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악간공간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골격성 II급 성인 부정교합자에서 혀와 두개안면골격 및 악간공간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tongue with skeletal pattern and intermaxillary space in Class II malocclusion adult patients)

  • 강현희;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5-587
    • /
    • 1999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 중 성장이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는 만 18세 이상의 여자 37명, 만 20세 이상의 남자 23명을 선정하여 정상 성인의 안면비를 기준으로 hyperdivergent group(n=30)과 hypodivergent group(n=30)으로 나누어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였으며 두개안면골격 및 혀의 크기, 높이 그리고 자세를 나타내는 항목을 계측하였고, 두 군간의 차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및 혀와 두개안면골격 그리고 악간공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군의 혀와 악간공간의 계측항목 비교시 악간공간에 대한 혀의 면적비(TS/IS)는 hyperdivergent group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PIH(posterior intermaxillary height)와 IS(intermaxillary space)는 hypodivergent group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나 혀의 높이와 자세를 나타내는 항목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혀와 두개안면골격의 상관관계 비교시 두 군 모두에서 혀의 면적(TS), 길이(TGL) 그리고 높이(TH)를 나타내는 계측항목이 전안모고경 (AFH)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hypodivergent group에서는 후안모고경(PFH)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3. 혀와 악간공간의 상관관계 비교시 두 군 모두 혀에 관한 대부분의 항목(H-P제외)이 악간공간(IS)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혀의 높이 (TGH)와 면적 (TS)을 나타내는 항목은 악간공간의 AIH 및 PI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 PDF

맹출 지연 장애환자의 고정성 보철치료 (Fixed prosthetic treatment for the patient with delayed eruption disorder)

  • 이수연;김희중;강성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27-134
    • /
    • 2017
  • 전신적 혹은 국소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치아맹출지연은 대부분 소아기에 발견되어 교정적 정출을 이용한 치료를 진행한다. 하지만 소아기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성인기로 될 경우, 교정에 의한 치아이동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철수복으로 치료를 변경할 수 있다. 보철계획을 결정하기 전 고려사항으로는 치아상실이 나타난 범위, 치아사이 근원심공간 및 악간공간, 환자의 연령대 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상하악 구치부 맹출지연환자를 지르코니아 부분 고정성 보철물을 통해 구강회복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혀와 악간공간(INTERMAXILLARY SPACE)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F THE TONGUE AND THE INTERMAXILLARY SPACE)

  • 강흥석;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33-239
    • /
    • 1984
  • The author studied on the tongue position, tongue space and intermaxillary space at 4 groups; normal occlusion 30 cases, Angle's Class I bimaxillary protrusion 29 cases,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26 cases,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26 case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cephalometric films of female subject aged from 16 to 23 year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Dorsal height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was greater than normal occlusion. 2. Anterior Intermaxillary Height in Angle's Class I bimaxillary protrusion and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was greater than normal occlusion. 3. Tongue space in Angle's Class I bimaxillary protrusion was greater than normal occlusion. 4. The ratio of the tongue space to the intermaxillary space (T.S./I.S.) in Angle's Class II malocclusion was greater and the ratio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is lesser than normal occlusion.

  • PDF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진단기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fabricating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for skeletal class II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이연이;홍성진;백장현;노관태;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64-373
    • /
    • 2019
  • 2급 악간관계를 갖는 환자는 1급 악간관계인 환자와는 달리 불안정한 교합을 가질 수 있으며, 무치악인 경우 총의치를 사용할 때 불안정한 교합을 보이면서 의치의 움직임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함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 치에서 attachment 종류는 크게 bar type과 solitary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 적응증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용을 달리 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2급 악간관계를 가진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계획함에 있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더 적합한 attachment를 선택하고 임플란트의 위치 및 깊이를 미리 계획하여 계획한 위치에 식립하였다. 상악은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지지 텔레스코프 피개의치 (Mandibular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 using Gold Electroforming System : A Case Report)

  • 최지하;김승균;유병일;안승근;박주미;송광엽;박찬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1
    • /
    • 2008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수복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후 피개의치의 제작은 첫 번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텔레스코프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인공치 및 유지 장치의 배열을 위한 악간 공간이 필요하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passive한 fit은 보철물의 기계적 실패를 막는 중요한 요소이다.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한 telescopic attachment는 우수한 마진 적합도 및 passive한 fit을 보이며 얇은 코핑 두께로 인하여 좁은 악간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 식립 후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하여 telescopic overdenture를 제작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심한 골 흡수와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Piezography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of fully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 bone resorption and class II jaw relation using piezography)

  • 권우일;송영균;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45-450
    • /
    • 2016
  • Piezography는 발음을 이용하여 채득된 보철 공간을 의미하며, 의치의 인공치와 연마면의 위치를 결정하는 참고점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증례 대상은 67세 여성환자로, 새 의치 제작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존 의치에서 2급 악간관계와 불량한 유지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정적인 의치를 위해 piezography와 설측교합을 이용하기로 하였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상 채득 후 주모형 상에서 상하악 기초상과 왁스 교합제를 제작하였고, 별도로 piezography를 위하여 하악에 추가적인 기초상을 하나 더 제작하였다. 이 추가 기초상에 실리콘 인상재를 적용 한 뒤 '시', '소', '메', '테', '데', '무' 여섯개의 발음으로 piezography를 채득하였다. 하악 인공치를 이 보철공간에 맞추어 배열한 뒤, 형태를 수정하여 설측 교합을 부여하였다. 그 결과, 환자는 새로운 의치에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하였다.

Class III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의 전악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class III patient with disharmonious occlusal plane: A case report)

  • 김하영;백장현;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1-457
    • /
    • 2016
  • 보철 치료계획 결정과정은 임상정보에 대한 치과의사의 분석과 환자와의 상호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치아의 상실이나 치관부 결손으로 인해 발생한 공간으로 반대악 치아가 정출된 경우, 구강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있어 적절한 치료방법 선택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치아의 정출로 인한 교합평면의 심한 부조화가 나타난 경우,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며, 필요 시 교합평면을 재설정 해야 한다. 본 증례는 심한 정출에 의한 불균일한 교합평면과 class III 악간관계로 인한 비심미성 및 저작불편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체계적인 진단과정을 통한 치료계획의 수립으로 교합평면 재설정을 통한 전악수복으로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심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고경 증가를 동반한 하악 편악 수복 증례 (Mandibular full-arch rehabilitation with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a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 김현진;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3호
    • /
    • pp.162-170
    • /
    • 2022
  • 심한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의 경우 수직 교합고경 상실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적절한 수직 교합고경을 설정하여 환자의 악간 관계를 안정적으로 회복시켜야 한다. 환자는 77세 여성으로, 아래 앞니가 아프고 어금니가 없어서 불편하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초진 시 전반적인 치아 마모가 관찰되었으며, 하악 전치의 치아 마모로 인한 치수의 병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진단 및 평가 후 교합고경의 상실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보철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 부족이 확인되었다. 수직 거상을 동반한 하악 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임플란트 연결부의 개념과 적용: Part 2. 안착형 외부 및 내부 연결형 임플란트의 식립과 보철 (Concept and application of implant connection systems: Part II. Placement and restoration of external connection implant and tissue level implant)

  • 고경호;강현구;허윤혁;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4호
    • /
    • pp.222-231
    • /
    • 2020
  • 안착형 외부 연결 임플란트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립 시에 임플란트 간의 간격에 주의해야 하며 2차 수술 시에 임플란트 상부로 올라간 골을 다듬어야 한다. 육각형태를 가진 지대주가 원형 지대주에 비해 유용하다. 외부 연결형 임플란트는 악간간격이 제한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안착형 외부연결(조직수준) 임플란트는 상부 직경의 두께로 인한 생역학적 장점과 내재된 점막관통부로 인한 생물학적 장점을 가지고 있다. 조직수준 임플란트를 수복할 때 지대주 수준과 임플란트 수준의 변연 중 악간공간에 따라 선택한다. 어떤 한 가지 임플란트 종류로는 모든 증례를 만족시키기 어려우므로 교합력 및 골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임플란트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Surface Sediment Grain Size of Nakdong River Deltaic Barrier Islands)

  • 김성환;류호상;신영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53
    • /
    • 2007
  • 삼각주연안 사주섬과 주변의 간석지로 이루어진 낙동강 하류지역의 삼각주 해안은 사주섬을 중심으로 지형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퇴적환경의 특성은 삼각주연안 사주섬의 형태변화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는 측면에서 삼각주연안 사주섬 지형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현재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해안을 형성하고 있는 진우도와 신자도, 도요등의 입도분석 결과, 평균입도의 분포는 외해 쪽에서 내륙 쪽 방향으로 조립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조류의 이동이 진행되는 조수통로 부근에서 조립질이 분포하였다. 분급의 분포는 세 사주섬에서 양호한 분급을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 표층퇴적뭍의 왜도는 대체로 조립질 쪽으로 악간 치우친 음성 왜도가 주로 나타나지만 세립질 쪽으로 악간 치우친 양성 왜도의 경우도 조수통로 부근에서 분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사주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변화를 관련하여 살펴보면 지형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조립질 퇴적물과 양호한 분급도, 음성 왜도와 부분적으로 약한 양성 왜도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고 규칙적인 에너지가 도달하고 있으며 이동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조립질 퇴적물이 선별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