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쌀겨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점화에너지 변화에 따른 쌀겨분진의 폭발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Explosion Behavior of Air-born Rice Bran Dusts according to Ignition Energy)

  • 김정환;김현우;현성호;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6-32
    • /
    • 1999
  • 쌀겨분진의 연소 및 전기적 점화에너지에 의한 폭발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및 열중량 분석기(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와 순간승압조정기를 이용하여 온도 및 전기 스파크에 따른 발열개시온도, 발열량 등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Hartman 식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DSC 분석 결과 대기 분위기에서 발열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승온속도가 증가하고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발열량이 증가하였고, TGA 분석 결과 입도가 미세해질수록 분해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쌀겨분진의 폭발 위험성은 입도가 감소하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전기적 점화에너지가 클수록 폭발압력이 증가하였으며, 전기 점화원에 인가된 전압변화에 따른 폭발압력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50/60 mesh, 1.5mg/㎤에서 약 13.5kgf/$\textrm{cm}^2$의 최대 폭발압력을 나타내었다.

  • PDF

쌀눈 유지의 저장중 변화와 지방산 구성 (Changes during Storage of Rice Germ Oil and Its Fatty Acid Composition)

  • 신동화;정종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1
    • /
    • 1998
  • 쌀눈 및 쌀겨에 함유된 유지를 추출, 온도별 저장 안정성과 지방산조성을 비교하였다. 쌀눈 및 쌀겨유지를 $40^{\circ}C$$60^{\circ}C$에 31일간 저장 중 유지의 산가는 큰 차이가 없었고 과산화물가는 저장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크게 상승하였는데, $40^{\circ}C$저장 31일에는 건조처리한 쌀눈의 유지가 가장 높아 146.2 meq/kg이었고 정제유는 15.1 meq/kg 이었으며, $60^{\circ}C$저장 24일에는 정제유는 219.6 meq/kg, 건조쌀눈유지는 151.7meq/kg 이었다. 쌀눈과 쌀겨유지 중 주 지방산은 쌀눈은 linoleic acid (39.0%)와 oleic acid (34.7%)이었고 쌀겨는 oleic acid (40.1%)와 linoleic acid (38.1%)였으며, 저장 중 주 지방산의 조성은 쌀눈의 건조처리나 저장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linolenic acid의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반응표면방법에 의한 Phellinus sp. 고체배양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Solid Culture of Phellinus sp.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강태수;강안석;손형락;강미선;임양이;이신영;정성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65-274
    • /
    • 1998
  • 목질진흙버섯(Phellinus sp.) 자실체의 인공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마련의 일환으로 자실체로부터 순수분리한 상황속의 한 균주를 이용하여 참나무 (Quercus aliena), 뽕나무(Morus alba) 및 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3종 톱밥기질에 따른 균사생육의 최적조건을 반응표면분석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3종의 독립변수(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와 그 최적값을 검토한 결과, 쌀겨첨가량은 3종의 톱밥배지 모두에서 약 30%(w/w) 첨가시에 가장 좋았으며, 수분함량은 $65{\sim}70%(w/v)$ 범위 에서 좋았다. 배지의 초기 pH는 참나무와 뽕나무에서는 $pH\;5{\sim}6$, 오리나무 톱밥배지의 경우는 pH 6에서 가장 좋았다. 균사의 생육온도는 모든 톱밥배지에서 $25{\sim}3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좋았으나, 톱밥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균사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쌀겨첨가량$(X_1)$, 배지의 초기 $pH(X_2)$ 및 수분함량 $(X_3)$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고, 균사의 생육길이를 독립변수(Y)로 하여 반응 표면분석한 결과, 참나무 톱밥의 경우, 쌀겨첨가량 31.01%(w/w), 배지의 PH 5.31, 그리고 수분함량 69.03%(w/v)에서 얻어졌으며, 이때 기대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8.32cm이었다. 특히, 쌀겨 첨가량$(X_1)$과 수분함량$(X_3)$)의 회귀계수가 높아, 이 변수들이 균사생육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뽕나무 톱밥배지의 경우, 쌀겨첨가량, 배지의 초기 pH 및 수분함량의 정상점은 각각 28.77%(w/w), 5.28및 69.8%(w/v)로, 예측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7.60 cm이었다. 오리나무 톱밥 배지의 정상점은 쌀겨첨가량 28.74%(w/w), 배지의 pH 6.04및 수분함량 66.96%(w/v)으로, 이때, 예상되는 균사의 생육길이는 5.38cm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과 독립변수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았고, 쌀겨첨가량과 배지의 초기 pH가 수분함량보다 균사생육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목질진흙버섯의 균사 생육을 위한 최적의 톱밥 수종은 참나무(Quercus aliena)>뽕나무(Morus alba)>오리나무(Alnus japonica)의 순이었다.

  • PDF

쌀겨 추출물로부터 스핑고당지질의 분리와 구조결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jor Glycosphingolipid from Rice Bran Extract)

  • ;;강병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72-76
    • /
    • 2007
  • 대표적인 스핑고지질인 글리코실세라미드의 생리적 기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쌀겨 추출물로부터 cerebroside를 분리하였다. 정제하지 않은 글리코실세라미드를 flash system 칼럼으로 분리한 후 ELSD를 검출기로 사용하여 순상 HPLC로 정제하였다. 클로로포름 : 메탄올 : 증류수(99:11:1, v/v/v)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주요 cerebroside를 얻을 수 있었고, MALDI/TOF-MS, FAB-MS, GC, 600MHz $^1$H-NMR로 구조를 분석하였다. 구성당은 글루코오스였고 cerebroside의 구성 지방산은 2-hydroxy-arachidic산이었다. 장쇄 염기는 sphinga-4,8-dienine이었다.

Streptozotocin으로 유발한 당뇨 마우스에서 식물성 지방 급원에 따른 혈액 및 간조직의 지질 조성 (Effect of Different Kind of Plant Oil Sources on Serum and Hepatic Lipid level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이성현;전혜경;박홍주;이연숙;장순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10-714
    • /
    • 2003
  • 본 연구는 식물성 지방급원이 당뇨모델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 모델은 STZ의 투여로 유발된 인슐린의존형 당뇨 마우스를 이용하였고, 4종류(라아드 10%에 각각 대두유, 쌀눈기름, 쌀겨 기름, 참기름 10% 첨가)의 실험식이를 7주간 급여하여 체내 지질 함량 및 대변으로의 배설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과 체중 및 장기 무게는 실험군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은 쌀눈기름 및 쌀겨기름 첨가군에서 다른 실험군들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간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쌀눈기름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간의 총지질 함량도 쌀눈기름 첨가군에서 대조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대변으로의 총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배설량은 쌀눈기름 첨가군과 쌀겨기름 첨가군에서 대조군인 대두유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쌀눈기름과 쌀겨기름 급여군에서 체내 지질 함량이 낮았고 쌀눈기름군에서 쌀겨기름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쌀눈기름은 인슐린의존형 당뇨마우스에서 체내 지질 함량 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쌀눈기름의 대변중 총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배설량 증가와 관련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쌀눈기름은 대두유나 참기름보다 당뇨병 모델의 체내 지질대사에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기물을 이용한 액비 제조시 발효액의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during Liquid Fertilizer Processing using Different Organic materials)

  • 이광재;전종옥;박재호;남상영;김태중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07-512
    • /
    • 2011
  • 본 연구는 유기액비 재료가 유기액비 제조시 화학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충청북도농업기술원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계분, 대두박, 쌀겨 등 3처리를 하였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액비 원료의 총 질소 함량은 대두박이 55 mg·k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인산과 칼륨 함량은 계분에서 가장 많았다. 계분의 pH는 중성에 가까웠으며, 대두박과 쌀겨는 강산성을 띠었다. 계분 액비의 EC는 발효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대두박과 쌀겨 액비는 발효기간 중 증가하다가 감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계분 액비의 황화수소 발생량은 발효 후 2주차에는 3,200 mg·L-1이었으나, 발효 12주차에는 1,600 mg·L-1으로 감소하였고, 대두박과 쌀겨 액비는 발효 과정중 황화수소 가스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질소와 칼슘 함량은 계분 액비와 대두박 액비에서 가장 많았다. 인산, 마그네슘의 함량은 쌀겨 액비에서 각각 5.6 g·kg-1, 1.5 g·kg-1으로 가장 높았다. 칼륨은 처리에 따라 4.3-4.4g·kg-1으로 차이가 없었다.

쌀겨단무지의 절임 중 품질 특성의 변화에 대한 스테비아 잎 분말 첨가의 영향 (Effect of Powder of Stevia rebaudiana Leaves against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alting of Rice Bran Danmooji)

  • 김용석;이선규;정도영;양은진;신동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7-503
    • /
    • 2007
  • 새로운 형태의 쌀겨단무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겨에 스테비아 잎 분말 및 호박산, 효모 추출물 등을 첨가한 쌀겨 단무지의 절임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과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첨가물로써 대조구는 삭카린나트륨을 사용하였으며, 처리구 S1은 스테비아 잎 분말을, 처리구 S2는 스테비아 잎 분말 + 호박산, 처리구 S3은 스테비아 잎 분말+ 호박산 + 효모 분말을 사용하였다. 쌀겨단무지의 절임 90일째 pH는 호박산을 첨가한 처리구 52와 53에서 낮게 나타났다. 염도는 절임 90일째 1.94-2.32%로서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처리구 S1이 2.32%로 가장 높았다. 수분함량은 절임 90일째 91.98-92.38%로서 처리구 사이에 비슷하였다. 경도는 절임 초기 $2269-2581\;g/cm^2$이었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절임 30일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여 절임 90일째 모든 처리구에서 $1,186-1,368\;g/cm^2$를 나타냈다. 색도 중 명도(L)는 절임기간 중 점차 감소하여 절임 90일째 33.33-35.54를 나타냈으며, 황색도(b)는 효모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 S3에서 가장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삭카린나트륨 대신에 스테비아 잎 분말, 호박산 및 효모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 S3이 향,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나 이들 첨가물이 쌀겨단무지의 품질에 좋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첨가물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쌀겨단무지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쌀겨 추출물의 항암효과(in vitro)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 최현임;예은주;김수정;배만종;이성태;박정은;박은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297-1303
    • /
    • 2006
  • 본 연구는 쌀겨의 사람유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in vitro)와 사람유래 비만세포주(HMC-1)의 활성 억제효과 및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Hep3B와 HeLa 세포에 대한 형태변화는 쌀겨의 물 추출물과 60% 에탄을 추출물 처리군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암세포의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시료를 고농도로 처리할수록 사멸세포 형태인 원형의 세포 수가 증가하였다. Hep3B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능은 쌀겨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높았고, $100{\mu}g/mL$$1,000{\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각각 20%, 55%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HeLa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능은 쌀겨 물 추출물과 60% 에탄을 추출물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1,000{\mu}g/mL$$3,000{\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0% 에탄을 추출물보다 각각 5%, 27% 더 높았다. 사람의 비만세포주(HMC-1)에서 $Fc{\varepsilon}RI$, tryptase, c-kit mRNA 발현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 GAPDH의 발현양은 대조군과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만세포의 $Fc{\varepsilon}RI$ mRNA와 c-kit의 mRNA 발현양은 쌀겨 물 추출물군보다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많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ryptase mRNA 발현양은 억제하지 못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은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5{\mu}g/mL$ compound 48/80을 처리하였을 때 히스타민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쌀겨 물 추출물 $0.01{\mu}g/mL$에서 약 87%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에탄을 추출물 $100{\mu}g/mL$에서 약 86%의 억제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