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야간 교대근무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초

교대근무자에서 야간 광 노출에 따른 수면양상 및 기분상태 변화 (Changes in Sleep Patterns and Mood States of Shift Workers Following Nocturnal Light Exposure)

  • 권기범;윤인영;강상범;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68-75
    • /
    • 1999
  • 목 적 : 본 연구는 야간 광 노출시 야간교대근무자의 수면양상과 기분상태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와 광 노출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광 노출이 야간교대근무적응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용인정신병원에 근무하는 야간교대근무 간호사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야간근무 대조연구, 야간근무 광노출연구, 주간근무 대조연구의 3부분으로 구성 되었으며 1명의 간호사가 주간근무 대조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간호사가 세 연구에 모두 참여하였다. 야간근무 광노출연구시 새벽 1시부터 새벽 5시까지 4시간동안 빛에 노출되었다. 수면양상은 활동기록기와 자동수면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기분상태와 광노출의 부작용은 자기보고척도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 과 : 수면기간시간, 총수면시간, 수면효율은 야간근무 대조연구에 비해 야간근무 광노출연구시 증가되었으며 야간근무 광노출연구는 주간근무 대조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야간근무 광노출연구시 수면효율의 일간변동도 야간근무 대조연구에 비해 현저하지 않고 안정된 양상을 보였다. 야간근무 광노출연구시 간호사들은 주간수면을 취한 후 저녁시간에 야간근무 대조연구에 비해 좀 더 기분이 고양되고 활기가 넘친다고 보고하였다. 광 노출이 진행되면서 광노출 부작용에 대한 내성이 생겨 부작용의 빈도나 정도가 감소하였으며 광노출 3일째 심한 정도의 부작용을 호소한 사람은 한명도 없었다. 결 론 : 광 노출시 주간수면은 주간근무시의 야간수면만큼 호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이러한 수면호전으로 인해 야간교대근무자들은 기분이 고양되고 좀 더 활기가 넘친다고 보고하였다. 광 노출의 부작용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므로 야간교대근무 적응을 위해 광 노출법을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교대제도와 스트레스 (Night and Shift Work and the Stress)

  • 조용래;이철호;서유직;박영만;박성억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6-19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를 시행하는 사업장을 조사아여 교대 분류방법에 의해 교대제의 명확한 분류 와 국내의 교대제 적용업체의 편성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며, 문제점과 편성의 성격에 따을 스트레스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대제는 크게 비심야 교대제, 심야 교대제, 휴일이 있는 종일 교대제, 휴일이 없는 종일 교대제로 나누어 진다. 마산, 창원 지역의 교대제는 휴일이 있는 종일 교대제를 가장 많이 취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문제점으로는 휴일이 없는 교대제가 존재하며, 야근 연 속 일수가 4일 이상으로 길고, 생체리듬의 길어지는 특성에맞지 않는 역순환이 존재하며 휴일이 없는 종 일 교대제에서 야간 근무에서 주간근무로 근무간격시간이 짧다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편성 상의 문제점과 성격에 의한 SACL의 분석에서장시간 근무하는 12시간 2교대 보다 8시간 정상 근무하는 3교대 의 스트레스가 낮고, 야근 연속일 수는 5일 이하인 경우의 스트레스가 제일 낮았고, 휴일은 있는 경우가 높았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교대제 편성상에따른 프트레스 점수간 차이를 보였지만 다른 연령대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hifting Nurses' on the Health Conditions)

  • 김현경;이태용;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26-1132
    • /
    • 2010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정도를 파악하고 그 행위정도가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57명을 대상으로 2006년 7월1일부터 7월 30일까지 건강증진 생활양식, 건강상태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상태는 신체적 영역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p=0.008), 한 달 동안의 야간근무 일수가 적을수록 (p=0.003), 야간근무 지속일수가 짧을수록(p=0.008), 생리주기는 규칙적일수록(p=0.016), 결혼 상태는 기혼에서(p=0.007) 건강상태가 좋았다. 결론적으로 간호사 개인이 교대근무가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건강증진 행위를 잘 수행할수록 건강 상태가 좋아짐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건강증진 행위를 수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건강증진 행위 저해요인을 최소화시키려는 기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순환제교대근무자에서 야간 근무 적응에 대한 광치료 효과 (Effect of Bright Light Exposure on Adaptation to Rapid Night Shift : A Field Study of Shift Work Nurses in Psychiatric Ward)

  • 고영훈;조숙행
    • 수면정신생리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02
  • 목 적 : 여러 모의 연구(simulated study)에서 순환제 교대근무자의 야간 근무에 따른 수면장애와 작업수행의 어려움에 대해 광치료가 치료적 도구로 제안되고 있어 실제 순환제 교대 근무 환경에서의 야간 근무 동안 광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인 5명의 병동 근무 간호사들은 기초평가단계 동안 연속적인 3일간의 낮 근무 후 650 lux의 실내 조명 하에서 연속적인 3일간의 야간근무를 하도록 계획되었으며, 2주 후의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동일한 순환주기로 근무하는 동안 자정부터 오전 4시까지 2500 lux의 광박스를 이용한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야간근무 후의 낮수면은 actiwatch를 이용하여 평가되었으며 야간 근무 동안은 스탠포드 졸리움 척도를 이용한 각성상태, 고막체온, STIM을 이용한 수행능력 및 visual analogue를 이용한 우울감, 불안감, 신체적 불편감, 피로감을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시행단계 각각에서 야간근무 첫째날과 셋째날을 비교평가하였다. 결 과 : 야간근무 후의 낮 수면은 기초평가단계와 광치료 시행단계 모두 야간 근무 1일째와 3일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주기리듬의 위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고막 온도는 야간근무 3일째에 기초평가단계에서는 위상전진을 나타낸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위상변화가 없었다. 또한, 각성상태, 우울감, 불안감, 피로감, 신체적 불편감, 졸리움 등의 변화도 기초평가단계에서 야간근무 3일째에 유의하게 악화된 반면 광치료시행단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주의력에서는 광치료시행단계에서만 야간근무 3일째가 1일째에 비해 유의하게 호전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위약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실제근무 환경에서 단기간의 광치료가 순환제 교대근무자들의 주간 수면의 질을 뚜렷하게 변화시키진 않았으나, 야간 근무동안 졸리움 감소와 주의력 향상을 통한 야간 업무 수행능력의 호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 PDF

교대근무를 하는 일반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실태, 수행주체와 직무만족에 대한 융복합적 조사연구 (A Convergence Investigation on Nursing Task Performance, Appropriate Performer,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ith Shift Work in General Ward)

  • 박경옥;이여진;안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295-304
    • /
    • 2021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간호업무 수행실태와 직무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 결과, 전체 간호 업무 중 대상자가 수행한 직접간호는 45%, 간접간호는 55%를 차지하였다. 교대 근무별로 주간에 수행한 업무량은 전체 업무량의 37.2%였고 인계 후 수행한 업무는 '직접간호(34.5%)'와 '기록과 보고(25.8%)'였다. 대상자들은 본인이 수행한 업무 중 일부분에 대해 간호보조 인력에게 위임 가능하거나, 타 의료인과 경계가 모호한 업무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야간근무의 직무이행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rs=.43, p=.01)가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별 직무분석에 근거한 업무효율성 제고 및 EMR적용, 스마트 기기 등을 활용한 인계시간 감소 전략, 업무 수행주체를 명확히 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 교대근무 지표(Standard Shiftwork Index) 차이 (A Comparison of Standard Shiftwork Index between Night Shift 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 김정희;김명숙;김연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23권1호
    • /
    • pp.54-6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working status and Standard Shiftwork Index (SSI) between night shift-fixed nurses and rotating shift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367 nurses working as registered nurses at 7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8, 2016 to September 30, 2016. Results: Night shift fixed nurses were more satisfied with work schedule than rotating shift nurses. Rotating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SSI scores, such as chronic fatigue, musculoskeletal problems, than night shift fixed nurses. In SSI's sub-items, rotating shift nurses reported higher scores, such as the amount of sleep, feeling well after sleep, heartburn or stomach-ache and heartbeat irregularities, than night shift fixed nurs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night shift fixed system might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nurses' work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any suitable night shift fixed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ursing organization. The SSI might be an useful tool to measure the nurses' satisfaction in reference to their work shift.

항공교통관제사의 피로위험관리시스템 도입에 따른 국내 적용 방안 (Domestic Application Plan of Fatigue Risk Management System by Air Traffic Controller)

  • 이영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01-506
    • /
    • 2019
  • 본 논문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기준에 부합하기 위하여 항공교통관제사에 대한 피로위험관리시스템(FRMS)의 도입 및 시행을 앞두고 과학 데이터 기반에 근거하여 우리에 적합한 FRMS 구축을 위한 규범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행 국내운영기준에 대하여 항공관제기관별 운영을 확인하고, 해외 각국의 항공교통관제 기관별 운영 방식과 기준을 비교·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관제사는 주/야 최대 근무시간 10시간, 최소휴식 8시간, 주 40시간으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항공교통관제기관의 경우의 주간의 경우는 기준시간과 적합한 근무를 하나, 야간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5.9시간을 초과한다. 그리고 주 40시간 경우 평균적 15.7시간의 초과근무를 하고 있다. 이러한 야간 근무시간 조정 방법으로 인원보충에 의한 적절한 야간 근무시간 배분과 더불어 근무교대 방식이 1일 2교대(주/야) 방법이 아닌 개인 schedule에 따른 근무자 투입 방식의 형태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여 나갈 수 있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