경쟁교육이 아니라 타고난 잠재성 개발에 주력하는 교육으로, 적성과 소질을 개발하는 창조적 산 교육장을 마련하여 주고 또한 그것을 뒷바침하는 가정윤리교육의 회복이 무엇보다도 이 시대가 절실히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육이라 하겠다.

  • PDF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ents' Appearance-related Parenting Style and Undergraduate Children's Self-esteem)

  • 한미숙;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7-256
    • /
    • 2007
  •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유형과 자신의 자기존중감이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버지의 외모관련 양육유형은 무관심형(45.5%), 보수적 규제형(32.0%), 외모추구형(22.5%)으로 분류되었으며, 어머니의 경우에는 의견존중형(39.5%), 보수적 규제형(32.6%), 외모추구형(27.9%)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유형과 대학생 자녀의 자기존중감에 따른 외모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에게 있어서는 부모의 외모관련 양육태도보다는 자녀의 자기존중감이 그들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하여 여학생들은 부모의 양육유형에 따른 외모만족도 면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어머니를 가진 여학생의 경우 외만족도와 신체만족도가 높았으며, 아버지가 외모추구형인 여학생의 경우 오히려 자녀의 신체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자녀들은 의견존중형을 가장 이상적인 양육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전반적으로 자기존중감이 높은 학생의 경우 외모만족도도 높았다. 이것은 부모들이 자녀의 외모 관련 양육태도로서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그들이 자신의 개성을 찾도록 지도하는 것이 자녀의 외모만족과 자기존중감 고양에 도움이 됨을 보여준다.

  • PDF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출산과정 경험 (An Ethnographic Research Study on Childbearing Process of Mother with Children in Korea)

  • 김영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1-283
    • /
    • 2001
  • The childbearing process is a sociocultural phenomenon of a woman who gives birth to a child as well as a biological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ethnographic research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hildbearing process of mothers with children from pregnancy to the 3 months postpartum in Korea and to understand deeply the perspectives of childbearing women reflected on Korean sociocultural values. A convenient sample of 10 childbearing women were observed from January to October 2000 through field work in Seoul, Korea.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nder ongo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mothers with children experienced self-reflection, family relation, and physical adaptation during pregnancy. In self-reflection, all mothers experienced universality and diversity in their self-discovering process. The universal experiences were maturation, life with family and priority on maternal value between being a mother and a woman. The diverse experiences were taking a dual role of working mother, emotional drift of a resigned mother, and disheartened life of a mother who has two daughters. In family relation, the foundation of the new marital relationship were attained during childbearing process and sexual life were changed for the benefit of a healthy mother and a healthy baby. All mothers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their mothers, but established friendly or conflicting or constraining relations with their mother-in-laws due to husband based family culture. In physical adaptation, the informants endured well the physical discomfort and recognized general appearance change. Also maternal-fetal interaction occurred and mothers realistically felt motherhood and accepted themselves as mother-to-be. The mothers prepared for the best delivery, look for a safe childbirth center, newborn goods, endorsed family coping during hospitalization and responded labor pain to make it more endurable, less painful, fast passed owing to labor recognition of the natural process to be a mother. After childbirth, they felt emancipation, satisfaction, accomplishment, more easiness, actually feeling as mother-to-be, emptiness, and showed response to the sex of newborn. Their Sanhujori practic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anhujori environment including provider, place, time in postpartum and reflected on Sanhubyung. The mothers felt actually mother-to-be and happiness during lactation regardless of feeding pattern. These mothers had a different maternal image about rearing subjecthood through their child-rearing experience. But all mothers felt need for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The universal rearing response were actual feeling of mother-to-be, a strenuous experience, a pride on child-rearing, confusion, reflecting marital relationship, and wondering rivalry among children. In conclusion, mother of all with children went through self-discovery, self-reflection and made connections with the family as a mother and as a woman simultaneously during the childbearing process. Therefore it is suggested when harmony and balance between a mother and a woman is accomplished, the woman will lead a healthy and high quality of life. Also,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sociocultural factors affecting the childbear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women with children. Therefore health care providers must understand deeply the childbearing women with children based on this finding of and try a integrative approach with new ideology of maternity with biocultural perspectives in a clinical set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