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식생물 폐사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사육조건에 따른 기수재첩 유생의 성장과 생존

  • 김완기;이채성;이정용;허성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99-99
    • /
    • 2003
  • 1. 수온과 염분에 따른 부유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유생의 수온별 사육실험 결과, 3$0^{\circ}C$에서는 실험시작 6일 후 모두 폐사하였으며, 18$^{\circ}C$에서는 높은 생존율에 비하여 늦은 성장을 보였다. 24$^{\circ}C$와 27$^{\circ}C$에서 빠른 성장을 보였으나, 27$^{\circ}C$에서는 성장에 비하여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유생의 사육시험 결과 0$\textperthousand$에서는 실험시작 10일 후 모두 폐사 하였으며, 성장은 6~9$\textperthousand$, 생존율은 3$\textperthousand$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수용밀도에 따른 부유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유생의 수용밀도에 따른 사육실험 결과, 1$m\ell$당 1~5 개체의 저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양호하였으며, 50개체/$m\ell$의 고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낮았으며, 실험시작 12일째에 모두 폐사하였다. 3. 먹이생물 종류 및 공급량에 따른 부유유생의 성장과 생존율. 식물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사육 실험 결과, 혼합 공급구가 가장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단일 공급구에서는 I. galbana, P. lutheri, C. calcitrans 순으로 비슷한 성장을 보였으며, Chlorella sp.는 가장 늦은 성장을 보였다. 생존율 또한 혼합구가 가장 높고 I. galbana, P. lutheri, 가 비슷한 반면, Chlorella sp. 실험구가 가장 낮았다. 공급량에 따른 사육 실험에서는 먹이 공급량이 많을수록 유생의 성장은 양호하였으나, 8일 이후 50,000 cell/$m\ell$ 밀도에서 전량 폐사하였다. 실험 종료시인 12일째에는 20,000 cell/$m\ell$ 밀도에서 가장 빠른 성장과, 10,000 cell/$m\ell$ 밀도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5,000 cell/$m\ell$ 밀도에서는 성장과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유생사육을 위한 기수재첩의 먹이생물의 밀도는 10,000~20,000 cell/$m\ell$가 효과적이었다.

  • PDF

가막만에서 양식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의 성장과 생존율

  • 라성주;윤호섭;김양섭;이용한;최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63-364
    • /
    • 2001
  •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Red shell)는 우리나라 동해안 북부에서 남해안과 서해안의 내만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고막류 가운데 가장 중요한산업종으로서 주로 남해안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고, 양성 방법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양식업자들은 바닥식으로 양성하고 있다. 한편, 남해안은 임해공단, 생활하구 및 자가오염 등으로 수산생물이 매년 대량 폐사되고 있고, 가막만의 대부분의 지역이 펄질(점토성실트)로 구성되어 있어 상부해수가 침투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략)

  • PDF

A review of the mass-mortalities of sea-cage farm fishes (해상 가두리양식장 양식어류의 대량폐사에 대하여)

  • Han, Jido;Lee, Deok-Chan
    • Journal of fish pathology
    • /
    • v.35 no.1
    • /
    • pp.1-25
    • /
    • 2022
  • The aquaculture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nd is an important industry that supplies over 15% of humans' animal protein intak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production to meet the continuous demand. The fish cage farms on the southern coast (Kyengsangnam-do and Jeollanam-do) of Korea are critical resources in aquaculture because they account for approximately 90% of the national total fish cage farms by water area ratio. However, the current aquaculture environment is being gradual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which is a global issue, and its effects are expected to intensify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urgently imperative to accurately evalu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South Korean aquaculture industries and to develop social and national strategies to minimize damage to the fishing industry. The damage to fish farmed in cage farms on the southern coast is increasing annually and the leading causes are high and low water temperature and red tides, which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climate change. At present, global warming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aquaculture industrialization of fish or other novel species, with economic implications. However, despite such opportunities, the influx of new species can also cause problems such as ecological disturbances, increase in the reproduction frequency of microalgae such as red tide, increase in disease incidence, and occurrence and periods of high water temperatures in summer. The scale of farmed fish mortality is increasing due to the complex effects of these factors. Increased damages due to fish mortality not only have severe economic impacts on the aquaculture industry, but the social costs of responding to the damage and follow-up measures also increase. various active responses can reduce the mortality damage in fish farms such as improving the management skills in aquaculture, improved species breeding, efficient food management, disease prevention, proactive responses, and system-wide improvements. This review article analyzes the large-scale mortality cases occurring in fish cage farm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proposes measures to mitigate mortality and enhance responses to such scenarios.

굴 폐사 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연구

  • Choe, Yang-Ho;Jeong, Chang-Su;Son, Sang-Gyu;Jeong, Ch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82-284
    • /
    • 2007
  • 연구 해역의 양식 굴 폐사는 여름철을 지나 수온이 하강하기 시작하는 9월 초순에서 중순경부터 시작되었으며, 강진만 중앙부분 양식장의 경우 조사당시에도 상당수 굴의 폐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병리학적 조사 결과, 각 조사정점별 채집한 굴에서 비브리오 속 세균들이 검출되었으나, 이들 세균은 해수 중에 상존하는 종류로 알려저 있으며, 기생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강진만과 인근한 남해와 산청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기온(8${\sim}$9월)은 남해는 2005년에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산청은 전년비 $2{\sim}5^{\circ}C$ 높은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강수량은 강진만에 유입되는 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남강댐 수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산청지방의 2005년 여름철(7${\sim}$9월) 일별 강수량은 집중호우의 특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굴 폐사가 발생한 9월의 강수량은 남해와 산청지방에서 전년과 평년비 $99.9{\sim}188.0mm$나 적은 양을 보였다. 해양환경측정망(St. 2, 강진만) 자료에 2005년 하계 수온이 2004년에 비해 $2^{\circ}C$, 2003년에 비해 $2.6^{\circ}C$ 높은 값을 보였으며, 양식 굴의 먹이생물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Ch1-a 농도는 2005년에는 대단히 낮은 값(2.15ug/L)을 보였으며, SS 농도도 낮은 값(4.6mg/L)을 보였다. 조사당시 수질환경은 양식 굴의 폐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만한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조사정점 1(지족)의 저층에서 2.87mg/L의 낮은 용존산소가 관찰되었으며, 2005년 8월 15일 관찰된 강진만의 남-북방향 수직분포도 저층을 따라서 3mg/L이하의 빈산소 수괴가 관찰되었다.

  • PDF

바지락 양식장의 저질 환경 분석

  • 조태진;이상배;김석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09-310
    • /
    • 2001
  • 국내에서 바지락 양식은 경기도 연안의 간석지에서 1912년에 시작되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1980년부터 본격적인 양식이 시작되어 1990년에 최고 생산량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매립에 의한 서식장 감소, 양식장의 밀식에 따른 자가 오염 및 환경변화 등에 의한 바지락 폐사에 따라 생산량 감소가 야기되어 지속적인 바지락 양식장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곰소만 조간대 및 주변 해역에서의 기존연구는 지질학적 특성뿐 만 아니라, 생물학적 특성,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 그리고 해역의 수리역학적 특성을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에 관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중략)

  • PDF

농업용 요소비료에 의한 까막전복, Haliotis discus Reeve의 마취 박리효과

  • 한석중;김봉래;원승환;김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37-238
    • /
    • 2000
  • 전복양식산업은90년대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남해안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넙치양식과 함께 육상수조 및 해상양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99년도의 양식현황은 종묘생산 건수가 177건, 수면적 6만7천$m^2$, 연간 생산능력 5천5백만 마리로 나타나고 있으며, 지역별 생산 능력은 남해안 및 제주도가 전국대비 각각 62%, 5.9%, 동해안은 6.3%, 서해안은 25.4%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전복양식 산업의 꾸준한 발달과 규모의 증가 추세로 인하여 전복 종묘에서부터 성패까지 성장 단계별로 선별. 분산기회가 많아지고, 성패의 출하시기에도 많은 양의 박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박리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일시에 대량으로 마취 박리를 할 수 있고, 생물에 대한 상처로 인한 폐사를 줄일 수 있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마취박리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참전복의 산소소비와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 전민지;문협수책;장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93-294
    • /
    • 2001
  • 전복류는 옛날부터 고급수산품으로서 가치가 높고, 근년에 와서는 경제성장과 함께 그 수요가 날로 증가되는 추세로 양식 대상종으로 전망이 밝다(변 등, 1984, 김, 1997). 전복양식은 최근 연안환경의 오염으로 인한 양식장 적지의 제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의 제기로 종묘생산과 양성에 이르기까지 육상 수조에서 완전양식이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육상수조식 양식은 전 사육과정을 인위적으로 관리 하면서 사육하기 때문에 생존율 및 성장효과 면에서는 다른 양식 방법보다 유리하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전복이 한정된 공간에서 대량으로 사육됨에 따라 여러 가지 질병과 수질악화, 여름철 고수온기 때의 수온의 급상승이나 적조 생물 및 이상수괴에 의한 치패의 성장저하 대량 폐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Mass Moralities of Young Red Seabream (Pagrus major) in the Artificial Seed Production (일본산 참돔, Pagrus major 종묘생산과정중 사육수 변화로 인한 대량폐사)

  • 최상덕;정관식;김호진;김성수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1 no.2
    • /
    • pp.203-212
    • /
    • 1998
  • As seed production program is growing prosperously in various fishes in southern Korea, disease problems in larval and juvenile stages have emerged as a new research objec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investigation about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mass mortalities of young Kinki red seabream, Pagrus major in process of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Total length of red seabream larvae hatched was 2.93mm, and became 18.83~20.12mm at day 40. The first noticeable mortality of red seabream larvae (7.98~9.37mm) occurred in 25~30 day-old fish with the survival rates of 59.8~60.3%. Thereafter the mortality of larvae decreased, survival rate was 20.5~25.45% in day 40. After 20~30 days, the quality of pond water was bellow II clas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COD, $PO_4$-P, $NO_2$-N, $NO_3$-N and $NH_$-N increased up to 3, 7, 34, 6 and 8 times, respectively, compared to initial ones. The number of viable bacteria in pond water and seabream larvae were $6.3{\times}10^6$~$2.3{\times}10^7$ cfu/ml, 4.3~$7.4{\times}10^6$ cfu/g in day 25, respectively. Among the isolated bacteria from the diseased red seabream in day 25, Vibrio spp. was considered to be the causative organism. External symptoms of this disease were floated, spined near the surface and inflated abdomen. When the isolated strain of the Vibrio was bathed to seabream larvae, $LD_50$ of seabream larvae was over $10^6$ cfu/ml of Vibrio spp.

  • PDF

말쥐치의 조기 산란유도 및 종묘생산

  • 방인철;박상용;김동준;권성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2-62
    • /
    • 2003
  • 최근 연안 자원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고 새로운 양식 대상종으로 평가되고 있는 말쥐치의 대량 종묘생산을 위해서는 수정난 대량확보와 자어기 먹이생물 구명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자들은 우선 호르몬 처리에 의한 산란유도, 조기성숙유도에 의한 조기산란유도 및 수정난 확보방법을 개발하고, 위내용물 분석을 통한 자어의 초기먹이생물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산란유도를 위하여 hCG, LHRH-a 및 hCG+LHRH-a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실험한 결과 모든 실험구에서 67~76%의 수정률을 나타내었으나, 대량의 성숙란을 얻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종의 산란특성이 다회성인 점을 감안한다면 500 g 전후의 친어 200~300마리를 1개의 수조에 수용하여 자연산란된 수정란을 수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균 450 g 정도의 말쥐치 친어를 12월부터 6개월동안 천천히 수온을 상승시켜 자연산란을 유도한 결과, 자연산란기 (6월)보다 2개월 빠른 4월 15일(17$^{\circ}C$로 가온한 지 15일)에 첫 산란이 이루어졌고 1개월간 지속되었다. 초기 사육환경을 구명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해산어 종묘 생산에 이용하는 클로렐라+rotifer 실험군이 클로렐라 단독, 규조류 단독, 규조+rotifer, 녹조+copepods등이 번식된 환경보다 생존율에 있어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 내용물 분석에 의한 사육기간 중 섭식한 주요 먹이생물종은 부화 후 5일부터 20일째까지는 rotifer egg, 부화 10일째는 rotifer egg와 small rotifer, 부화 20일째는 rotifer, Artemia sp., copepods, 부화 25일째부터는 copepods였다. 초기성장은 부화직후 전장 1.95 mm였던 것이 10일째는 2.96 mm, 20일째는 3.89 mm, 30일째는 12.9 mm, 50일째는 35.1 mm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말쥐치 자ㆍ치어가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속적인 폐사와 종묘의 수송시 발생하는 폐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추후에 해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