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실

검색결과 853건 처리시간 0.03초

TOF 완전교정술후 발생한 심실빈맥의 외과적 절제술 -치험1례보고- (Surgical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Tot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Report of a case)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39-645
    • /
    • 1996
  • 14세 남자환자로 최근 3년간 반복된 심계항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8년전에 TOF로 진단받고 완전교정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심도자 검사에서 우폐동맥폐쇄와 그에 따른 우심실압력상승을 보였고 전기 생 리학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중격부위 에서 기 원하는 회귀성 심실빈맥으로 진단되 었다 한 개의 양극성 전극을 이용한 심실외막전기도검사에서 심실빈맥의 회귀성회로는 첩포 원위부 좌측 의 심실중격쪽 심근에서 가장 빨리 나타나 시계방향으로 청포주위를 돌아 우심실유출로 우측 심근을 활 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4채널 심장전기도시스템을 이용한 심실심외막전기도 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첩 포주위를 )20 msec 주기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귀하는 심실빈맥을 관찰할 수도 있었 다. 수술은 우심실유출로의 첩포와 섬유화된 조직을 제거하고 우심실유출로 상연에서 폐동맥 판막륜까지 절개를 하여 회귀성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폐동맥 판막륜과 심실중격사이 에는 회귀성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냉동병소를 만들었다. 우폐동맥이 발달되지 않아 우폐동맥재건술은 하지 못하였다. 수술후 전기생리학 검사에서는 더 이상심 퓟窄팀\ulcorner유발되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TOF완전교정수술후 우심실유출로 첩포와 일부 우심실 심근주위에 slow conduction지 대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한 macro-reentry심실빈맥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로서 치료되지 않을 때는 catheter ablation이나 외과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외과적 절제를 할 때에는 우심실유출로와 폐동 맥 판막륜사이의 심근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우심실유출로재건을 하는것이 중요하다.성 거부반응 1례, 크기불일치 에 의한 만성 이식부전증이 1례, 천식 발작에 의한 호흡부전이 1례, 지주막하출혈 1례, 체액 성 거부반응이 의심되는 경우가 1례 였다. 이상의 단기간성적을 통해 심장이식분야에서 더욱 발전을 요하며, 특히 이식공여자 및 수혜자의 선택 이나 술후 감염관리 및 체 액성거부반응치료 등에서 더욱 진전이 있어야 하겠다.07m', 동맥 혈 산소포화도는 83.0$\pm$3.8 %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9.0$\pm$ 1.5 mm, 좌폐동맥의 지름은 7.7 $\pm$2.Omm, 폐동맥 지수는 197.3$\pm$57.1 mm2/m2, McGoon 비는 1.76$\pm$0.32 였다 수술후 전 환자에서 폐동맥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평균 폐동맥 압은 12.8 $\pm$3.6mmHg이 었다. 환자의 성장에 따라 폐동맥의 지름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지수나 McGoon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의 나이, 술후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 정도, 혈관 성형술 여부, 수술후 심도자 및 혈큰조 영술까지의 기간 등은 수술후의 폐동맥 지수의 증가에 영향을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술전의 폐동맥 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McGoon 비 1.2 미만)에는 폐동맥 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비수임형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에서의 양심실 교정술 (Biventricular Repair in DORV with Remote VSD)

  • 박순익;박정준;윤태진;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76-79
    • /
    • 2004
  • 비수임형 양대혈관 우심실기시증은 심실중격결손(DORV with remote VSD)이 대동맥과 상당히 떨어져 있어 양심실 교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본 교실에서는 심실중격결손과 폐동맥을 배플(baffle)을 이용하여 연결한 후 대혈관 전환술(arterial switching operation)을 시행하여 양심실 교정을 성공적으로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CNH2 돌연변이 L532P와 N588K가 심실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장의 3 차원 전기생리역학 시뮬레이션 연구

  • 김창현;임기무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6회(2017년)
    • /
    • pp.708-711
    • /
    • 2017
  • 전기적 신호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심방 부정맥은 심방세동으로 발전하는 대표적 심장 질환이다. 이러한 원인에는 세포 내 이온 채널의 유전적 결함으로 인한 기전이 알려져 있다. 지속적인 연구로 밝혀진 대표적인 유전적 질환 중 하나로서 KCNH2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KCNH2 유전자 돌연변이가 심방부정맥을 유발하는 연관성연구를 기반으로 심실에서의 심장 질환 발현 연관성을 확인하고 심실부정맥과 심실세동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Ten tusscher 세포 모델에 KCNH2 유전자의 N588K, L532P 변이를 적용하여 2차원과 3차원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wild-type(WT)과 mutant-type(MT)의 전기전도 패턴을 비교했다. 그 결과 WT의 전도파형이 일찍 자가소멸(self-termination) 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MT는 회귀성 파형이 유지되었다(WT : 3.6초간 유지, MT : 지속적).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KCNH2 유전자 돌연변이가 심실 조직의 취약성 (Action Potential Duration 감소, WT : 270 ms, N588K : 130 ms, L532P : 100 ms)을 증가시켜 부정맥의 요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 PDF

관절경하 견관절 수술 시 발생한 심실성 빈맥 - 증례 보고 - (Ventricular Tachycardia during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 A Case Report -)

  • 조승현;이진웅;조남수;이용걸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84-84
    • /
    • 2008
  • 최근 견관절 질환의 상당수가 관절경 수술로 이루어지고 있다. 좌체위(beath chair position)를 이용한 관절경 수술은 시술 중 관헐적 방법으로의 전환이 용이하고 공간에 대한 orientation을 쉽게 잡을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또한 관절경 수술 시 시야 확보를 위해 epinephrine을 혼합한 세척액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관절경 수술 시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가스 색전증, 세척액에 사용하는 epinephrine에 의한 심실성 빈맥 등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이 가끔 보고되어 있다. 관절경하 견관절 수술 도중 심실 빈맥의 발생은 매우 드문 경우이며 이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2주의 기간 동안 좌체위로 관절경하 견관절 수술을 하는 도중 갑작스럽게 발생한 심실 빈맥 2예를 경험하였기에 원인 및 치료 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좌체위로 인한 뇌혈류 저하, 가스 색전증 등의 증세는 없었다. 관절경술 도중 세척액에 투입된 소량의 epinephrine이 동시에 체내로 급속히 유입되어 심실 빈맥이 왔으리라 추정하고 있으며,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 PDF

양대혈관 좌심실기시에서 좌심실에서 우심실로의 폐동맥간 전위술의 치험 -1례 보고- (Pulmonary Trunk Translocation from LV to RV in Double-Outlet Left Ventricle -A case report-)

  • 김상익;최진호;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1호
    • /
    • pp.854-857
    • /
    • 2001
  • 양대혈관 좌심실기시는 양대혈관이 좌심실에서 기시하는 드문 선천성 심장기형으로 정확하게 진단하기가 어렵다. 환아는 생 후 2개월에 대동맥축착교정술 및 폐동맥교약술을 받았던 3세된 남아로 대동맥하 심실중격결손, 단일관상동맥을 동반한 양대혈관 좌심실기시로 진단되어 심실중격결손의 첩포봉합, 난원공개존의 봉합 폐동맥 교약부 절제, 그리고 폐동맥간을 좌심실에서 분리 후 우심실로 전위시켜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을 받았다. 본 술식은 술 후 좋은 혈역학적 특성을 보였고, 자가조직을 사용함으로써 전위된 폐동맥의 성장잠재성과 판막 기능의 보존으로 술 후 폐동맥 폐쇄부전과 관련된 우심실기능부전의 가능성이 줄어드는 장점이 예상되므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섬유성 조직으로 인한 제한적 심실 중격 결손과 좌심실 유출로 협착을 보인 활로씨 4증 1예 보고 (A Case Report of Restrictive Ventricular Septal Defect & Left Ventricular Out Flow Tract Stenosis Caused by Fibrotic Tissue in Tetralogy of Fallot)

  • 황의동;정성호;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50-853
    • /
    • 2006
  • 일반적으로 활로씨 4증에서의 심실 중격 결손은 보통 대동맥 판막륜의 크기와 같거나 크고 제한적이지 않다. 또한 심실 중격 결손을 통한 단락의 방향은 양방향성 또는 우-좌 단락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활로씨 4증에서 섬유성 조직의 성장으로 인한 제한적 심실 중격 결손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활로씨 4증에서의 섬유성 조직으로 인한 제한적 심실 중격 결손과 좌심실 유출로 협착을 보였던 환아에 대한 완전 교정술 치험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심실빈맥/심실세동 분류를 위한 NEWFM 기반의 퍼지규칙 추출 (Extracting Fuzzy Rules for Classifying Ventricular Tachycardia/Ventricular Fibrillation Based on NEWFM)

  • 신동근;이상홍;임준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9-186
    • /
    • 2009
  • 본 논문은 가중 퍼지소속함수 기반 신경망(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NEWFM)을 이용하여 Creighton University Ventricular Tachyarrhythmia DataBase(CUDB)의 심전도(ECG) 신호로부터 정상리듬(Normal Sinus Rhythm, NSR)과 심실빈맥/심실세동(Ventricular Tachycardia/Ventricular Fibrillation, VT/VF)을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NEWFM에서 사용할 특징입력을 추출하기 위해서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 WT)을 이용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생성된 웨이블릿 계수들을 위상공간 재구성(Phase Space Reconstruction, PSR)과 첨단(Peak) 추출 기법의 입력 값으로 이용하여 2개의 특징입력을 추출하였다. NEWFM은 이들 2개의 특징입력을 이용하여 정상리듬과 심실빈맥/심실세동을 분류하였고 그 결과로 90.13%의 분류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져먼 셰퍼드종 개에서 발생한 유전성 악성 심실성 부정맥증 (Inherited Malignant Ventricular Tachyarrhythmia in a German Shepherd)

  • 이준석;이승곤;박인철;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9-333
    • /
    • 2006
  • 9살령 수컷 져먼 세퍼드종 개가 주기적인 실신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 혈액 생화학 검사 및 진단영상학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신 직후 실시한 12-lead심전도에서 환견은 심실조기박동을 동반한 악성 심실성 빈맥(torsade depointes)소견이 관찰되었다. Lidocaine정맥주사 후 심실성 부정맥의 빈도수는 감소되었다. 병력과 심전도 검사(event recordings)를 토대로 본 증례를 져먼 세퍼드종의 유전성 심실성 부정맥증으로 진단하였다. 환견은 초기에 sotalol 구강투여로 증상이 개선되었지만 한달 후 특별한 증상 없이 급사하였다. 본 증례는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된 유전성 악성 심실성 부정맥증이다.

신생아 폐쇄성 엡스타인 기형에 대한 변형 Starnes 술식 (Modified Starnes Operation for Neonatal Stenotic Ebstein Anomaly)

  • 이승현;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9호
    • /
    • pp.633-636
    • /
    • 2005
  • 출생 직후 Carpentier-Edward D형의 Ebstein 기형을 진단 받은 신생아가 심한 저산소증 및 심부전의 증상을 보여 생후 16일째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 상 거대한 우심방 및 심방화 우심실, 작은 기증적 우심실, 삼천 판막의 중격엽 및 후엽의 심한 하향 전위 및 전엽의 우심실 전벽 유착 등이 관찰되었고, 전형적인 협착성 엡스타인 기형으로 양심실 교정이 북가능한 상태로 판단되어 변형 starnes 술식을 적용하였다. 즉 폐동맥판막 및 전위된 삼첨판막 개구창을 일차 봉합 폐쇠하고 광범위한 심방 중격 절제술 등을 시행한후 우심실 전벽과 심실 중격 사이를 우심 첨부에서부터 다중 봉합하여 막성 중격 주변으로 10mm 정도 남기고 심방화 우심실 내부를 모두 봉합 폐쇄하였다. 또한 폐혈류 유지를 위하여 4mm ringed Gore-Tex 도관을 무명동맥에서 주폐동맥까지 연결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여 술 후 17일째에 퇴원하였으며, 6개월 후 큰 문제없이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도맥 단락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저자 등은 심한 협착성 엡스타인 기형 환자에게 간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심방화 우심실을 혈역학으로부터 제외시키는 변형 Starnes 방법을 적용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재발성 심실성 빈맥이 동반된 승모판하 좌심실류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 Submitral Left Ventricular Aneurysm and the Patient Present with Recurrent Ventricular Tachycardia)

  • 김영삼;조정수;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광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80-183
    • /
    • 2010
  • 승모판하 좌심실류는 흑인들에서 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심실성 빈맥을 동반한 승모판하 좌심실류의 수술 치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68세 남자로 수술은 통상적인 저체온 심폐 바이패스 하에서 진행하였다. 심첨부를 들어올리고 좌심실 후방 기저부에 위치한 심실류에 직접 종절개를 넣고 먼저 심실류의 목에 해당하는 부위의 심내막을 돌아가며 고주파절제술(radiofrequency ablation)을 시행한 다음 승모판 및 판막하 구조물을 피해 첨포를 이용한 심실내 심실류봉합술(endoaneurysmorrhaphy)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경과는 양호하였으며 현재 술 후 2년 정도 경과한 상태로 부정맥의 재발이나 승모판 기능이상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