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성

검색결과 2,971건 처리시간 0.032초

악성 안드로이드 앱 탐지를 위한 개선된 특성 선택 모델 (Advanced Feature Selection Method on Android Malware Detection by Machine Learning)

  • 부주훈;이경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357-367
    • /
    • 2020
  • 2018년 시만텍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변종 악성 앱은 전년도 대비 54% 증가하였고, 매일 24,000개의 악성 앱이 차단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존 악성 앱 분석 기술의 사용 한계를 파악하고, 신·변종 악성 앱을 탐지하기 위하여 기계학습을 통한 악성 앱 탐지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계학습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악성 앱의 특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학습하지 못하면 올바른 결과를 보일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신·변종 악성 앱의 특성을 찾아낼 수 있도록 개선된 특성 선택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 모델의 정확도를 최고 98%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를 통하여 정밀도, 재현율 등 특정 지표의 향상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악성코드 실행과 은닉을 위한 다중 압축 연구 (A Study of Multiple Compression for Malicious Code Execution and Concealment)

  • 이정훈;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9-302
    • /
    • 2010
  • 최근의 악성코드는 백신에 쉽게 탐지 되지 않기 위해 바이러스를 압축파일로 변조시켜 악성코드 패턴을 지연하는 추세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수많은 백신엔진 중에서는 압축파일로 변조된 악성코드 패턴 및 검사가 가능한지 알아 봐야한다. 본 논문은 다중 압축 파일로 위장 변조된 은닉된 악성코드의 패턴을 검사하여 검출되는지를 검사 엔진을 통해 모의실험을 한다. 은닉된 악성코드의 행위를 분석하며, 호스트 파일 변조와 시스템 드라이버 파일 감염 및 레지스트리 등록이 되는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은닉형 악성코드의 검사와 백신 치료 효과를 강화시켜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를 감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

시계가 가속된 가상머신을 이용한 악성코드 인큐베이터 (Malware farm using accelerated virtual machines)

  • 서희원;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230-232
    • /
    • 2012
  • 악성코드인지의 가부가 나지 않은 실행 파일이 언제, 어떻게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과 수집을 위해 분석가들은 악성코드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으로 조성된 PC를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수집, 분석을 해왔다.이러한 PC를 악성코드의 인큐베이터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러한 PC를 두는 것은 시간 등에 큰 제약을 받게 되며, 분석이 쉬운 환경이 아니다. 이러한 환경 개선을 위해서 앞선 분석가들은 샌드박스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고자 했다. 하지만 샌드박스 형태의 도구는 굉장히 제한적인 기능만을 제공하고 악성코드의 가부가 결정된 실행 파일에게만 적용시킬 수 있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 후 제안된 방법은 실제 PC와 근접한 수준의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PC이다. 이러한 가상 PC는 분석자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였으나 시간적인 부분에서 가지는 제한점은 기존과 동일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PC 분석 환경에서 시계를 가속하여 이러한 시간적인 부분에 대해 분석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적용할 경우 특정 시기 혹은 특정 시간 뒤에 동작하는 악성 코드의 활동시기와 조건을 가속한 시간만큼 단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PC를 감염시킨 뒤에 48시간이 지난 뒤에 공격 활동을 시작하는 악성코드가 시계를 2배로 가속하는 가상머신이라면 24시간 뒤에 행위를 탐지할 수 있다.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특성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Malicious Web Site)

  • 김홍석;김인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93-103
    • /
    • 2019
  • 최근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 기반의 웹사이트를 통한 랜섬웨어 악성코드 유포로 인해 웹사이트 서비스 마비, 일반 이용자 PC 파일 손상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악성코드 경유지 및 유포지 사이트의 현황과 추이 파악을 통해 악성코드 유포의 공격 대상 웹사이트 업종, 유포 시간, 악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종류, 유포되는 악성 코드 유형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는 것은 공격자의 공격활동을 예측하고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343만개의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악성코드 유포여부를 점검하여 탐지된 악성코드 경유지 사이트, 익스플로잇 사이트, 악성코드 유포지 사이트별로 어떠한 특징들이 나타나는지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악성코드 이미지 분류를 위한 CNN 모델 성능 비교 (Comparison Study of the Performance of CNN Models for malicious code image classification)

  • 강채희;오은비;이승언;이현경;김성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2-435
    • /
    • 2022
  • 최근 IT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사용자들을 위협하는 악성코드, 피싱, 랜섬웨어와 같은 사이버 공격 또한 계속해서 발전하고 더 지능화되고 있으며 변종 악성코드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시그니처 패턴 기반의 탐지법으로는 이러한 방대한 양의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를 탐지할 수 없다. 따라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활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NN 모델 중 낮은 인식 오류율을 지닌 모델을 선정하여 정확도(Accuracy)와 F1-score 평가 지표를 통해 비교하고자 한다. 두 가지의 악성코드 이미지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015 년 이후 ILSVRC 에서 우승을 차지한 모델들과, 추가로 2019 년에 발표된 EfficientNet 을 사용하여 악성코드 이미지를 분류하였다. 그 결과 2 바이트를 한 쌍의 좌표로 변환하여 생성한 256 * 256 크기의 악성코드 이미지를 ResNet-152 모델을 이용해 분류하는 것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HTTP Outbound Traffic을 이용한 개선된 악성코드 탐지 기법 (An Improved Detecting Scheme of Malicious Codes using HTTP Outbound Traffic)

  • 최병하;조경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7-54
    • /
    • 2009
  • 웹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는 다양한 해킹 기법과 혼합되어 진화되고 있지만, 이의 탐지 기법은 해킹 기술의 발전과 신종 악성코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와 이의 유포 특성의 분석에 따라 탐지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HTTP Outbound Traffic을 감시하여 악성코드의 유포를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개선된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것으로 입증된 HTML 태그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시그니쳐로 IDS에 설정한다. 실제 침입된 환경에서의 검증 분석을 통해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요구 사항의 만족에 우수하고 악성코드에 대한 높은 탐지율을 보임을 제시한다.

웹에 숨겨진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에서 악성코드 전파 핵심노드를 찾는 방안 (A Method to Find the Core Node Engaged in Malware Propagation in the Malware Distribution Network Hidden in the Web)

  • 김성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10
    • /
    • 2023
  • 웹에 존재하는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에는 악성코드 배포를 위해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중심 노드가 있다. 이노드를 찾아 차단하면 악성코드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위험 분석이 적용된 centrality 검색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 방식을 통해 악성코드 배포 네트워크 내에서 핵심노드를 찾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 외에, 정상 네트워크와 악성 네트워트는 in-degree와 out-degree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고, 네트워크 레이아웃 측면에서도 서로 다르다. 이 특징을 통해 우리는 악성과 정상 네트워크를 분별할 수 있다.

지능형 악성코드 분석을 위한 리얼머신 기반의 바이너리 자동실행 환경 (Automatic Binary Execution Environment based on Real-machines for Intelligent Malware Analysis)

  • 조호묵;윤관식;최상용;김용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39-144
    • /
    • 2016
  • 최근 악성코드를 이용한 위협은 사이버 상에서 가장 위협적이고 점차 지능화되고 있다. 하지만 안티 바이러스 제품이나 기존의 탐지 솔루션은 복잡해지고 정교해지는 악성코드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석 환경 회피 기술을 갖는 악성코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식별하기 위해 실제 컴퓨터 환경을 기반으로 악성코드의 동작 및 상태를 감지하고 악성코드의 요구사항을 동적으로 핸들링하는 환경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리얼머신 기반의 바이너리 자동실행 환경과 가상머신 환경에서의 악성코드 악성행위 활동성을 비교하여 지능형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동적 분석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실험하여 보였다.

적층 콘볼루션 오토엔코더를 활용한 악성코드 탐지 기법 (Technique for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Stacked Convolution AutoEncoder)

  • 최현웅;허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9-44
    • /
    • 2020
  • 악성코드는 탐지 프로그램을 피해 기기들에게 피해를 유발한다. 기존의 악성코드 탐지 기법으로 이러한 새로운 악성코드를 탐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서명 기반의 탐지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기법은 기존 악성코드들은 효과적으로 탐지하지만, 새로운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탐지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휴리스틱 기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에 대해 소개하여 새로운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에 대해서 제안한다. 또한, 악성코드를 탐지한다는 것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파일의 개수는 무수히 많으므로, 지도학습 방식(Supervisor Learning)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준지도 학습으로 알려진 SCAE(Stacked Convolution AutoEncoder)를 활용한다, 파일들의 바이트 정보들을 추출하여, 이미지화를 진행하고, 이 이미지들을 학습을 시켜, 학습 시키지 않은 10,869개의 악성코드, 3,442개의 비악성코드를 모델에 추론한 결과 정확도를 98.84%을 달성하였다.

Mepelyzer : 서버 기반 다형상 모바일 앱에 대한 메소드 및 퍼미션 유사도 기반 악성앱 판별 (Mepelyzer : Malicious App Identification Mechanism based on Method & Permission Similarity Analysis of Server-Side Polymorphic Mobile Apps)

  • 이한성;이형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9-61
    • /
    • 2017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배포되면서 편리함과 유용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악성 모바일 애플리케이션(Malicious Mobile Application) 또한 급증하고 있어 스마트폰 사용자도 모르게 단말 내 중요 정보 등이 외부로 유출되고 있다. 악성앱 검출을 위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대상으로 다양한 모바일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최근에 발견된 서버 기반 다형상 모바일 악성앱인 경우 은닉 우회 기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C&C 서버 기반 다형상 생성기에 의해서 각 사용자 단말에 매번 조금씩 다른 형태의 악성앱이 생성 및 설치되기 때문에 기존 모바일 백신에 손쉽게 검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서버 기반 다형상 모바일 악성앱에 대한 APK 역컴파일 과정을 통해 핵심 악성 코드를 구성하는 DEX 파일내 메소드에 대한 유사도와 접근권한 유사도 측정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SSP 악성앱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DEX 메소드 유사도와 퍼미션 유사도 분석 결과 SSP 악성앱에 대한 동작 방식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정상앱과 구별 가능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