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중 모델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고층건축공사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모델 (Models for Predicting Hoisting Times of Tower Crane in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이종렬;전용석;박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72-475
    • /
    • 2004
  • 기존의 양중부하의 계산은 단순히 자재묶기 $\cdot$ 상승 $\cdot$ 설치 $\cdot$ 하강의 4단계로 산정한다. 이는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과 관련되는 다른 영향요인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에서 시간을 예측하는데 고려하지 못하였던 많은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시 요구되는 양중시간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타워크레인의 양중시간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양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자재관련, 타워크레인의 특성, 양중작업관련 타워크레인 운용 및 기상상황과 관련하여 28개의 다양한 변수들을 식별하였다. 이를 통해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 시 요구되는 양중시간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타워크레인의 양중시간 예측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 예측모델을 상차양중모델과 하차양중모델로 구분하였고 양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양중대상에 따라 선별하여 다중회귀분석의 과정을 거쳐 그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 PDF

기후요소를 고려한 초고층 건설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A Study of the Tower Crane Hoisting Time Estimation Simulation Model with Climate Element for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양강혁;이현수;박문서;정민혁;황성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96-107
    • /
    • 2013
  • 초고층 건물공사에서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은 전체 공사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타워크레인의 양중계획에 있어 양중시간은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로 이를 바탕으로 양중부하 및 타워크레인을 선정하기 때문에 양중계획을 위해서는 정확한 양중시간의 예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초고층 공사의 양중시간 예측은 기존의 실적자료와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지만 양중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바람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여 초고층 공사의 타워크레인 양중시간을 예측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바람의 영향을 반영한 양중시간은 높이가 올라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고층부의 경우 기계적 양중시간보다 바람의 영향에 의한 양중 지연시간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지인 서울의 풍속은 4월이 강하고 10월이 약하게 나타났으며, 양중시간을 예측한 결과 둘 간의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향후 초고층 타워크레인 양중계획 시 바람이 양중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를 고려하여 실제 상황과 동일한 양중계획을 세우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고층 건축물 리프트카 양중계획수립을 위한 자원기반의 양중부하 산정 모형 (A computation model for Resource-based Lifting loads of the lift-cars for super high-rise buildings)

  • 한충희;이준복;원서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35-143
    • /
    • 2012
  • 초고층 건축물은 일반적 건축물에 비해, 구조, 환경적 분야 뿐 아니라 시공 분야에서도 골조공사와 마감공사의 시공방법, 재료, 공사관리 등에서 차이점이 있다. 특히 초고층 건축물 시공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관리기법 중 양중계획 및 관리는 핵심적인 분야이며, 건설공사에 필요한 인원 및 자재와 같은 자원을 리프트카와 같은 양중기계장비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직이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리프트카의 경우 초기 수립된 계획과 실제 운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양중작업에 사용되는 리프트카를 대상으로 건축마감공사의 자원물량에 근거한 양중부하 산정 방법 및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리프트카 운행시간 및 사이클타임을 계산하여 총 양중장비 가동시간 및 양중가능 물량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양중장비조합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원전 격납철판 구조물의 양중시 좌굴 특성 (Buckling of Power-Plant Containment Liner Plate Structure during Lifting)

  • 양성영;이종섭;이상봉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36-33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 프로그램 (ANSYS)을 이용하여 돔격납철판 (dome containment liner plate)의 양중시 좌굴특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원전 격납철판의 양중시, 양중 와이어(wire)의 구조적인 배치특성상 격납철판에 압축력이 유발되고, 이러한 압축력은 격납철판의 좌굴을 일으킬 수 있다. 다양한 양중인자 (lifting factors)를 고려한 격납철판 유한요소모델을 수립하고, 이러한 양중인자들의 좌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양중 와이어의 체결위치의 높이가 낮을 수록 좌굴강도가 증가하며, 라이너 플레이트 두께에 비례하여 좌굴강도가 증가하였다.

  • PDF

대공간 지붕철골공사 양중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Decision Support Model for Selecting of Lifting Methods for Large Spatial Roof Construction)

  • 차민수;이명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89-498
    • /
    • 2018
  • 본 연구는 대공간 지붕철골공사의 양중공법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모델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및 전문가자문을 통해 6개의 상위요인과 19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양중공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AHP분석을 통해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한 결과, 6개의 상위요인 중 현장조건(0.237), 19개의 하위요인 중 여유공지의 유무(0.118)가 양중공법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장관리자가 공법대안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및 절차를 수립하고 최종적으로 현장적합도지수를 제시해줌으로써 의사결정지원모델을 구축을 완료하였다. 구축모델의 검증을 위해 대공간 현장경험자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한 결과, 제시된 모델이 공법선정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젝트 초기 공법선정 과정에서 현장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YCLONE 모델링 기법 개선을 통한 초고층 공사의 자재 양중 작업 프로세스 최적화 연구 (Lifting Work Process Optimization Method in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Through Improvement of CYCLONE Modeling Method)

  • 황두원;권오경;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58-70
    • /
    • 2017
  • 초고층 건축공사에서 리프트카를 이용한 자재 양중 관리는 핵심적인 관리분야 중 하나이다. 기존 연구들은 양중계획의 기본 단위인 양중 사이클타임이나 리프트카의 운행효율은 기존 사례를 참고하여 적용하거나 관리목표로 설정하고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중 사이클타임을 단축하고 가동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재 양중작업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는 방법론 제안을 목표로 하였다. CYCLONE 모델을 변형하여 작업시간과 작업위치를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세부 작업을 조정하여 프로세스를 최적화 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론에 따라 양중작업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민감도 분석과 현장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초고층 현장에 적용하였다. 기존 작업 프로세스와 개선된 작업 프로세스를 양중 높이별로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현장 적용 결과 데이터와 비교하여 양중작업 시간 단축과 가동율 향상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화 방법론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큐잉이론을 이용한 고층건물 가설리프트 계획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Model Using Queueing Theory for Lifting Planning in Tall Buildings)

  • 이학주;김대원;조훈희;강경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28-633
    • /
    • 2008
  • 건축물에 있어서 고층화 대형화의 변화는 인력과 자재의 양중부하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수직양중작업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고층으로의 운반정체는 물론 대기상태증가로 인한 생산성 감소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고층 건물 공사초기의 양중계획은 건설현장의 특성을 면밀히 고려하고 효과적으로 계획수립에 반영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건설현장에서 가설리프트 계획수립은 사이클 주기(Cycle Time)를 바탕으로 한 단순계산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쉽고 간단하지만, 복잡하고 유기적인 현장의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확률적 대기행렬의 큐잉이론(Queueing Theory)을 이용한 시뮬레이션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프로젝트 공사기간과 연계된 극 초고층 타워크레인 최적화 선정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Optimized Super Tall Building Tower Crane Selection Which Related With Project Construction Period)

  • 조지훈;조흥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31-139
    • /
    • 2009
  • 극 초고층 공사에서 합리적인 타워크레인 선정이 필수적이나 현장 실적 자료의 부족과 주관적인 경험에 의한 계획 수립, 체계적인 기준 부재 등으로 계획상 오류나 비효율성이 크다. 특히 극 초고층의 특성 중의 하나인 높이에 따른 영향 요소들에 대한 분석이 미비하여 단순히 장비의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양중 시간을 예측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중 계획 시 담당자가 활용하기에 용이하고 체계적인 양중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 하였으며, 현존 최고층인 버지 두바이의 자료를 활용하여 가변형 통계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층당 적정 공기 여부를 선정한 장비를 바탕으로 검토 및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극 초고층 공기 산정 방법의 패러다임을 전환 시켰다는 의미도 있다.

다중 양중장비와 자재 야적 위치의 최적 결정을 위한 모델 개발 (Optimization of Multiple Tower Cranes and Material Stockyards Layout)

  • 김경주;김경민;이상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127-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러 대의 타워 크레인이 다양한 후보지점을 갖고, 자재 역시 다양한 야적 후좌지점을 가질 때 자재 운반 최적화를 지원하기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형 건축공사에서 타워 크레인의 위치와 자재 야적 위치의 변화는 자재 운반시간의 변화를 가져온다. 또한 여러 대의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각 자재의 운반에 어떠한 타워 크레인을 배정하느냐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의 타워 크레인 설치 후보지, 여러 종류의 자재, 자재 야적 후보지점간의 다양하고 복잡한 상관관계를 다루기 위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다중 양중장비 및 자재 야적 위치 최적화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모델을 사례에 적용하여 적용 과정을 예시하고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고층건물공사 마감자재의 수직$\cdot$수평이동계획이 통합된 의사결정모델 (A Decision-Making Model of Integrated Vertical and Horizontal Move Plan for Finishing Material in R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안병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47-58
    • /
    • 2001
  • 고층건물공사 현장물류계획은 수직이동계획과 수평이동계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이동계획의 내용은 상대적으로 선행 프로세스인 수직이동계획 과정에서 결정되는 양중장비계획 등에 의해서 제약을 받는다. 현재 국내 건설업체들은 마감자재에 대한 이동계획과 관련해서 약산식을 사용한 가설 리프트 대수 산정, 마감자재별 물량을 양중회수로 치환하는 방법의 부재, 유사현장 사례 비교 방법의 문제점, 양중장비계획의 적정성 검토 방법의 부재, 형식적인 수평이동계획, 수직$\cdot$수평이동계획의 단절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수직$\cdot$수평이동계획자는 양중장비의 대수, 사용기간, 마감자재의 야적 등에 대해서 합리 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자로 하여금 고층건물공사 마감자재의 수직$\cdot$수평이동계획을 통합하여 합리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의사 결정모델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 모델을 현업의 수직$\cdot$수평이동계획 과정과 비교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모델을 사용하는 계획자는 자신의 사고의 틀을 결과지향적 사고에서 과정지향적 사고로 변화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고, 계획 시 직면하게 되는 한정된 자원 및 동태적 상황 등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고층건물공사 마감자재의 수직$\cdot$수평이동계획에 대한 시스템 사고 등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