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아이콘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Improving the Trasferring Efficiency of Information in the Smartphone Icons (스마트폰 아이콘의 효율적인 정보 전달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oo-Kwan;Choi Byung-Youb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59-962
    • /
    • 2004
  • 스마트폰(Smartphone)은 휴대 전화(Mobilephone) 기반에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의 장점을 합친 고기능, 다기능의 신개념 휴대 정보통신기기이며, 현재 계속하여 데이터 통신 기능은 물론 카메라, MP3 플레이어 기능 등 기존 휴대폰의 영역을 훨씬 넘어 PC의 영역에 범접하는 다양한 디지털 컨버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스마트폰 제조사예서는 기존 휴대 전화기에 비해 훨씬 많아진 정보의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크기의 액정 화면에 다양한 기능을 표시할 수밖에 없게 되었고, 그 결과 최종 사용자들은 화면 구성이 복잡한 스마트폰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스마트폰의 복잡한 기능중심 화면 표시 중에서 특히 아이콘(Icon)의 형태를 사용자 중심(User Oriented)의 아이콘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의 정략적 개선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 단계의 실험 과정을 거쳐 수행되었으며, 첫 번째 실험에서는 스마트폰의 최종 사용자들 대상으로 평면적인 아이콘과 입체적인 아이콘의 정보 전달 효율성을 비교 측정하고, 두 번째 실험에서는 아이콘과 텍스트의 결합 유무에 따른 정보 전달 효율성을 측정하여, 2 단계의 실험 과정을 통해 분석한 아이콘의 최적 형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텍스트와 그래픽의 형식이 결합된 입체적인 아이콘의 형태가 최종 사용자를 위한 정보 전달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아이콘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icons (아이콘의 표상 방식에 따른 시각정보처리)

  • Park, Jin-Han;Han, Gwang-Hui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8 no.4
    • /
    • pp.19-33
    • /
    • 1997
  • Icon is a small graphic which represents a particular function in computer interface. Comprehension and learning of icons are needed for using them because they represent some meaning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ich were more important factors in using icons. First,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icons were examined. Second, using a eyetracker, the way of coding of redundant display was examined which removed obscurity of display and gave more meaning to a user. Icons using attribute of object and direct discription of action were more efficient than icons of other representational form in comprehension. Redundant display was proved to have some advantages, especially when the icons had low familarity.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icons were discussed according to familarity and learning.

  • PDF

A Study 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con in the e-Learning contents (e-learning 콘텐츠의 아이콘 인지도에 관한 연구 - 시.도교육청 사이버 가정 학습 사이트를 중심으로 -)

  • Seo, Min-Sook;Kim, J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165-172
    • /
    • 2007
  • e-Learning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지 능력에 맞는 아이콘 설계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e-Learning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시 도 교육청 사이버 가정학습 사이트의 아이콘을 수집하여 유형별로 분석하고 초등학생들의 아이콘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의미 표현 방법상 분류에 의한 아이콘들이 고르게 높은 인지도를 나타냈고 구체적인 메타포를 이용하여 설계한 아이콘들이 인지도가 높았다. 따라서 아동들의 인지 발달에 맞는 구체적인 메타포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Icon Design in Portal Site for Children (국내 어린이 포털 사이트 아이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Ko I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63-966
    • /
    • 2004
  • 국내 인터넷 활용인구의 증가와 함께 연령층의 확대로 초등학생 인터넷 이용률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어린이들에게 인터넷은 이미 친숙한 매체이며,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아이콘은 사용자가 클릭을 통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navigator 역할로 사용자들의 행동을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린이를 주 이용 대상으로 하고 있는 어린이 포털 사이트의 경우 아이콘의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아이콘을 지각하는 어린이의 감성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어린이 포털 사이트의 아이콘을 제작함에 있어, 사이트 방문자인 어린이의 감성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아이콘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용자 접속률이 높은 세 개의 국내 어린이 포털 사이트의 아이콘 샘플을 추출하고 이를 서울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선호 이미지 형용사를 조사하였다. 이는 향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ifferences in Finding Smartphone Apps across User Types Categorized by App Icon Arrangement Style (스마트폰 사용자의 앱정리 유형에 따른 앱아이콘 탐색의 차이 연구 -아이폰 사용자 중심으로-)

  • Kang,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11
    • /
    • pp.143-155
    • /
    • 2017
  • In the mobile-first era, plenty of mobile apps have been created so that the number of apps owned in a smartphone have been increasing as well. However, users spend most of time with only a few apps and the rest of apps are just kept in their smartphones for future usage. Thus, in order to help users find the apps quickly it is important to study how users arrange apps in a mobile phone screen and find an app. In the literature, we extracted 5 user types to organize mobile apps. We further conducted user survey with 30 subjects and finalized major 3 user types categorized by relatedness(A), aesthetic(B), and external concepts(C). We found that most of subjects took less than 2 minutes when finding frequently-used-apps. However we identified difference in times taken to find a barely-used-apps across three user types; while A type users turns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finding barely-used-apps, the B type uses tend to be the least effective among three types. For the A type users, an app's name is more important than an icon image because they tend to guess the functionality from the name of the app. The B type users use the color of app icon to find the app in the smartphone. For the C type users who tend to remain the original position of an app when first downloading it in the smartphone, the visibility of an app icon is important to catch users' eyes while they scan a p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UX designers who improve the usability of app icon usage considering the user type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the most favorable ICONs and the formative factors in the GUI design - Focused on the design of the Graphic ICONs. - (사용자 선호지향 기반에 의한 GUI 아이콘 표현 유형과 조형 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그림 아이콘 디자인을 중심으로 -)

  • Tao, Yu-Jin;Chung, Sung-Whan;Hong, Jung-Pyo;Hyoung, Sung-E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4
    • /
    • pp.521-530
    • /
    • 2008
  • Graphical user interface design, the visual language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icon and the user's information is a medium that can lead to ac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icon, the user is easy to use, so any time you want to provide information effectively. Communi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on the nature of the medium must be made to develop the appropriate icon. In this research icon of the type of icon painting. A picture of the icon representation of each type of detail, according to a rating of johyeongjeok identify the elemen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On the type of representation of each of Art and Design elements that I know what I saw. The icon design based on user preferences provide guidance on the direction of design-oriented. When the data can be used to designs based on the theory has to offer.

  • PDF

Implementation of Iconic Language for the Language Support System of the Language Disorders (언어 장애인의 언어보조 시스템을 위한 아이콘 언어의 구현)

  • Choo Kyo-Nam;Woo Yo-Seob;Min Hong-Ki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4 s.107
    • /
    • pp.479-488
    • /
    • 2006
  • The iconic language interlace is designed to provide more convenient environments for communication to the target system than the keyboard-based interface. For this work, tendencies and features of vocabulary are analyzed in conversation corpora constructed from the corresponding domains with high degree of utilization, and the meaning and vocabulary system of iconic language are constructed through application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ologies such as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analyses. The part of speech and grammatical rules of iconic language are defined in order to make the situation corresponding the icon to the vocabulary and mean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to communicate through icon sequence. For linguistic ambiguity resolution which may occur in the iconic language and for effective semantic processing, semantic data focused on situation of the iconic language are constructed from the general purpose Korean semantic dictionary and subcategorization dictionary. Based on them, the Korean language generation from the iconic interface in semantic domain is suggested.

A Visual Programming Tool for Constructing Object-Oriented C++ Class (객체 지향 C++클래스 생성을 위한 시각 프로그래밍 도구)

  • Ha, Su-Che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1
    • /
    • pp.23-33
    • /
    • 1995
  • This paper describes a visual programming tool which provides novice programmer as well expert with the abilites to capture real physical world of problem domain and to manipulate it user-friendly using icons and symbols. Therefore, novice can understand object-oriented features of C++ incrementally and construct classes easily. For this, we introduce some visual metaphors which are displayed as tables. The tables can not only represent objects and classes, but also be considered themselves as icons. We have named these tables as table-icons. Three levels of table-icons(i.e., Super Table-Icons, Intermediate Table-Icons and Detailed Table-Icons) are proposed to follow up appropriate evolution of object-oriented concepts. Table-icons are not simple pictographs but are activated and expanded to table forms. And then, developer can inset necessary entities into table body and delete useless entities from it. These table-icons are applied to a diagramming technique, C++gram[18], which is suggested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C++ programs.

  • PDF

Development of Auditory Icon in Ship Bridge Alarm Management System (선교알람관리시스템의 청각아이콘 개발을 위한 연구)

  • Oh, Seung-Bin;Jang, Jun-Hyuk;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5-7
    • /
    • 2012
  • 선교에는 항해사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가 존재한다. 항해 및 통신 장비로부터 나오는 음향 신호 등 다양한 청각 신호들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청각 신호, 청각 경고음에 대한 인간의 인지능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청각 경고음은 크게 음성(speech), 함축적 소리(abstract sound), 청각 아이콘(auditory icon)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각 경고음 중 청각아이콘을 활용하여 5가지의 경보상황(엔진, 화재, 조타, 전기, 충돌)에서 청각아이콘에 대한 감성평가를 통해 각 상황에 적합한 청각아이콘을 선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선교 내 청각표시장치와 통합선교알람관리시스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con Interface for Pictorial Information Retrieval (화상정보검색을 위한 아이콘인터페이스)

  • 정상원;이두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6.08a
    • /
    • pp.27-30
    • /
    • 1996
  • 문자에의한 화상정보탐색 인터페이스는 정보로서 화상이 갖는 독특한 특성과 탐색어로서 문자가 갖는 제약점 때문에 이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못하고 있다. 이에대한 대안으로서 아이콘에의한 화상정보탐색기법을 시도하였고 아이콘인터페이스의 설계원칙과 방법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