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고리즘 수준

검색결과 1,120건 처리시간 0.03초

부정확 타스크의 최대가중치 오류를 최소화시키는 온라인 스케쥴링 알고리즘 (On-line Scheduling Algorithms for Reducing the Largest Weighted Error Incurred by Imprecise Tasks)

  • 이춘희;류원;송기현;최경희;정기현;박승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6B호
    • /
    • pp.1032-1041
    • /
    • 1999
  • 본 논문은 단일프로세서 환경에서 부정확 타스크들을 선점형태로 스케쥴할 때 발생하는 오류의 최대치를 최소화하는 온라인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알고리즘은 상위수준 및 하위수준 알고리즘으로 나눈다. 상위수준 알고리즘에서는 매번 타스크가 도착할 때마다 스케쥴링을 수행하며, 대상 타스크들의 전체 오류 및 최대오류가 동시에 최소가 되도록 각 타스크들의 수행시간을 구한다. 하위수준 알고리즘에서는 배당된 타스크들의 할당 시간을 실제 프로세서가 어떤 순서대로 수행할지를 정한다. 상위수준 알고리즘은 주어진 조건을 LP 문제로 정형화하여 복잡도가 상당히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고, 하위수준 알고리즘은 Shih and Liu[4] 의 온라인 알고리즘을 확장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수 경우의 상황을 실험한 결과 전의 연구방법 보다 상당히 개선된 효과, 최대오류를 더 최소화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버퍼 수준을 고려하는 비디오 스트림 전송 스케쥴링 알고리즘 (Algorithms for Scheduling Video Stream Transmission using Buffer Level of Mobile Clients)

  • 김진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38-40
    • /
    • 2012
  • 비디오 서버는 다수의 비디오 요청을 동시에 서비스하기 때문에 통신망 대역폭을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모바일 통신망에서 클라이언트들의 재생 버퍼 수준을 이용하여 VBR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하는 스케쥴링 알고리즘들이 본 논문에서 제시되었다. 요청된 비디오 재생시 서비스 품질과 실시간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디오 서버는 일시적으로 버퍼 수준이 낮은 비디오 요청 작업을 우선적으로 서비스하고자 더 많은 대역폭을 할당하는 실시간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버퍼 수준이 상이한 모바일 클라이언트들에게 공평한 서비스와 부하 균형이 제공되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나타났다.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설계 방안 연구 (Designing a Simulation for Algorithm Education)

  • 김정우;이미화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43-248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 수준에 맞는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웹 기반 시뮬레이션의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기반으로 자료 처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렬 및 탐색 알고리즘으로 제한하여 설계 방안을 고찰하였다. 각각의 알고리즘 학습을 위해 실생활과 밀접한 모의상활을 제시하여 알고리즘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시뮬레이션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초등학교 수준에 맞는 알고리즘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Intuitive Stages)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41-25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와 연산, 도형 및 측정 영역을 대상으로, 알고리즘에 의한 해결에서부터 직관적 판단에 의해 해결이 가능한 8문제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제작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직관적 수준에 따른 결과 분석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틀을 따랐다. 분석 결과, 직관적 수준에서 해결 가능한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내용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와 연산 영역에서는 알고리즘 수준에 의한 정답률이 높았지만, 도형 및 측정 영역에서는 직관적 수준에 의한 정답률이 높았다. 결과 분석을 통해 알고리즘 적용에 필요한 요소가 문제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 학생들은 문제 구조에 대한 통찰을 통해 답을 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통찰을 통해 직관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의 개발과 직관적 원리에 의한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기량수준 동등분할 문제의 상자 채우기 알고리즘 (Bin Packing Algorithm for Equitable Partitioning Problem with Skill Levels)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09-214
    • /
    • 2020
  • 동등분할 문제(EPP)는 학생이 특정 분야에 대한 경험 유무인 [0/1]이진수 형태를 갖는 경우와 [1,2,3,4,5]와 같은 정수형의 기량 수준을 갖고 있는 문제로 분류된다. 이진수형 EPP에 대해서는 다항시간으로 최적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이 알려져 있다. 반면에, 정수형 기량 수준을 갖는 EPP에 대해서는 다항시간으로 해를 구하는 알고리즘이 존재하지 않아 아직까지는 메타휴리스틱의 일종인 타부탐색법만이 알려져 있는 난제이다. 본 논문은 NP-난제인 정수형 기량 수준을 갖는 EPP에 대해 다항시간으로 해를 찾아가는 규칙을 가진 휴리스틱 탐욕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각 분야의 기량 수준별 빈도수 내림차순으로 그룹 수를 충족하는 하한치(LB)를 구하고, LB 이상인 기량수준을 가진 학생들을 각 그룹 상자에 우선하여 채우고, LB 이하 기량수준을 가진 학생들을 추가로 각 상자에 배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험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타부탐색법으로 구한 결과를 개선하는 효과도 얻었다.

뇌파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궁 슈팅 과정에 대한 집중력 및 긴장이완 수준 평가 (Evaluation of Attention and Relaxation Levels of Archers in Shooting Process using Brain Wave Signal Analysis Algorithms)

  • 이구형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41-350
    • /
    • 2009
  • 양궁의 슈팅과정에 대하여 정신 집중력과 긴장 이완도를 뇌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평가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우수, 중급, 그리고 초급 양궁선수들이 야외 양궁장에서 근거리와 장거리 타깃을 대상으로 슈팅 훈련을 할 때 앞이마(Fp1)에 전극을 부착한 헤드밴드 형태의 휴대용 뇌파 시스템으로 뇌파를 기록하였다. 개인별로 기록된 뇌파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계산되었으며, 슈팅 과정에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의 변화 형태가 분석되었다. 개인별로 각각의 슈팅에 대한 정신집중 및 긴장이완 수준 변화는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변화 유형은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을 평가하는 신뢰성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우수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슈팅과정의 진행에 따라 동시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중급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도는 증가하는 반면 긴장 이완 수준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변화는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뿐만 아니라 훈련 시에 유익한 피드백이 되었다.

  • PDF

지상파 디지털 TV 수신기 성능향상을 위한 적응 등화기 연구 (Adaptive Equalizer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rrestrial Digital Television Receiver)

  • 한종영;송현근;김재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04
  • 디지털 TV 전송 방식중의 하나인 ATSC 8-VSB 시스템의 등화기는 훈련신호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DFE 적옹 등화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LMS 알고리즘은 그 수렴속도가 느리고 수렴 후 오차 수준이 다른 적응 알고리즘에 비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DFE의 오차 수준을 낮추기 위한 선형 등화기 구조의 전 처리부(pre-processor)를 사용하여 필터 수렴 후의 DFE의 오차수준을 기존의 DFE보다 낮추었으며 제안된, DFE 구조의 성능을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 PDF

양자컴퓨터 계산성능의 정량적 비교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Quantum Computing Power)

  • 김진규;장아름;최병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
    • /
    • 2016
  • 현재까지는 양자 컴퓨터의 계산 성능에 대한 알고리즘 수준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알고리즘 수준 분석의 한계를 넘기 위해 조금 더 정교한 어셈블리 코드 수준에서의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현재 사용가능한 두 개의 양자 컴파일러와 두 개의 양자 알고리즘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성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양자컴퓨터는 어셈블리 코드 수준에서도 충분한 성능향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고전컴파일러와 달리 양자컴파일러의 실행시간은 입력 값에 의존함을 확인하였다.

자원 제약하에서 가변 데이터 입력의 파이프라인 데이터 패스 함성을 위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A Scheduling algorithm for pipelined data path synthesis with variable initiation intervals under resource constraints)

  • 오주영;박도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34-36
    • /
    • 2001
  • 상위 수준 합성 과정에서 스케줄링은 하드웨어 동작을 표현한 연산들이 주어진 제약 조건을 만족하며 최적의 제어단계에 배정되도록 하는 과정이며 스케줄 결과는 목적 하드웨어의 면적과 실행속도에 많은 영향을 준다. 파이프 라인은 순차적인 데이터 입력을 중첩 수행하여 실행 속도와 자원 이용률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상위 수준에서 파이프라인 데이터 패스를 합성하기 위한 기존의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은 고정된 데이터 입력 간 격열을 기반으로 제안된 것이 대부분이며, 가변 데이터 입력 간격을 지원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는 시간 제약 하의 자원최소화 알고리즘[5]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데이터 입력 간격을 지원하는 자원 제약하의 실행 시간 최소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연산의 스테이지 인덱스가 초기에 고정되는 시간제약하의 스케줄링 알고리즘[5]을 응용하여 자원제약하의 스케줄 진행과정에서 증가되는 제어단계에 따라 스테이지 인덱스가 변경 될 수 있도록 하고 점진적인 모빌리티 축소에 의해 스케줄한다. 제안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실험 결과는 다양한 자원제약과 입력 간격렬에 대하여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효과적인 스케줄 결과를 유도한다.

  • PDF

건설도면의 GIS 데이터 변환을 위한 건물외곽선 단순화기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Building Outline Simplification Algorithms for the Conversion of Construction Drawings to GIS data)

  • 박우진;박승용;유기윤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437-444
    • /
    • 2008
  •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건설 분야에서 이용되는 CAD 자료에서 GIS 자료로의 변환 및 융복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상호변환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도면 CAD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치지도의 건물데이터를 수정, 갱신하기 위한 방법론의 일환으로 건설도면의 건물외곽선을 추출하여 수치지도의 건물데이터 수준으로 일반화하는 선형 단순화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형 단순화 알고리즘은 Douglas-Peucker 알고리즘, Lang 알고리즘, Reumann-Witkam, Ophei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시각적 분석, 절점 수, 총길이, 면적 변화율 분석 그리고 각 절점이 수치지도 작성내규를 만족하는 비율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Douglas-Peycker 알고리즘이 시각적 측면과 절점 수 감소율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단순화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수치지도 작성내규 만족도 측면에서는 공통적으로 $50{\sim}60%$ 수준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국내의 수치지도의 건물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단순화 기법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일반화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