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건축공사 타워크레인 양중시간 예측모델

Models for Predicting Hoisting Times of Tower Crane in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 발행 : 2004.11.01

초록

기존의 양중부하의 계산은 단순히 자재묶기 $\cdot$ 상승 $\cdot$ 설치 $\cdot$ 하강의 4단계로 산정한다. 이는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과 관련되는 다른 영향요인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에서 시간을 예측하는데 고려하지 못하였던 많은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시 요구되는 양중시간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타워크레인의 양중시간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 양중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자재관련, 타워크레인의 특성, 양중작업관련 타워크레인 운용 및 기상상황과 관련하여 28개의 다양한 변수들을 식별하였다. 이를 통해 타워크레인의 양중작업 시 요구되는 양중시간에 대한 예측모델을 구축하였다. 타워크레인의 양중시간 예측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 예측모델을 상차양중모델과 하차양중모델로 구분하였고 양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양중대상에 따라 선별하여 다중회귀분석의 과정을 거쳐 그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reasonably accurate prediction models to assess hoisting times of tower cranes in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The efficient use of the tower crane is critical to achieving the Planned floor cycle time. This research describes the derivation of mathematical models to predict the hoisting times in using a tower crane. 28 factors such as nature of load, characteristics of tower cranes, hoisting movements, operation of cranes, weather conditions and so on is considered to influence hoisting times. In order to develop the predicting hoisting times Correctly, it is divided hoisting upward and downward. Then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predicting supply and return hoisting times have been built up separate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