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동지역

검색결과 461건 처리시간 0.03초

부식속도에 대한 참조 표준 작성을 위한 수환경에 따른 각종 금속의 부식특성 평가 - I. 안동지역 (Evaluation of Corrosion Properties of Several Metals in Waters for Reference Standard on Corrosion Rate - I. Andong Area)

  • 심규태;권용혁;김영식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238-242
    • /
    • 2009
  •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s occurs by the reaction with corrosive environment. In general, corrosive environments are classified as atmospheric, marine, soil etc. and regardless of any corrosive environments, reduction of thickness and cracking and degradation are induced by corrosion. Among several corrosive environments, knowing the atmospheric corrosiveness of a region, city, or country is considered of ultimate importance for major industrialists and investors who require knowledge of the corrosive impact of the atmosphere on everyday materials such as carbon steel, weathering steel, zinc, copper, and aluminium. This is why the atmospheric corrosiveness map is needed. This paper dealt with corrosion properties between several waters in the region and carbon steel, weathering steel, galvanized steel, pure copper, and pure aluminium at the representative rural area of Korea - Andong.

여성의 구술에 기반한 안동지역 종택의 부부생활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Life Space of the Head Family Housing in Andong based on Women's Oral Life History)

  • 강미선;이예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2호
    • /
    • pp.123-13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ce of upper class housing in Andong through the oral life history of women in terms of sexual life. Even though the living was centered on women, the women of Joseon were alienated from the history. For this reason, the life history of head family housing was not recorded in the language of women, and often passed on orally. Also sexual life is a important part in daily life, but it is hard to be recorded or mentioned in Confucian society, and there is not much space research related to sexual life. Now there is not a lot of head family housing left,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tell the life history which is not recorded and the storyteller is also decreasing. From now on, I will record what I have experienced or passed through interviews of the residents living in head family housing and the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xual life.

동적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한 지역 실업률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Regional Unemployment Rate Using Dynamic Spatial Panel Model)

  • 김소연;류수열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277-288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local unemployment rate in Korea using panel data from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from 2000 to 2018.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use a dynamic spatial panel model that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unemployment rate such as the common factors effect, spatial dependence, and serial correlations. Findings - The local unemployment rate is affected by the past and present values of the national unemployment rate. And i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ast local unemployment rate and the past neighboring unemployment rate because spatial dependence and serial correlations are clearly present. In addition, when the industrial structure diversity and labor productivity were high, the regional unemployment rate decreased, and when the education level was high, the regional unemployment rate increased.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order to reduce regional unemployment rate, it is necessary to plan and establish regional customized industrial structure policies under the stance of diversification rather than specializing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accompany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with the number of year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edistribution of labor from low labor productivity sectors to high labor productivity sectors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will help to reduce the local unemployment rate.

지역 합계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횡단면 의존성을 고려한 모형을 이용하여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egional Total Fertility Rate: Using a Model Considering Cross-sectional Dependence)

  • 김소연;류수열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335-352
    • /
    • 2024
  • Purpose - Low fertility rate is a serious problem, and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total fertility rate using panel data from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rom 2000 to 2022. Design/methodology/approach - Estimating the SAR model considering the weak cross-sectional dependence that exists in variables related to the regional total fertility rate, and using the DKSE estimation method considering the strong cross-sectional dependence. Findings - Estimation results considering weak and strong cross-sectional dependence were similar, confirming the robustness of the results.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has a positive effect on total fertility rate, and employment rate has no effect. However, the interaction term is a negative (-) sign. Crude marriage rate has a positive effect on total fertility rate, and apartment price has a slightly positive effect. Environmental factor has no effect, and policy factor has a negative effec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order for an increase in the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to lead to an increas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qualitative improvements in female employment must be made. Financial investment policies for childbirth must increase their effectiveness.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rate requires not only population policy but also social, economic, cultural, environmental, and policy conditions to be considered.

상하류 지형특성을 고려한 기반 GIS 토사유실 평가 (The estim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considering up- and down-stream topographic characteristics)

  • 이근상;박진혁;황의호;고덕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3-3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와 GIS 기술을 이용하여 지형특성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토양보존계획 및 관리를 위해 검토되어야 할 토사유실 원인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학적으로 인접되어 있지만 저수지의 탁도에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안동과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였다. 각 유역에 대한 효과적인 토양보존계획 및 관리를 위해서는 강우발생에 따른 토사유실의 전반적인 거동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토양보존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각 유역을 구성하고 있는 소유역별 토사유실 잠재성을 심도 있게 분석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와 임하호 유역을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하여 토양침식인자, 지형인자, 식생피복인자 그리고 토사유실량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제시된 접근방법은 토양보존계획을 위해 검토되고 관리되어야 할 우선지역 선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 할 것이다.

  • PDF

습해지역에서 식방풍과 지황의 생육양상 (Field Survey of Moisture Injury in Peucedanum japonicum Thunberct and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 박상구;강동균;정상환;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2-166
    • /
    • 1999
  • 1998년 $6{\sim}9$월의 강수량이 1,042mm, 강수일수가 60일이나 되어 배수조건이 나쁜 포장의 밭작물에 습해가 심하게 발생되었던 안동지역에서 습해정도에 따른 식방풍과 지황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농가포장에서 조사하였다. 식방풍은 습해가 심할수륵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육장해가 더 심하였으며, 주근의 신장생장이 비대생장보다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습해 정도별로 ha당 생근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21{\sim}80%$ 감소되었다. 지황은 습해 정도별로 고사주율이 52%였으며, 습해에 의하여 근경의 형성 및 발육이 장해를 받아 습해가 심할수록 주당 근경수와 근경의 직경이 크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습해가 심할수록 상품성이 높은 근경의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습해 정도별로 ha당 근경의 생체수량은 정상생육에 비하여 $19{\sim}83%$감소되었다.

  • PDF

안동문화권 ㅁ자형 뜰집 평면구성의 지역적 특성 (The Regional Characteristic of ㅁ Shape TtulJip Plan around AnDong Cultural Area)

  • 신치후;김성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5호
    • /
    • pp.7-23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ar composition of rectangular formation houses in 8 areas, both cities and counties, in the sphere of Andong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houses in each region. This study of the rectangular formation of hou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will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trends of housing in Andong cultural area.. In this study, the subject houses are composed of three parts: Bonchae, Anchae, and Sarangchae, and the author classified the planar types of the houses. The differences in the regional planar types were analyzed through visual and statistical methods. The analyzed results reveal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ctangular formation houses in terms of their planar aspects in the Andong region. The distribution showed the greatest preference toward one type out of two types of distribution of Bonchae, Anchae, and Sarangchae. The ratio for the higher distribution was approximately 70%, whereas the ratio for the lower distribution was around 20%. For convenience, the type with a higher distribution rate is referred to as the "major type," and the type with a lower distribution rate is termed the "minor type." The complete-type houses (73%) in Bonchae were a major type there, and the symmetric-type houses (73%) in Anchae were the major type in that location. In addition, the corner-type houses (72%) in Sarangchae were the major type.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ajor types and minor types in the 8 regional cities and counties, regional differences were noted. The three regional groups can be divided into A, B, and C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ratio. Andong, Bonghwa, and Yecheon belong to region A. that shows a variety of distribution types and a dispersive trend. Yeongyang and Yeongdeok belong to region C that shows a simplified trend.Yeongju and Cheongsong belong to region B.

GIS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토양손실 위험성 평가 (Assessment of Soil Loss Risk based on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 정원준;권용성;지운;여운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4-338
    • /
    • 2011
  • 일반적으로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손실은 붕괴사면과 표면침식, 토사류 붕괴에 의한 운반, 하상의 침식등 자연적인 요인과 도로건설, 산림의 벌채, 단지개발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토양손실의 발생은 농업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목초지를 손상시키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홍수위 상승, 저수지의 저수용량 감소, 고탁수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토양손실 발생의 위험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적절한 관리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전체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토양손실 발생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중 도시화나 농경지 확장 등 인간의 인위적인 개발로 인해 쉽게 변경될 수 있는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토지이용도를 구성하고 있는 총 8가지의 토지이용항목 중 다른 항목들에 비해 분포면적이 매우 작은 녹지, 습지, 나지를 제외한 5가지의 항목(시가화, 논, 밭, 산림, 수역)의 분포면적을 통해 토지 이용특성에 따른 유사발생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유역별 유사발생 위험순위를 평가하였다. 유사발생 위험순위 평가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표준유역들로 구성되어있는 중권역은 내성천, 위천합류점, 합천댐유역, 안동댐유역으로 모두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내성천유역, 위천합류점 유역, 합천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표준유역의 절반 이상이 높은 순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소수의 표준유역이 유역내 최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 PDF

배추좀나방의 계절적 발생과 월동집단의 유전적 분화 감소 (Decrease in Genetic Variation of Overwintering Populations of the Diamondback Moth during Seasonal Occurrence)

  • 김은성;박아름;박영진;김주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03-310
    • /
    • 2015
  •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은 시설재배지를 중심으로 국내 자연 상태에서 월동한다. 안동지역에서 이른 봄부터 배추좀나방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의 성충 발생 시기를 주기적으로 조사한 결과 연중 4 회의 성충 발생 피크를 보였다. 월동 집단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지역 집단 간 생물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내한성, 약제감수성 및 발육속도에서 뚜렷한 집단 특성을 나타냈다. 분자마커로 집단변이를 분석한 결과 월동세대의 높은 집단변이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배추좀나방의 국내 월동 집단 사이의 생물적 특성 차이를 나타냈고, 이들의 높은 유전적 분화는 계절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여 이들 집단 사이의 개체들의 이동에 따른 유전적 교환이 이뤄졌다는 것을 제시했다.

2014-2015년 국내 콩 들불병 발생 상황 (Incidence of Wildfire Disease on Soybean of Korea during 2014-2015)

  • 강인정;김승한;심형권;서민정;신동범;노재환;허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2016
  • 들불병은 콩의 주요 세균병 중 하나로 국내 콩 주요 재배지에서 꾸준히 발생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발생 정도에 대한 보고가 없었다. 국내 콩 주요 재배지에서 들불병 발병 정도를 2014년과 2015년 2년간 조사하였다. 2014년 전국 조사에서는 조사한 30지역 중 19지역(수원, 영월, 괴산, 단양, 태안, 공주, 부여, 김제, 순창, 고창, 무안, 장흥, 안동, 청도, 칠곡, 경주, 예천, 영천, 합천)에서 들불병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2015년 전국 조사에서는 조사한 28지역 중 9지역(수원, 영월, 평창, 인제, 괴산, 단양, 충주, 무안, 안동)에서 들불병 발생을 확인하였다. 재배되고 있는 품종, 지역, 기후 조건에 따라 들불병 발병 차이가 났다. 서리태는 2014년과 2015년 모두 감수성을 보였으며 강수량이 많았던 2014년에 들불병의 발생이 2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들블병균이 잠재해 있으며 비슷한 온도에서는 강수량이 들불병의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