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아동 양육태도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2초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특성 (Parenting Characteristics between Parents of Gifted and Ordinary Children)

  • 박혜원;김윤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33-456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특성(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집단에서 양육태도,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의 차이가 있었는데, 영재아동의 부모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각각의 집단에서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특히 양육스트레스는 배우자양육협조, 배우자훈육일치와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셋째, 각 집단에서 양육태도에 미치는 양육특성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영재아동집단에서는 배우자훈육일치가, 일반아동집단에서는 양육스트레스, 배우자훈육일치가 양육태도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건강증진행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연구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ing Styl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chool-Aged Children)

  • 민혜영;강숙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65-17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양육태도와 건강증진행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25명이었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에서, 매개 작용을 하여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령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교육 프로그램 적용 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사정하며, 부모가 수용적 양육태도를 갖도록 지지하여,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건강증진행위 실천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Social Suppor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길경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7-164
    • /
    • 2006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초등학교 4.5.6학년 아동 243명을 대상으로 부모 양육태도 검사, 사회적 지지 검사, 정서지지능 검사를 설문지 조사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개방-폐쇄형, 자율-타율형의 순으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정서지능은 정서인식, 감정이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면 양육태도는 성별에 대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지능에서는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에서 차이를 보였고, 사회적 지지에서는 친구지지와 가족지지에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는 서로 약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는 정서지능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에서 가족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는 아동에게 매우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가족의 지지와 학교에서의 지지가 아동의 정서지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준비도와 감각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f a Multicultural Family Mother on the School Readiness and Sensory Processing Skill)

  • 송경아;오명화;김혜미;김정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531-539
    • /
    • 2019
  • 본 연구는 광주·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및 아동 각 43명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양육태도와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이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MBRI,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은 SSP를 그리고 학교준비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양육태도 총점은 165.72±24.19점 이었고, 하위항목에서는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거부적 태도, 애정적 태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태도만 아동의 학교준비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p<.05).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어머니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태도 형성에 필요한 부모교육과 학교준비도와 관련된 학교작업치료 중재들이 적극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ental Bring-up Attitude on Child Abuse Awareness among College Students)

  • 박미정;오두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52-46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들의 아동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4월 16일부터 30일까지 대학에 재학 중인 2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 수용-거부 양육태도 도구, 아동학대인식 및 아동학대지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아동학대 인식은 성별,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무시/무관심 양육태도가 아동학대 인식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성별,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 및 부모의 양육태도의 설명력은 14.3%였으며, 학년, 형제자매 수, 아동학대 지식수준과 무시/무관심 양육태도가 주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이해를 통해 이들의 아동학대 인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가 아버지와 아동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n Father-Child Attachment in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s)

  • 허진선;김동희;박정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64-17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아동 애착 수준을 확인하고,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가 아버지-아동의 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아동의 아버지 131명이다. 자료는 구조적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2월16일부터 8월16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버지-아동 애착의 평균은 $3.79{\pm}0.47$이었으며, 일반적 특성 중 아버지의 월수입에 따라 아버지-아동 애착 점수가 차이(f=5.25, p<.010)를 보였다. 아버지-아동의 애착과 결혼만족도는 정적 상관이었다(r=.28, p=.001). 아버지-아동의 애착은 부부갈등(r=-.23, p=.010), 양육스트레스(r=-.44, p<.001), 양육태도 중 수용-거부적 태도(r=-.64, p<.001) 및 통제(r=-.30, p<.001)와는 부적 상관이었다. 아버지-아동 애착을 예측하는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89.29,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0%이었다. 아버지-아동 간 애착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아버지의 수용-거부적인 양육태도로 나타났다(${\beta}=-0.64$, p<.001). 본 연구결과 아버지-아동의 애착은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아버지-아동의 애착증진을 위해 아버지의 수용-거부적 양육태도를 애정적 양육태도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전략 개발을 제언한다.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과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rear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elf-Esteem of Children)

  • 홍연란;최청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17-223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고학년 472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를 수행하였고 어떠한 독립변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그 다음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서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교성적(r=-.245 p<.001), 경제상태(r=-.189 p<.001), 어버지의 학력(r=.193 p<.001), 어머니의 학력(r=.136 p=.003), 가정분위기(r=-.256 p<.001), 아버지와의 의사소통(r=.345 p<.001), 어머니와의 의사소통(r=.503 p<.001), 양육태도(r=.421 p<.001)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자아존중감을 설명하는 주요변인은 학교 성적, 양육태도,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모형은 투입된 요인을 통하여 32.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련되는 가정적, 환경적 변인을 고려하여 성장하고 있는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및 중재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것을 기대한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발달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Development)

  • 백순기;김도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67-274
    • /
    • 2019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발달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아동발달센터 및 아동관련 복지기관에 방문한 부모와 아동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지는 총 230부를 준비하여 검사하였으나 검사과정에서 무응답 등의 누락 및 자료의 일관성 등의 문제로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검사지 47부를 제외한 총 18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발달의 관계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부모의 양육태도 중 자조행동에 있어 성취압력, 과잉기대가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소근육 운동에서는 감독, 과잉기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 언어, 언어 이해에서는 성취압력, 과잉기대가 주요 변수로 영향을 주었다. 전체발달에 있어 성취압력, 감독, 과잉기대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on Aggress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 박혜선;김형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98-5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전국단위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고, 둘째,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인과관계 사이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긍정적 측면을 강화 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모색함에 있어 그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 Korean Children Youth Panel Study)'의 초등학교 1학년패널의 제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1,686케이스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SPS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심할수록 아동의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감독, 애정, 방임이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공격성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동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부모의 양육태도로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 감소를 위하여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방법 교육과 더불어 올바른 부모의 양육태도를 위한 부모교육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ㆍ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 최정미;우희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3-84
    • /
    • 2004
  • 본 연구는 초ㆍ중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울을 중심으로,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두 변인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이 여자인 경우가 남자인 경우보다 우울이 더 높고, 학년에 따라서는 중학교 1, 2학년이 초등학교 5, 6 학년보다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성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는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와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올과의 상관관계는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수업이 진행될수록 아동간의 대화의 양과 질이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간의 의존성과 신뢰성이 증가하였다. 리더 역할을 하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나타났으며 조원들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언을 해주었다. 셋째, 아동간의 친밀감과 협동심이 증가하여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넷째, 교사와 아동간의 친밀감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수업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들은 점차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아동들은 헝겊 인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여 적극적이고 집중력이 높은 수업 태도를 보였다 셋째, 아동들은 자신이 만든 인형에 애착을 가지게 됨으로서 긍정적인 수업태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내성적인 성향, 독단적인 성향, 과잉행동 성향, 산만하거나 주의력 결핍 아동들이 보다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헝겊 인형 만들기’ 바느질 수업의 전개과정이 아동간의 상호작용 및 수업에 대한 태도를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었다. 조기 수술이 권장되며 조기수술이 안 되어 병변의 진행이 심해지면 대동맥판막성형술의 완벽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병변이 심한 경우 대동맥판막대치술도 수술방법의 선택목록에 포함시켜야 한다.하지 않은 그룹 0 수혜견에 이식한 심장의 생존시간은 5분이었으나 PCPP에 의해 자연항체를 제거 후 이식된 심장의 생존시간은 90분으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조직 병리학적으로도 이식 거부에 대한 특징이 그룹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