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화 원소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ffects of stabilizing elements on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inless steel in marine environment (안정화 원소 첨가에 따른 스테인리스강의 기계적 특성과 해수환경 하에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 Lee, Jung-Hyung;Choi, Yong-Won;Jang, Seok-Ki;Kim, Seong-J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8 no.9
    • /
    • pp.1087-1093
    • /
    • 2014
  • Stainless steels stabilized with Ti or Nb are largely used in offshor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due to it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n this study, carbide stabilizers, Ti and Nb, were added to stainless steel 304 specimen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Ti: 0.26%, 0.71%, Nb: 0.29%, 0.46%, 0.71%), and their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Micro-Vickers hardness testing was employed to characterize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with alloying elements. Electrochemical evaluation techniques including Tafel analysis, cyclic polarization experiment, galvanostatic experiment were utilized to compare the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The result of hardness tests revealed that Nb containing specimens showed increasing hardness with increasing alloying contents while adding Ti had little effect on increase in hardness. In the case of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mens were enhanced with increasing Nb contents while they were deteriorated with increasing Ti contents. As a result, different stabilizers and their contents may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re such effect must be taken account of in development of stainless steels for marine environment.

Effects of alloy elements on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stainless steel in sea water (해수환경하에서 스테인리스강의 전기화학적 특성 개선을 위한 합금원소의 영향)

  • Lee, Jung-Hyung;Choi, Yong-Won;Jang, Seok-Ki;Kim, Seong-J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8 no.7
    • /
    • pp.890-899
    • /
    • 2014
  •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due to it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Cr carbides precipitation along the grain boundaries after heat treatment or welding may develop Cr depleted zone, which acts as a preferential site for intergranular corrosion attack. To resolve this, carbon stabilizing element such as Ti or Nb are added to suppress formation of Cr carbides.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corrosion characteristics under seawater environment of the stabilized stainless ste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lloying contents on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n seawater of stainless steel containing stabilizing element(Ti and Nb). To achieve this, the changes on the microstructure due to alloying were observed with microscope, and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measurement of natural potential and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experiments. The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all specimens had inclusions other than the austenite matrix phase due to the addition of alloying elements. Such inclusions are considered to have different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he matrix, and thus a clear distinction was found according to the type of stabilizers and the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effects of alloying contents on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n seawater with the addition of Ti or Nb into austenitic stainless steel.

생석회(CaO)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 효율실험

  • 이예선;차종철;이민희;김명진;박인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42-345
    • /
    • 2004
  • 국내에 산재해 있는 휴ㆍ폐광산은 주변의 하천이나 농경지에 지속적인 중금속 오염원을 제공하면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여러 종류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안정화 공법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에 적절한 복토첨가제로 생석회와 석회석을 사용하여 첨가제를 넣지 않은 dh염토양과 중금속 용출율을 비교 ㆍ분석하였다. 이 결과 안정화 첨가제들이 Cd, Pb, Zn등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는데 높은 효율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첨가제를 넣지 않은 토양과 비교한 결과 약 40배 이상의 용출율 감소를 보였다. 또한 실험 시에 첨가제 각각의 함량을 1%, 2%, 5%로 설정하여 현장 적용시 복토에 첨가할 적절한 양을 산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첨가제 주입으로 인한 용출율 감소는 하나의 중금속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원소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오염토양에 토양안정화공법을 적용 시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구룡광산의 광미와 오염된 토양에 대한 중금속 존재형태 비교

  • 연규훈;이평구;최상훈;박성원;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92-395
    • /
    • 2004
  • 광미와 오염된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은 물리ㆍ화학적 환경 변화에 따라 안정화되어 자연적으로 정화가 진행되거나, 혹은 재용출 될 수 있어 중요한 오염원으로 작용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금속 원소의 존재형태를 규명하여 물리ㆍ화학적 환경 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을 예측하고자 Tessier et al (1979)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추출을 수행하였다. 구룡광간의 광미와 오염된 토양에 함유된 중금속과 마량원소의 존재형태를 비교해 보면 Fe를 제외한 모든 원소의 존재형태가 안정상인 잔류형태로 존재하였다. Cd, Co, Cu 및 Pb의 경우 잔류형태 다음으로 비정질 산화광물형태로 수반된 형태도 중요한 존재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e은 비정질 산화광물의 형태가 가장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화광물과의 결합형태가 상대적으로 우세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산소 동위원소를 이용한 산화물 이온 전도체의 산소 확산 거동 연구

  • Hong, Tae-Eun;Byeon, Mi-Rang;Bae, Gi-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12-212
    • /
    • 2014
  • 이트리아 안정화 지그코니아(Yttria-stabilized zirconia, YSZ)는 이트리아의 첨가에 의해 지르코니아에 생성된 산소 빈자리(oxygen vacancy)로 $O^{2-}$ 이온이 전도성을 가지게 되는 특징이 알려지면서 최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1] YSZ를 기반으로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YSZ 내에서의 산소교환 메카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8}O2$ 추적 기체(tracer gas) 이용하여 확산된 YSZ박막에서의 산소 확산 거동을 초미세이차이온질량분석기(Nano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Nano SIM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Nano SIMS는 작은 입사 이온빔의 크기를 구현할 수 있고, 다중검출기를 이용하여 높은 질량분해능으로 간섭없이 산소동위원소를 동시에 모두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표에서는 Nano SIMS를 이용한 YSZ박막에서의 산소 거동 평가 결과를 상세하게 보일 것이다.

  • PDF

폐중석광산의 광미와 오염된 토양에 대한 중금속 존재형태 연구

  • 강민주;이평구;최상훈;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99-301
    • /
    • 2003
  • 광미와 오염된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원소는 존재형태에 따라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중금속 원소의 존재형태를 규명하여 물리화학적 환경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을 예측하고자 Tessier et al. (1979)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추출을 수행하였다. 청양광산과 서보광산의 광미를 비교하면, As와 Co는 두 광산 모두 잔류형태로 안정화되었다. Cd과 Zn은 서보광산의 광미가 청양광산의 광미보다 잔류형태가 더 우세하였다. Pb는 서보광산의 광미가 양이온교환형태로 존재하는 함량이 높고 청양광산의 광미도 양이온교환과 탄산염광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함량이 높아 오염 확산의 우려가 있다. 서보광산의 오염된 토양의 경우, As, Co, Cd, Cu및 Zn는 대체로 안정한 형태였으나, Pb는 산화환경에서 불안정한 형태로 존재하였다.

  • PDF

장풍광산 폐광석의 중금속 존재형태 연구

  • 이평구;이인경;최상훈;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56
    • /
    • 2003
  • 폐광석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원소는 물리ㆍ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안정화 되어 자연적으로 정화가 진행되거나 혹은 재 용출될 수 있어 중요한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광석에 함유된 중금속이 흡착된 상태로 존재하는지, 광물형태(탄산염광물, 산화광물, 황산염광물 및 황화광물)로 존재하는지, 산화환경 혹은 환원환경에서 안정한 다른 광물의 결정 내에 치환된 형태로 존재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은 물리화학적 환경변화에 따른 중금속의 거동(흡착반응, 탈착반응, 용해반응, 침전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평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Effect of multi-layered HA/Ti coating on biological Ti-30Ta-xNb alloys (생체용 Ti-30Ta-xNb 합금의 HA/Ti 복합코팅의 영향)

  • Jeong, Yong-Hun;Choe, Han-Cheol;Go, Yeong-M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51-51
    • /
    • 2007
  • 기존에 있는 Ti 합금의 여러 가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골과의 탄성계수 차이를 줄이고 독성이 없는 Ta, Nb와 같은 ${\beta}$형 안정화 원소를 Ti 와 합금하여 Ti-30Ta-(3${\sim}$15wt%)Nb 합금을 제조하여 RF-magnetron sputter를 이용하여 Ti/HA 복합코팅을 하여 코팅된 합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Transfer of Arsenic from Paddy Soils to Rice Plant under Different Cover Soil Thickness in Soil Amendments in Abandoned Coal Mine (폐탄광지역 비소오염 농경지(논) 개량 시 복토두께에 따른 비소의 벼 전이 및 토양용액 특성)

  • Koh, Il-Ha;Kwon, Yo Seb;Jeong, Mun-Ho;Ko, Ju In;Bak, Gwan-In;Ji, Won Hyu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4
    • /
    • pp.483-494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reducing clean cover soil using a flooded column test in arsenic-contaminated farmland reclamation of abandoned coal mine area that shows generally low or about worrisome level (25 mg/kg) of Korea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unlike abandoned metal mine.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of soil solution for 4 months, chemical properties (pH, EC, ORP, Fe, Mn, Ca, and As) in each layer (clean soil cover and contaminated/stabilized soil) showed different variation. This result revealed that soil solution in stabilized or contaminated soil rarely affected that in cover soil. Whether stabilized or not, arsenic concentrations in the rice roots grown in the soil covers with the thickness of 40 cm decreased by 98% in compared with the that grown in the control soil. In case of the soil covers with 20 cm thickness on stabilized soil, it decreased by 80% and this was 22 percentage point higher than when the soil of lower layer was not stabilized. Thus, reducing clean cover soil could be possible in contaminated farmland soil reclamation if appropriate stabilization of contaminated soil is carried.

Prepara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of the Trace Elements doped ${K_2}O$-CaO-${P_2}{O_5}$ Glasses (미량원소함유 ${K_2}O$-CaO-${P_2}{O_5}$유리의 제조 및 용출 특성)

  • Lee, Hoi-Kwan;Kang, Wo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6 no.2
    • /
    • pp.144-148
    • /
    • 2005
  • At the previous papers, we showed that ${K_2}O$-CaO-${P_2}{O_5}$ glasses had a solubility in air so that they could be used for glass fertilizer. In this work, we fabricated the Eco-glass fertilizer containing trace elements of B, Mg, Zn, Fe, Cu, Co, Mo, the needed micronutrients for plants to grow, by a melt-quenching process. The dissolution properties in these glasses were investigated with a pH meter and an ICP analyzer. The trace elements doped glasses showed similar behavior in dissolutions and stability properties with the mother glass without containing trace elements. In addition, the dissolution amount of each trace elements depends on the mother glass composition and the quantity of each trace elements, which determine the dissolving velocity of chemical el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