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바타 이용자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아바타 사용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eatures by Avatar type according to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s)

  • 이경아;정봉금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70-277
    • /
    • 2007
  •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Online Community)로 관계(Relationship)를 맺고,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이 하나의 디지털문화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가상공간에서 자신을 대변할 수 있는 또 다른 나, 즉 아바타(Avatar)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른 사용자 감성의 반영으로 아바타 디자인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아바타의 근원은 분신(分身) 화신(化身)을 뜻하는 산스크리스트어 '아바따라(avataa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인터넷시대가 열리면서 3차원이나 가상현실게임 또는 웹에서의 채팅 등을 즐길 때 사용자를 대신하는 그래픽 아이콘으로 표상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자신을 대표하는 분신으로 정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매체 서비스 이용자의 아바타 사용에 따른 유형별 특성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아바타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요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인터넷 공동체 집단을 미니홈피/블로그, 채팅, 게임으로 구분하였으며, 아바타 이용자들이 이와 같은 커뮤니티를 이용할 때 어떤 목적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이 아바타를 선택할 때 어떤 유형별 특성이 나타나는가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아바타 이용자들이 자신이 표현하려는 아바타 이미지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상세계에서 표출하는 아바타 사용 목적에 맞는 유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아바타 이용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감성을 반영하는 디자인 전략을 세울 수 있다. 연구방법은 아바타의 개념과 유형분류, 그리고 미니홈피/블로그, 게임, 채팅의 이론적 논의 및 근거제시를 위한 문헌연구를 하였으며, 아바타 이용목적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질적연구(Qualitative)로서 표적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내용분석과 표현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verification)하기 위해 양적연구(Quantitative)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아바타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384명의 학생들이며, 성별 연령별에 따른 분류를 통해 각 조사대상자별 특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통해 미니홈피/블로그, 채팅, 게임의 서비스 공간에서 보여 지는 각각의 특성에 맞게 아바타 이용자들은 자신이 표현하려는 아바타의 유형에서 선호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아바타사용자의 인터넷 매체 이용목적에 따른 유형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사이트(site)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선호를 고려한 아바타 디자인 전략과 그 모델(Design model)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아바타 패션마케팅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연구

  • 장승희;이선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9-69
    • /
    • 2004
  • 최근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와 인터넷 활성화에 따라 새로운 인터넷 컨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새롭게 제시된 온라인 수익모델로 아바타 서비스가 활발히 제공되면서, 인터넷 이용자와 닷컴 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략)

  • PDF

온라인 카드게임 아바타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n-line card game Avatar)

  • 이미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33-142
    • /
    • 2005
  • 최근 온라인상의 사용자는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난 이미지와 감각을 선호하며 즉각적이고 상호 교환적인 형태를 요구한다. 온라인 상에서 시각적으로 자신을 알릴 수 있는 또 하나의 명함인 아바타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1차적 형태의 아바타가 아닌 사용에 맞는 다양한 아바타 개발이 요구되는 것이 이러한 이유 일 것이다. 게임포털사이트 중 최근 가장 많은 인기를 끄는 포커, 고스톱 류의 온라인 카드 게임 아바타는 일반 커뮤니티 사이트의 아바타와 별반 다르게 사용되어 있지 않아 감성적이고 다양성을 요구하는 사용자를 만족시켜주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온라인 카드게임에 적합한 아바타의 활용형태를 제시하기 위해 먼저 기존 게임포털사이트에 나타난 카드게임 아바타 서비스와 이용자의 특성과 욕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들의 카드 게임 아바타 인지도, 디자인선호도를 읽어냄으로써 이용자욕구에 충실한 서비스 안을 가이드라인 하고자 하였다.

  • PDF

아바타의 의복이미지 (The Clothing Image of Avatar)

  • 하오선;신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0-56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age condition of avatar, the clothing images of avatars, and the difference of self images among avatar user groups which were clustered by the clothing image of using avatar. Avatars were decorated not only to get personal satisfaction and joyfulness but also to realize the desire of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The clothing images of avatars were classified into 7 factors, which were labeled as cute, mature, sexy, old-fashion, unisex. and unique 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 images among 3 avatar user groups which were clustered by 7 factors of clothing images. The result indicated that avatar users pursued various clothing images for their avatar,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 were existed between avatar's images and user's self images and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find out significant variables which determined avatar's clothing images.

아바타 이미지에 따른 아바타 이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아바타 이용현황, 신체존중감, 그리고 자기존중감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Avatar Users according to Avatar Image -Focus on utilization state, body-esteem and self-esteem-)

  • 허태정;황선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8-65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vatar image and self-concept of avatar users by utiliz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 method. The subjec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were Freechal Avatar Club members, while those of the survey were 476 students, who attended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colleges at Seoul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main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cus group interview revealed that avatar image types, which avatar users made use of, were ideal image, real image and fantastic image. Second, based on the avatar image type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earcher made out avatar image question items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of the question items: The avatar users pursued ideal image, real image and fantastic image. The avatar users groups were classified into ideal image group, real image group and fantastic image group by employing cluster analysis. Third, all of body-esteem and self-esteem were the highest at real image group, while all of that were the lowest at ideal image group.

모바일 아바타 전송을 위한 얼굴 영역 검출 및 압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ial Region Detection and Compression for Transmission of Mobile Avatar)

  • 최재영;황승호;양영규;황보택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916-923
    • /
    • 2005
  • 기존의 음성 통신 도구로 사용되던 휴대 전화는 최근 들어 데이터 통신 기기로서의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늘어난 대역폭으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할 만한 충분한 능력이 되었지만 여전히 여러 컨텐츠들을 이용하기에는 이용자의 통신 및 정보 이용료의 부담이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아바타 생성을 위한 얼굴 영상의 전송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적용하여 일반적인 압축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압축률보다 높은 성능의 압축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컨텐츠 이용자비 정보 이용 부담 및 통신 트래픽을 줄이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은 웨이블릿으로 분해된 영상의 대역간 공간적 상관관계뿐만 아니라 얼굴 영역 검출을 통하여 얻은 웨이블릿 영상의 중요계수 위치를 참조함으로써 모바일 아바타 생성에 적합한 주요영역별 압축율을 차등화 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EZW 압축 방법보다 입력 영상의 중요계수 위치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여 차등압축하는 방법이 모바일 아바타 생성을 위한 시스템에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게임 속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가 아이템 구매 및 게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Game Character Identification on Item Purchase and Game Play Intention)

  • 이원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1-50
    • /
    • 2021
  • 게임 캐릭터 동일시는 이용자의 게임 이용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자아에 대한 지각이며, 게임 캐릭터에 대한 동일시 정도에 따라 게임에 대한 태도 역시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에 대한 통제, 소유권, 개인화, 동일시, 플로우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게임 이용의도나 아이템 구매의도와 같은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결과에 따르면 캐릭터 소유권, 개인화는 캐릭터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캐릭터 통제와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동일시와 플로우 간의 긍정적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동일시로 강화된 플로우는 이용자의 행동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OSMU를 위한 MMORPG 캐릭터 특성 분석 (Analysis of MMORPG Character for The OSMU)

  • 김남재;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429-43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에서 플레이어 캐릭터가 가지는 아바타적인 성향과 게임 이용자가 지니는 게임캐릭터에 대한 자기 동일시성 때문에 온라인게임캐릭터가 다양한 수익산업으로의 확장에 불리함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MMORPG 캐릭터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다른 수익산업으로의 확장을 위하여 성공한 캐릭터와 현재 MMORPG의 캐릭터를 요소 별로 분석하여 보았다.

사이버 공간의 자아에 대한 인지가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ption Toward Cyber Identity on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 김수연;황현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3-100
    • /
    • 2005
  • 본 논문은 인터넷 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이버 공간상의 자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사이버 자아에 대한 정체성 강화가 구매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사이버 자아를 크게 개인적인 자아와 사회적인 자아로 구분하였으며 5개의 구성요소를 설정하였다. 아바타와 온라인 게임에서의 능력치를 개인적 자아 형성요소로, 커뮤니티와 메신저를 사회적 자아의 형성요소로 설정하였으며 블로그는 개인적인 자아와 사회적 자아에 동시에 속하는 요소로 설정하였다. 사이버 자아를 강화시키기 위해 인터넷 사용자 들이 아바타,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배경 그림 등의 사이버 아이템을 구매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이버 자아의 인지와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충성도 및 구매의도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를 구성하는 요인을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후 이러한 요인이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메타버스 환경에서 음성 혐오 발언 탐지를 위한 딥러닝 모델 설계 (Deep Learning Model for Metaverse Environment to Detect Metaphor)

  • 송진수;딜노자;손승우;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21-623
    • /
    • 2022
  •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상 세계의 개념을 도입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MZ세대의 새로운 SNS로 떠오르고 있다. 아바타를 통해 상호 교류가 가능한 메타버스는 텍스트 기반의 소통뿐만 아니라 음성과 동작 시선 등을 활용하여 변화된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한다. 음성을 활용한 소통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혐오 발언에 대한 신고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혐오 발언 탐지 시스템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여 사전에 정의된 혐오 키워드만 특수문자로 대체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성 혐오 발언에 대해서는 탐지하지 못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음성 혐오 표현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음성 데이터의 파형을 통해 은유적 혐오 표현과 혐오 발언에 대한 감정적 특징을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혐오 문장을 탐지한 결과와 결합한다. 향후, 제안하는 시스템의 현실적인 검증을 위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성능평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