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력변환기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압력변환기의 성능평가

  • 임순재;배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0.04a
    • /
    • pp.36-40
    • /
    • 1990
  • 최근 산업고도화의 일환으로 공장자동화와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여러가지 변환기가 응용되고 있다. 또 변환기도 종합적인 계측, 제어를 위하여 종래의 기계적 구조를 이용한 것으로부터 전기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이에 동반하여 개발된 변환기의 올바른 성능평가 방법이 필수 기술로써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바른 성능평가의 방법은 그 결과의 활용에 있어서, 해당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사항과의 합치여부를 결정짓는 기준일 뿐 아니라 실험결과의 국제적인 비교의 기준이 되므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또 성능평가도 이제까지는 보톤 상온의 환경에 대해서만 고려하였지만, 예상되는 사용환경 전부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환기 또는 센서의 성능평가방법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압력변환기를 선정하여 그 사용 환경에 대한 성능시험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물에 적용결과를 나타냈다.

Integral C-V Converter for a Fully Differential Capacitive Pressure Sensor (완전차동용량형 압력센서를 위한 적분형 C-V 변환기)

  • Lee, Dae-Sung;Kim, Kyu-Chull;Park, Hyo-Der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39 no.9
    • /
    • pp.62-71
    • /
    • 2002
  • An intergral C-V converter is proposed to solve the nonlinearity problem of capacitive pressure sensors. The integral C-V converter consists of a switched-capacitor integrator and a switched-capacitor differential amplifier. It converts the sensor capacitance change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an applied pressure into a linear voltage output. Various PSPICE simulations prove that the convertor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low nonlinearity less than 0.01%/FS and low sensitivity to parallel offset capacitance and parasitic capacitance for the displacement range of sensor diaphragm set to 0 ${\sim}$ 90% of the initial d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n the simulation. We also show that the offset compensation and the gain trimming are easily achieved with the integral C-V converter.

유압 Vane Pump의 성능특성에 관한 연구

  • 김병술;이일영;정재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04a
    • /
    • pp.335-340
    • /
    • 1992
  • 유압 시스템(System)은 원동기의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펌프가 작동유를 압력 에너지의 형태로변환 시켜 이것을 유합 실린더(Cylinder)등의 엑츄에이터(Actuator)가 다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부하 를 구동하게한다. 상용차(NT-1, KH 등)용 파워스티어링(Power Steering)에 장착되는 Vane Type Oil Pump (이하 VOP)가 바로 이와같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OP의 성능과 관련되어지는 주요 제원(Parameter)인 미끄럼부에서의 틈새, 작동유점도, 압력변화, 회전수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모의실험(Simulation)을 통하여각각의 조건하에서얻어지는 누설 유량과 체적효율을 수치적 으로 예측하고 이것을 주요제원을 고려하여 해석해서 정량적인 값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Experimental Study on Stall Inception in a Centrifugal Compressor (원심압축기 스톨 발단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ang, Jeong-Seek;Kang, Shin-Hyoung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12a
    • /
    • pp.200-21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속의 원심압축기에서 스톨 발단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스톨을 일으키는 요인과, 스톨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미리 경고할 수 있는 방법을 주된 연구 주제로 삼았다.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8개의 고속응답 압력변환기를 사용하여 순간압력을 측정하였으며, 이 신호를 공간 푸리에 변환(space Fourier transform)을 사용하여 스톨의 발단을 알리는 신호를 측정하였고, 회전하는 파의 에너지(Traveling Wave Energy) 방법을 사용하여 스톨을 미리 경고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회전하는 파의 에너지 방법은 스톨을 경고하는 데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저속에서는 약 임펠러 100회전, 중간속도에서는 약 200회전, 그리고 고속에서는 약 임펠러 1000회전의 경고시간을 보였다. 그리고 스톨 발단 근처에서 공간 푸리에 계수의 위상이 임펠러 주파수의 속도로 선형적인 증가를 보이는 구간이 나타났으며, 또한 임펠러 주파수의 스펙트럼이 스톨로 접근하면서 증가하는 것으로부터, 임펠러 주파수가 스톨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펠러의 회전속도에 관계없이 스톨로 접근하면서 임펠러 주파수의 스펙트럼이 증가하므로, 이 값이 스톨을 경고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약 임펠러 2n회전의 경고시간을 얻을 수 있었고, 임펠러의 속도가 빠를수록 긴 경고시간을 얻었다. 이 방법의 개발로 하나의 센서의 측정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스톨을 경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Simulation and Optimization Study on the Pressure-Swing Distillation of Ethanol-Benzene Azeotrope (Ethanol-Benzene 공비혼합물의 분리를 위한 압력변환 증류공정의 전산모사)

  • Park, Hoey Kyung;Kim, Dong Sun;Cho, JungH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3 no.4
    • /
    • pp.450-456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modelling and optimization of ethanol-benzene separation process were performed using pressure-swing distillation. Order to obtain a reliable results, vapour-liquid equilibrium (VLE) experiments of ethanol-benzene binary system were performed. The parameters of thermodynamic equation were determined using experimental data and the regression. The pressure-swing distillation process optimization was performed to obtain high purity ethanol and high purity benzene into a low-high pressure columns configuration and a high-low pressure columns configuration. The heat duty values of the reboiler from simulation were compared, and the process was optimized to minimize the heat duty.

An Analyzing Method of Pressure Wave Propagation in Hydraulic Transmission Line for Automotive Power Steering System (자동차 동력조향용 유압 관로계에서의 압력 맥동 전파 특성 해석법)

  • LEE, Ill-Yeong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 /
    • v.21 no.1
    • /
    • pp.134-139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고압 호스에서의 파속 데이터에 기초한 새로운 맥동류 해석법을 제안한다. 이어서, 저자가 제안한 고압 호스에서의 파속 측정법인 "3개 압력 변환기를 갖는 폐쇄 출구 도관법"을 사용하여 자동차 동력 조향 장치용 레조네이터 호스 각 부품에서의 파속 데이터를 계측해둔다. 최종적으로 몇 개의 연구 대상 레조네이터 호스에 대한 압력 맥동 감쇠 특성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그 결과로부터, 제안한 압력 맥동 전파 특성 해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III) -Various Designs of the Perforated Screen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Rice Whitening Machine-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II) -정백기(精白機)의 성능(性能)에 영향을 미치는 스크린 설계(設計)에 관한 연구(硏究)-)

  • Noh, Sang Ha;Chung, Chang Joo;Kim, Sam D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7 no.2
    • /
    • pp.57-71
    • /
    • 1983
  • 마찰식 정미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계설계 및 작동상의 인자로는 스크린의 형태, 롤러의 형태, 롤러회전속도, 출구 저항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본 논문의 저자에 의해서 시리즈로 연구되어 왔으며, 본 연구는 그의 일환으로 스크린의 단면형상(6각, 8각, 12각 그리고 원통형), 스크린에 뚫려있는 슬랏의 기울기($15^{\circ}$, $30^{\circ}$, $45^{\circ}$ 그리고 $-45^{\circ}$), 그리고 출구 저항이 정백미의 질과 양, 정백효율 그리고 정백실내의 정백압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실험에 사용된 공시 정미기는 임도정 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흡입마찰식이었며, 사용된 시료는 밀양 23호인 통일계품종이었다. 각 처리마다 동력 소모량과 정백실내의 정백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KYOWA" 스트레인 게이지 시스템(strain gauge system), 토오크 변환기, 압력변환기 등이 사용되었다. 본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백과정중에 정백실내의 정백압력은 입구에서 가장 높았고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평균 정백압력도 순환 횟수에 따라서 변화 하였는데 첫번째 순환에서 가장 높았고 순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2) 본 실험에서 사용한 출구저항 수준은 출구저항 수준 1에서 요구되는 정백도의 백미를 얻기 위한 순환 횟수는 2회 이었고 출구저항 수준 2에서는 4회 이었는데, 이를 출구저항 수준이 정백압력, 정백율, 완전미수율 및 도정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3) 스크린에 뚫려있는 슬랏 각도가 $15^{\circ}$에서 $45^{\circ}$로 증가함에 따라서 정백실내의 평균 정백압력은 감소하였고, 완전미수율과 도정 효율은 증가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도정수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5^{\circ}$의 슬랏 각도를 가진 스크린에서는 슬랏 각도 $15^{\circ}$인 스크린에서와 거의 비슷한 정백압력 수준을 나타냈으나 완전미와 정백미의 생산은 매우 낮았다. 4) 스크린 표면에 기다란 강편 (보통 "띠"라고 부름)을 붙인 원통과 12각형의 스크린에서는 강편을 붙이지 않은 6각형과 8각형 스크린에서 보다는 비교적 높은 정백압력을 나타냈다. 전자는 후자에 비해서 정백효율은 높았으나 완전미수율은 떨어졌다. 5) 정백실내에서 가장 낮은 정백압력을 나타낸 8각형 스크린은 높은 도정수율과 완전미수율을 가져왔으나 상대적으로 정백효율은 낮게 나타났다. 6) 정백실내의 반경 방향의 평균 정백압력($P_R$)과 완전미수율($Y_h$)은 다음과 같은 1차적인 역비례 관계가 있었으며(평균 정백압력 범위는 0.5-0.9kg/$cm^2$), $Y_h=-28.661P_R+84.860$ ($r^2=0.858$) 정백효율($Y_e$)과 정백압력($P_R$)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2차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Y_e=-597.5P_{R^2}+929.96P_R-210.15$ ($r^2=0.759$) 정백효율은 정백압력이 0.7-0.8kg/$cm^2$일 때 가장 높았으며, 이때 변이도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piezoelectric flextentional sonar transducer simulations between a coupled FE-BEM and ATILA code (결합형 유한요소-경계요소 기법과 ATILA와의 압전체 유연성 쏘나 변환기 시뮬레이션 비교)

  • Soon-Suck Jar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3 no.3
    • /
    • pp.559-567
    • /
    • 1999
  • A piezoelectric flextentional sonar transducer has been simulated using a coupled FE-BEM. The dynamics of the sonar transducer is modelled in three dimensions and is analyzed with external electrical excitation conditions. Different results are available such as steady-state displacement modes, underwater directivity patterns, resonant frequencies, bandwidths, quality factors, output acoustic powers and transmitting voltage responses. It is shown that the present barrel-stave sonar transducer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produces flextentional displacements which could be related with higher output power, lower quality factor and more omnidirectional beam pattern than other types of sonar transduc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onar transducer modelling are also compared with those of a commercial package such as ATILA.

  • PDF

Development of a Finite Element Program for Determining Mat Pressure in the Canning Process for a Catalytic Converter (촉매변환기를 캐닝할 때 발생하는 매트의 압력분포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 Chu, Seok-Jae;Lee, Young-Da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5 no.11
    • /
    • pp.1471-1476
    • /
    • 2011
  • The catalytic converter in the front part of an automobile's exhaust system converts toxic exhaust gas into nontoxic gas. The substrate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nverter has a circular or oval-shaped cross section and fine lattice-shaped walls. In the canning process, the substrate is wrapped in mats and inserted into a can. During this process, mat pressure is induced, which may cause brittle fracturing in the substrate. In this paper, a finite element program for determining the mat pressure distribution was developed to avoid these fractures. The program was created in Microsoft EXCEL, so the input and output procedures are relatively simple. It was assumed that the substrate is rigid, the mat is material nonlinear, and the can is linear elastic. The can is modeled as a beam element to resist both bending and uniform tension/compression. The number of elements is fixed to 35, and the number of iterations, to 20. The solutions are compared to ABAQUS solutions and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The Study of Pressure Vacuum Measurement Techniques Using Ultrasonic Acoustic Impedance Transducers (초음파 음향임피던스 변환기를 이용한 저압 저진공 측정기술 연구)

  • Hong, S.S.;Shin, Y.H.;Cho, S.H.;Ahn, B.Y.;Lim, J.Y.;Choi, I.M.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9 no.5
    • /
    • pp.319-325
    • /
    • 2010
  • Pressure vacuum measurement technique using acoustic impedance change of ultrasonic transducers was studied. The sensor has been setup using two air-coupled ultrasonic transducers, one as a transmitter and the other as a receiver, and put it into vacuum chamber and measured pressure versus ultrasonic amplitude.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standard deviations of four repeat measurements were from 0.0093 to 0.3325 at pressure 6.66 kPa to 202.65 kPa(about two atmosphere), and the relative percents were 0.018% and 0.164% at pressure 133.32 kPa and 202.65 kP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