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 동기요인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7초

소방공무원이 지각하는 위험유발요인이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sk Generation Factors Perceived by Fire Service Officers on a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 Vocational Calling)

  • 김희동;김종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102-109
    • /
    • 2018
  • 본 연구는 국가의 안전을 담당하고 있는 소방공무원들이 직무 수행 중 감내하는 위험유발요인들이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인적자원의 능력과 역량이 중요시 되는 소방조직에서 소방공무원들이 경험하는 위험유발요인들이 개인의 심리적 자본에 영향을 미쳐 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 및 서울권 소방학교의 교육연수 대상 소방공무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통해 회귀분석과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유발요인을 높게 인식할수록, 공공서비스동기, 직업소명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보다 위험유발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소방공무원 집단과 낮게 인식하는 소방공무원 집단의 공공서비스동기와 직업소명의 수준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위험유발요인이 소방공무원의 공공서비스와 직업소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다양한 위험유발요인에 대한 인지필요성 및 소방공무원들이 위험요인들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관련 교육과 현장체험 중심의 교육방법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 동기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An actu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Private Security Agents Career Choices)

  • 김상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12
    • /
    • 2012
  •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직업선택 동기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경호경비업체에 근무 중인(2개월 이내) 신임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무선표집조사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0년 5월부터 2011년 6월까지 3차례에 걸쳐서 총 3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요인분석(EFA/CFA), 신뢰도분석, 판별타당도분석,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13개 문항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으로는, '직업의 가치성'으로 공공의 안녕, 사회와 국가에 대한 기여도, 시민의 안전보호, 희생정신, 범죄예방, 보안유지 등으로 구성되어졌다. 둘째 요인은, '직업선택 용이'로 자격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취업하기 쉽기 때문에 이 직업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요인은, '직업의 안정성'으로 미래지향적이기 때문에 괜찮은 직업이라고 생각되어 이 직업을 선택하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요인은, '호기심'으로 이 직업에 대해서 알아보고 싶어서, 이 직업에 관심이 생겨서 선택했다 견해로 구성되었다.

농산물 인터넷 쇼핑의 소비자 만족요인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Consumer's Satisfaction Factors in Internet Shopping of Agricultural Products)

  • 서영옥;김진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65-78
    • /
    • 2009
  • 본 연구는 농산물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분석하고, 그 만족요인과 구전(추천)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증적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인터넷 쇼핑몰 구매동기는 신뢰성보다 편리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객만족요인은 신뢰성, 상품의 다양성, 배송 및 고객지원, 보안성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는 배송 및 고객지원이 가장 높고, 상품의 다양성은 다소 낮았다. 인터넷 쇼핑몰 활성화를 위한 개선과제는 반품, 환불 및 고객불만 사항의 신속한 처리가 가장 요구되고 있으며, 안전하고 다양한 결제시스템의 구축, 다양한 이벤트 및 고객서비스, 물량조달체계의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품질에 있어서 신뢰성과 보안성에 대한 소비자만족이 구전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시스템 품질에 대한 만족도 구전의도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체험관광 방문동기가 관광지 이미지의 방문 만족에 따른 국내 관광 활성화 정책 연구 (Domestic Tourism Revitaliz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Visitation with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 for Experiential Tourism)

  • 박환태;이윤옥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235-2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 관광 방문 동기가 관광지 이미지 및 방문 만족에 따른 국내 관광 활성화에 의해 극대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체험 관광지에 방문한 체험 관광객들의 교육적 동기, 체험적 동기, 문화적 동기, 친교적 동기의 4가지 요인과 관광지 이미지, 방문만족을 통한 국내 관광 활성화할 수 있는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코로나 시대에 국내 체험관광객의 방문 동기와 관광지 이미지, 방문 만족과 관련한 결과를 본 연구에 맞게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이론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체험관 광객의 방문 동기에 대한 4가지 요인을 통한 체험 관광지 이미지와 방문 만족에 관한 연구로 관광객 눈높이에 맞는 체험 관광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의 팬데믹 코로나 시대에 관광객들의 체험 관광 방문 동기에 참여하는 새로운 변화를 추진해 나가는데 필수적인 조건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국내 체험 관광 사업기업체에서 운영하는 체험 관광프로그램 측면에서는 가능한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언택트 서비스의 특성을 살린 안전한 관광지 이미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팬데믹 코로나 시대에 체험 관광활동의 방문이 다소 제한적인 거시적 환경에서 비대면 서비스 확대를 통해서 지역의 직접적인 체험 프로그램 발굴 및 개발에 대한 인식 전환으로 국내 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 : 대화형 AI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s Intention to Adopt an Intelligent Service: Focusing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ived Necessity of Conversational A.I. Service)

  • 전소원;이지희;이종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2-264
    • /
    • 2019
  • 본 연구는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사용자들의 수용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TAM, UTAUT 기반 연구와 같은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바 있는 쾌락적 동기, 실용적 동기와 함께,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사용 안전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 이들 서비스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시대적 압박, 서비스의 혁신성과 서비스의 체험 경험 등의 요인들이 주는 직 간접적인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제시된 요인들은 A.I.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사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다양한 연구에서 제시되어 온 TAM, UTAUT모형에서 제시되어온 편의성과 쾌락적/실용적 동기가 A.I. 스피커로 대표되는 지능형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 의도에도 유의미한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에는 소수의 연구에서만 고려되었던 시대적 압박이라는 비자발적 영향 요인이 지능형 서비스를 포함한 IT융합형 서비스의 수용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보안성 인지와 지능형 서비스(A.I. 스피커)의 실제 경험 여부 또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개인적인 요인이 항공정비사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on Safety Behavior of Aircraft Maintenance Technician)

  • 윤희석;박진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4-141
    • /
    • 2021
  • As the domestic aviation industry grows, the aviation maintenance field is also growing rapidly. This change calls for more aircraft maintenance technicians, and interest in safety accidents is also increasing. Individual safety climate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afety in the organization. We expect that three individual factors (training effectiveness, procedure effectiveness, and work pressure) relate to safety behavior in the workplace via individual safety climat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factors and aircraft maintenance technician's safety behavio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individual factors were examined for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Hypothesis was verified by effected data from 305 samples were employed for final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 factors were meaningful factors to effect perceived safety behavior, and safety knowledge & safety motivation were related to safety compliance & safety participation.

민간경비원의 여가동기와 스포츠 참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Motivation of Private Guards and Sports Participation)

  • 안황권;김평수;김찬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7-281
    • /
    • 2007
  • 지난 20세기까지 인류는 자유를 추구하였다면, 21세기의 최고 추구가치는 안전일 것이다. 경제의 성장과 개인생활의 향상은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양산해 내고, 이러한 사회적 문제는 치안공백을 형성함으로써 민간경비가 대두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과 스포츠 참가를 통한 민간경비원들의 여가활동 및 필요한 정책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스쿠버다이버의 안전지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Safety knowledge of Scuba divers)

  • 강경순;엄동춘;백홍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03-4410
    • /
    • 2011
  • 스쿠버다이버의 다이빙응급과 관련된 안전지식 수준과 안전지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스쿠버다이버 179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7일부터 2011년 6월 17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ASW Stastistics 18.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스쿠버다이버의 다이빙응급과 관련된 안전지식은 2.07(${\pm}0.54$)점(점수 범위는 1점~4점)이었으며, 추위대처에 대한 안전지식($2.42{\pm}0.64$점)점수가 가장 높고, 상승 시 폐의 과팽창에 대한 안전지식($1.83{\pm}0.70$점)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변수선택 후 회귀모형에 대한 수정된 $R^2$ 값이 0.567로 회귀모형이 56.7%로 적합하며, 안전지식은 연령(${\leqq}29$세), 스쿠버다이빙 참여기간(${\leqq}11$개월)과 참여빈도(1회/월), 장비(모두구입, 일부대여) 및 동기(취업) 등이 안전지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p<.001). 결론적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운영 관리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건설 근로자의 개인특성 및 안전행동 간의 경로모형 구축 (Developing the Path Model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Behaviors)

  • 진형성;이동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9-180
    • /
    • 2013
  • 본 논문은 건설현장에서 사고의 주체인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과 안전행동에 대한 인과관계 규명 및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개인적 특성 관련 변인들을 선출하고 '개인적 특성-안전행동'에 대한 이론 모형을 구안하였다. 모형 검증을 위해 대구 경북 건설현장의 근로자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고,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직 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와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성격 중 '성실성'과 '개방성 및 외향성'이 안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스트레스반응', '안전동기', '안전지식'을 매개로 안전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요양노인의 복지용구 이용만족도 비교와 개선방안 (Improvement measures for Satisfaction of Utilization and its' Comparison of Assistive Products in Long-term care Elderly)

  • 김수봉;남상권;심옥수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5-13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급여로 제공하고 있는 복지용구 이용만족도를 비교해 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재가에서 복지용구 급여를 수급하고 있는 전국 노인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복지용구의 만족도 수준을 보면, 사용의 편리성이 3.43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기능성 및 효과성 3.33점, 안전성 및 견고성 3.29점, 성능대비 비용적절성 2.69점 순이었다. 한편, 4개 영역을 총화한 이용만족도는 3.19점이었다. 복지용구 이용만족도는 사용동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선택요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용구 이용만족도 개선을 위해서는 복지용구 전문가의 상담 기능을 강화하고, 복지용구 이용 활성화를 위해 급여수준 및 범위를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복지용구별 합리적인 척도 개발과 평가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