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Surface Sediment Grain Size of Nakdong River Deltaic Barrier Islands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

  • Kim, Sung-Hwan (Ecosystem Survey Team,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Rhew, Ho-Sahng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ung-Ho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성환 (국립환경과학원 생태조사단) ;
  • 류호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신영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Rapid geomorphic changes occur in Nakdong River deltaic coast which is composed of deltaic barrier islands and tidal flats. We investigate the pattern of these rapid geomorphic changes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s of sediment grain size characteristics. The distributions of sediment grain size characteristics analysis is a very efficient method to explain geomorphic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sediments from Jinwoo Island, Sinja Island, and Doyo Island which are composed of Nakdong River deltaic coast, mean particle size increases to onshore direction and become coarser in tidal inlets. All sediments are very well sorted. Though almost sediments show little negative skewness, several sediments from tidal inlets show negative skewness. These results provide that the stronger and more regular energies affect Nakdong River deltaic coast and make fine sediments selectively move toward tidal inlets. Because of this mechanism, the recurved spits of deltaic barrier islands enlarge.

삼각주연안 사주섬과 주변의 간석지로 이루어진 낙동강 하류지역의 삼각주 해안은 사주섬을 중심으로 지형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퇴적환경의 특성은 삼각주연안 사주섬의 형태변화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는 측면에서 삼각주연안 사주섬 지형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표층퇴적물의 입도특성과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현재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해안을 형성하고 있는 진우도와 신자도, 도요등의 입도분석 결과, 평균입도의 분포는 외해 쪽에서 내륙 쪽 방향으로 조립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조류의 이동이 진행되는 조수통로 부근에서 조립질이 분포하였다. 분급의 분포는 세 사주섬에서 양호한 분급을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지역 표층퇴적뭍의 왜도는 대체로 조립질 쪽으로 악간 치우친 음성 왜도가 주로 나타나지만 세립질 쪽으로 악간 치우친 양성 왜도의 경우도 조수통로 부근에서 분포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사주섬의 퇴적물 특성과 지형변화를 관련하여 살펴보면 지형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조립질 퇴적물과 양호한 분급도, 음성 왜도와 부분적으로 약한 양성 왜도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고 규칙적인 에너지가 도달하고 있으며 이동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조립질 퇴적물이 선별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