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십과

검색결과 883건 처리시간 0.026초

기업 주도권이 파트너십과 SCM 특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argaining Power on Partnership, Information Quality, and SCM Features)

  • 장활식;최유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171-189
    • /
    • 2015
  • 공급사슬상의 기업은 두 유형이 존재한다. 그 중 한 유형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도권을 가지며, 리더기업이라고 불리는 기업이며, 다른 한 유형은 리더의 결정을 따르는 팔로워기업이다. 이러한 관계구조는 파트너십 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주도권과 파트너십, 정보품질, SCM 특징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급사슬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는 총 116부의 설문이 이용되었다. 모형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 23과 smartPLS 3.2.3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업의 협상력은 기업의 영향력, 파트너십, 그리고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영향력은 파트너십과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파트너십은 정보품질과 SCM의 특징인 공급사슬 유연성, 공급사슬 민첩성, 공급사슬 불확실성 모두에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정보품질은 공급사슬 유연성과 민첩성에는 영향을 미쳤다.

  • PDF

거래 공정성이 파트너십을 매개로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action Justice on Project Performance with Mediating Effect of Partnership)

  • 심은택;이재광;조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77-58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건설업의 원청기업이 하청기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거래 현상을 구체화 시켜 양 기업 간의 거래에서 나타나는 공정성과 파트너십의 관계, 거래 공정성과 프로젝트 성과의 관계, 그리고 파트너십과 프로젝트성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원도급자와 하도급자 각각 집단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 분석, t-검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 3단계 매개 효과 검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거래 공정성은 파트너십에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파트너십의 세부 요인 중 상호 신뢰만이 프로젝트 성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래 공정성이 파트너십을 통하여 프로젝트 성과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건설업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들은 중소건설업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경쟁력 제고에 대한 연구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중소건설업이 처한 환경을 보다 면밀히 검토하여 원청기업과 하청기업간의 거래관계에서 공정성이 양 기업 간의 파트너십과 거래의 결과로 나타나는 성과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포츠이벤트 스폰서십광고와 매복광고 캠페인 전략 (Campaign Strategies of Sports Sponsorship and Ambush Advertising)

  • 이희복;신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87-197
    • /
    • 2010
  • 본 연구는 스폰서십광고와 매복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월드컵 캠페인 기간 이동통신사의 TV광고를 비교하였다.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KTF와 SKT의 2006년 광고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스폰서십광고와 매복광고에 대한 광고태도에는 차이가 없었고, 브랜드 태도에서는 매복광고가 높게 나타났다. 자유회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복광고에 대해 스폰서십 여부에 대한 오인지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스폰서십광고와 매복광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유지하여 실행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스포츠 이벤트에 있어서 기업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캠페인을 중심으로 실행되어져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스폰서십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고, 광고전문가들에게 캠페인 전략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파트너십이 IT 아웃소싱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Partnership's Affect on Success of IT-Outsourcing)

  • 연경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171-17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파트너십이 IT아웃소싱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로 작용할 것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요인은 성과와 파트너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아웃소싱의 도입이 비용감소라는 목적과는 달리 오히려 비용의 증가라는 문제점을 노출시켰다는 최근의 시장분석 결과가 입증된 것이라 하겠다. 그러나 전략적 요인과 기술적 요인은 아웃소싱의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것보다는 파트너십과의 작용을 통해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객사와 서비스 제공업체간 관계에 대한 계약상의 내용을 기준으로 처리하는 트랜잭션의 형태보다 고객사와 서비스 제공업체가 서로의 위험과 이익을 공유하며 한정된 계약범위보다 필요시 서로 협력하여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파트너십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라 하겠다. 따라서 성공적인 아웃소싱은 양자가 지속적인 의사소통은 물론 상호간 위험과 이익을 공유하며 필요시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파트너십 관계로의 이상적인 관계관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산학 인턴십 현황 진단 및 대학생 체험사례를 통한 개선정책 연구 (Study on improvement policy through diagnosis and analysis of success cases of industry-academy internships)

  • 고경일;홍성혁;설원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05-2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턴십 참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 또는 인터뷰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현재의 산학 인턴십 운영 관련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학생의 국내 기업 인턴십 실제 참여사례들을 조사함으로써 산학 인턴십 운영상의 요구사항들을 분석함과 동시에 바람직한 산학 인턴십 운영지침을 도출 및 확산하기 위한 정책방안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여 학생들이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마인드를 갖는 데에 도움을 주고 더 나아가 대학에서 기업으로의 진로탐색 및 기업에의 적응이 연착륙되어지는 데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활동이론을 적용한 사서인턴십 개선 방안 연구 - 인턴십 참여자의 관점에서 - (Enhancement of Library Internship Reflecting Participants' Opinions based on Activity Theory)

  • 박지영;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07-33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인턴십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사례연구로 서울의 한 대학의 2016년 2학기 인턴십 강좌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활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인턴십 진행과정을 구조화하고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모순이나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턴십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전공에 대한 이해나 사서를 직업으로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인턴십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인턴십 과정에서 기간, 관리문제, 실습수준, 아르바이트와의 업무내용 중복 등의 갈등요인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갈등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연구는 인턴십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집단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체계화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근로연계복지정책의 전달체계 성격에 관한 연구 - 영국 뉴딜정책(New Deal)의 파트너십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very System in Welfare to Work : the Case of the Employment Partnerships in United Kingdom)

  • 임수경;권혁창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71-96
    • /
    • 2011
  • 본 연구는 복지거버넌스 유형화 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영국 근로연계복지정책 전달체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영국 뉴딜정책 파트너십 전략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앙정부차원의 파트너십과 공공부문-민간부문 파트너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앙정부차원의 전달체계 개혁 수단은 부처통합이고, 서비스 전달전략의 구체적 변화는 통합고용사무소 설치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부문-민간부문 파트너십에서 전달체계 개혁 수단은 경쟁을 통한 계약, 즉, 시장기제의 도입이다. 특히, 지역차원 파트너십에 있어서 서비스 전달체계 개혁 수단은 노동시장 수요 측면에서의 패러다임도입이다. 이는 지역고용 및 훈련의 통합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중앙정부 차원의 포괄적 지원체계 마련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각 차원의 복지거버넌스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 근로연계복지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방식 연구 (A Study of Urban Park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 김용국;한소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83-97
    • /
    • 2011
  • 본 연구는 도입단계에 있는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실태 분석결과를 성숙단계에 있는 다양한 국외사례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계획과정(민 관 파트너십 형성${\rightarrow}$공원조성${\rightarrow}$공원 운영 관리) 속에서 비교분석(Gap Analysis)함으로써 우리나라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의 전개방향과 파트너 십 활성화를 위한 단서를 찾는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국내외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를 비교분석 결과, 앞으로 우리나라 도시공원의 전개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겠다. 첫째, 지금까지 민 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사례가 지자체 중심의 단일 또는 소수 파트너가 주도해 조성 관리했다면 앞으로는 도시공원의 유형별로 효율적인 다 부문간의 파트너십(Multi-Sector Partnership)을 형성해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도시공원은 공익이 우선 시 되는 공간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다양한 민 관 부문 관계자들의 목소리를 반영시켜야 하겠다. 둘째, 도시공원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계속 만들어져 가는 공공 공간이다. 따라서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사례분석 결과, 민 관 파트너십의 개념이 도시공원의 조성과정에 적용되는데 치우쳐 있다는 것은 도시공원의 양적 확충에 중심을 두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공원이 지역사회 내에서 공공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결국 공원의 조성과정뿐 아니라 이후 운영 관리 과정에서의 민 관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셋째, 민-관 파트너십 도시공원 관리가 효과적이고 지속적이기 위해서는 결국 지역사회 참여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지역사회의 참여는 도시공원의 가치에 대한 민 관 부문 모두의 의식 전환이 전제되어야 하므로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서울그린트러스트와 같은 비영리단체가 민 관 파트너십을 통해 크고 작은 도시공원을 조성 및 관리하면서 성공사례들이 축척 될 필요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