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종

검색결과 514건 처리시간 0.028초

무등산국립공원 담양 지구의 식물상과 생태계교란 식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in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 이종원;이수홍;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3-113
    • /
    • 2021
  •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전체 식물상 및 특기 할만한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의 유입요인 및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9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8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식물상은 107과 349속 531종 57변종 5아종 10품종 총 603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총 4,881 분류군의 약 12.33%로 나타났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에서 출현한 희귀식물은 총 15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목련, 위기종(EN)은 댕강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취약종(VU)은 개박하, 나도옥잠화, 땅나리 그리고 주목이 관찰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50과 73속 81종 3변종 1아종으로 총 85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V등급은 승마 등 3분류군, IV등급은 선주름잎, 고로쇠나무, 털조장나무 등 5분류군, III등급은 청시닥나무, 산황나무 등이 관찰되었고, 특산식물은 노각나무, 닥나무, 각시서덜취, 백운산원추리, 병꽃나무, 검팽나무, 진범 등 총 13 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 담양권역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방가지똥 등 16과 36속 45종 총 45 분류군으로 관찰되었고, 귀화율은 7.46%로 나타났으며, 도시화지수는 14.01%로 계산되었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돼지풀, 애기수영, 도깨비가지, 및 양미역취 총 4 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신선대억새평전에 생육하는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인 애기수영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특히 물리적이고 생물학적인 방제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ayasan National Park in Korea)

  • 한세희;임효선;장현도;김윤영;소순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8-288
    • /
    • 2022
  • 2016년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를 통해 가야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4회에 걸친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야산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총 118과 396속 691종 15아종 51변종 11품종 등 총 76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관속식물 중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구름병아리난초, 기생꽃, 복주머니란, 한라송이풀, 등 4분류군, 적색목록 중 관심대상(LC) 이상에 해당하는 종은 뻐국나리, 솔나리 등 총 21분류군, 한반도 고유식물은 구상나무, 가야물봉선 등 3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9분류군, IV등급15분류군, III등급38분류군, II등급 45분류군, I등급 53분류군 등 총 1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귀화식물은 총 46분류군으로 귀화율은 6.0%, 도시화지수는 14.3%로 산출되었으며, 생태계교란 생물은 가시박, 애기수영, 환삼덩굴 등 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62과 144속 184종 2아종 15변종 5품종으로 총 206분류군이 본 조사를 통하여 새롭게 확인된 것으로 집계되었다.

남한산성(경기도 광주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Namhansanseong (Gwangju-si, Gyeonggi-do) in Korea)

  • 권석우;김중현;김태성;박성애;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1-563
    • /
    • 2022
  • 본 연구는 남한산성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파악하였다.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7과 335속 513종 10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으로 총 5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17분류군, 멸종위기식물은 백부자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3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V등급에 7분류군, III등급에 12분류군, II등급에 14분류군, I등급에 29분류군이 포함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66분류군, 외래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10.7%, 도시화지수는 9.8%로 산출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66과 161속 187종3아종19변종1품종2교잡종의 총 213분류군이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서부 DMZ 일원 퇴모·혈구산(인천광역시)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Mt. Toemo·Hyeolgu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Western DMZ Area)

  • 이종원;송진헌;최영민;정재상;변경열;길희영;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31
    • /
    • 2021
  • 본 연구는 서부 DMZ 및 접경지역에 속하고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한 퇴모·혈구산(466m) 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강화군은 우리나라에서 4번째로 넓은 면적의 섬으로 알려져있고, 인천광역시 서북부 경기만의 한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석모도 등 부속섬과 서해안, 북쪽으로는 북 한의 황해도 연백시, 동쪽으로는 김포시와 강화대교와 강화초지대교가 육지로 연결되어 있다. 2019년 4 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7회에 걸쳐 계절별로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해명산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현황은 92과 257속 353속 4아종 41변종 4품종 총 40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양치식물은 6과 9속 10종 2변종 12분류군, 나자식물은 3과 4속 8종 총 8분류군, 쌍자엽식물은 74과 198속 268종 4아종 30변종 3품종 등 30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9과 46속 67종 9변종 1품종 등 77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IV급은 등 1분류군, III급은 물박달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6분 류군, II급은 갯장구채, 꼬리조팝나무 등 8분류군, I급은 야산고비, 일엽초 등 20분류군으로 파악되었 다. 희귀식물은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취약종(VU)에 속하는 산들깨와 약관심종(LC)에 속하는 쥐방울덩굴 등 총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백운산원추리 및 병꽃나무 등 4분류이 파악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애기수영 및 유럽점나무도물 등 39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생태계교란식은 가시박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주변의 신산저수지 및 고비고개에 큰 공사가 진행되고있어 침입외래식물의 개체수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생태계 보전대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한국산 말벌과의 종목록 정리 및 분포에 대한 고찰 (Checklist and Distribution of Korean Vespidae Revisited)

  • 최문보;김정규;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5-91
    • /
    • 2013
  • 한국산 말벌과에 관한 그 간의 연구는 다수의 오류를 포함하는 과거의 정보들이 동정에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여러 가지 분류학적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말벌 연구들을 최종 정리하여 호리병벌아과를 제외하고 확정된 한국산 말벌과의 종 목록과 그들의 분포정보를 정리하여 제공하였다. 총 2아과 5속 30종(3아종 포함)의 말벌류와 쌍살벌류를 한반도산으로 확정하였으며, 그 중 말벌아과는 3속 18종, 쌍살벌아과는 2속 12종이다.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연습지의 식물상 (Flora of Natural Mashes in Wondae-ri (Inje-gun, Kangwon-do))

  • 박완근;유석인;박광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50-68
    • /
    • 2000
  • 강원도 인제군 남면 원대리 자연습지를 대상으로 1999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71과 175속 228종 1아종 33변종 3품종, 총 265종류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가운데 갈대, 달뿌리풀, 삿갓사초, 골풀, 구릿대, 버드나무 등의 수생 및 관속식물은 19과 24속 31종 5변종 1품종, 총 37종류가 분포하고 있었다. 본 조사지역내 식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갈대군락, 갯버들-흰물봉선아군락, 조팝나무-사철쑥아군락으로 분류되었다.

  • PDF

한국산 전복과 6종의 치설 연구 (Comparative radula structure of six Haliotid ablones from Korea)

  • 임한규;정태혁;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9-305
    • /
    • 2015
  • 한국산 전복과 2속 2종 및 4아종 (N. gigantea, N. madaka, N. discus discus, N. discus hannai, S. diversicolor diversicolor, S. diversicolor supertexta)을 대상으로 주사전자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치설 관찰을 하였다. 그 결과 전복과 패류의 치설형은 비대칭적인 선설형 (Rhipidoglossate form)이며, 치식 (Radular formula)은 >50-5-1-5-50< 으로 중앙에 1열의 중치와 3열의 측치 그리고 50열 이상의 연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설 구조는 실험 대상종 모두 공통적인 결과로 종 또는 속 간 치설 구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각 종별 세부적인 치설 형태의 차이점은 인지되어, 이를 규명하기 위한 정밀하고 세밀한 관찰이 요구되었다.

사람과 동물 옴진드기의 형태학적 분류와 국내에서의 발생빈도 (Taxonomical approach to scabies mites of human and animals and their prevalence in Korea)

  • 이원구;조백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2호
    • /
    • pp.85-94
    • /
    • 1995
  • 지금까지 흔히 Sorcoptesscobiei(Linnaeus. 1758)의 변종으로 다루어져 왔던 옴진드 기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고자 옴환자 돼지. 개로부터 옴진드기를 분리하여 그 형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람 옴진드기와 돼지 옴진드기는 아종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며. 개 옴진드기는 종 수준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사람의 옴진드기는 Snrcoptes scabiei scabiei (Limlaeus. 1758)(사람 옴진드기). 돼지의 옴진드기는 S. scabiei suis Megnin, 1880(돼지 옴진드기)로 부르고. 개의 옴진드기는 이들과는 다른 종의 Suimptes canis Gerlach. 3857(개 옴진드기)의 종명을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나 한국에서의 옴진드기의 감염률은 1980-l981년에 가장 높아서 종합병윈 피부과 외래환자의 10%에 달해으나 최근 10년간 급속히 감소하여 현재는 1%o 미만으로 추산된다. 빈면에 개 옴진드기의 감염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PDF

물맞이게속(갑각강: 십각목: 물맞이게과) 3종의 메갈로파 유생 (Megalopal stages of three Pugettia species (Crustacea : Decapoda : Maj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고현숙;황상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4호
    • /
    • pp.261-270
    • /
    • 1997
  • 실험실에서 물맞이게 속의 3종, 뿔물맞이게(Pugettia quadridens quadridens), P. marissinica, 중간뿔물맞이게(P. quadridens intermedia)로 부터 메갈로파 유생을 얻었다. 이들 3종의 메갈로파 유생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고 이미 보고된 Epialtinae아과 다른 종의 메갈로파 유생들과 그 형태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P. marissinica는 2종, 중간뿔물맞이게 와 뿔물맞이게의 유생들과 그 특징에서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 서로 다른 종임을 알 수 있었으나, 중간뿔물맞이게 와 뿔물맞이겐느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중간뿔물맞이게를 종수준으로 간주한 Griffin과 Tranter(1986)의 제안보다 오히려 뿔물맞이게의 아종수준으로 간주한 Sakai(1938, 1976)의 제안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8. Cobitis taeni complex mtDNA의 유전적 분화와 분류학적 위치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8.Mitochondrial DNA Differentiation and Taxonomic Status of the Cobitis taenia Complex)

  • 김재흡;민미숙;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3권1호
    • /
    • pp.29-36
    • /
    • 1997
  • 한국산 기름종개속 어류중 Cobitis taenia complex의 집단간 유전적 차이에 따른 종 분화 여부를 밝히고자 6개 집단을 대상으로 mitochondrial DNA(mtDNA)의 RFLP분석을 실 시하였다. C. taenia complex mtDNA를 10개의 6-base cutting 제한효소로 처리한 다음 그 절편 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6개 집단 공히 mtDNA 의 전체 genome 크기는 약 17.0$\pm$ 0.5Kbp였으며 공동절편수(F)에서 C. t. taenia 2개집단과 C. t. stria와 C. t. lutheri 4개 집단 간의 F값은 평균 0.263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C. t. striata 와 C. t. lutheri 사이는 F=0.569로 가깝게 나타났다. 염기치환율 (p)에 있어 C. t. taenia는 C. t. striata 및 C. t. lutheri와 평균 p=0.082로 뚜렷한 종간차이를 보였으나, C. t. striata와 C. t. lutheri 집단들은 p=0.033으로 매우 가까운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MtDNA 분석결과 C. taenia complex 중 C. t. taenia는 완전히 종분화가 이루어진 별종으로, C. t. striata와 C. t. lutherisms 아직 종수준의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아종으로 분류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