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볼화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9초

다단계 반경-지향 알고리듬을 이용한 Fractionally Spaced 블라인드 등화 (Fractionally spaced blind equalization using multi-stage radius-directed algorithm)

  • 이영조;강성진;강창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2459-246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다단계 반경-지향 알고리듬을 이용한 Fractionally Spaced(FS) 둥화기에 구성한다. Fractionally Spaced 등화기는 수신 신호를 심볼율보다 빠르게 표본화하여 처리하므로 표본화 순간에 민감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다단계 반경-지향 얄고리듬을 적용한 Fractionally Spaced 등화기는 일반적인 블라인드 알고리듬을 적용 한 경우보다 Fractionally Spaced 등화기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연서 빠른 수렴 속도에서나 수렴 후 적은 자승 평균을 갖는다. 또한 여러개의 심볼율 동화기를 독립적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다중 모델 Fractionally Spaced 블라인드 등화기에 다단계 반경-지향 알고리듬을 적용하면 빠른 수렴 속도를 얻는다.

  • PDF

무선랜 시스템을 위한 계산이 간단한 초기 동기부 설계 (Design of a computationally efficient frame synchronization scheme for wireless LAN systems)

  • 조준범;이종협;한진우;유연상;오혁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2호
    • /
    • pp.64-72
    • /
    • 2012
  • 주파수 옵셋 보상, 프레임 동기화, Timing Recovery를 포함하는 동기화는 모든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신호 처리 블록이다. 대부분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Training sequences 또는 프리앰블을 기반으로하는 동기화 방법이 사용된다. IEEE에서 제정한 802.11a/g/n의 무선랜 표준은 OFDM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OFDM 시스템은 주파수와 타이밍 동기화 에러에 대해서 싱클캐리어 시스템보다 더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레임의 시작점과 OFDM 심볼 및 훈련심볼의 시작점은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상관관계를 처리 기능을 하는 블록은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곱셈기로 인하여 큰 복잡도를 갖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a/g/n 시스템을 위한 훈련심볼 내의 심볼값이 반복되는 특성을 활용한 복잡도가 현저히 낮은 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과 구현결과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성능저하는 없는 반면 훨씬 적은 복잡도를 갖는 결과를 보여준다.

OFDM 시스템의 마지막 심볼을 위한 효율적인 변조 방식 (Efficient Modulation for the Last Symbol in OFDM Systems)

  • 유희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13-519
    • /
    • 2018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방식은 4G LTE (Long Term Evoluation)와 Wi-Fi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변조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OFDM 심벌은 여러 개의 협대역 부반송파들로 이루어져 있어, OFDM 방식은 블록 단위 전송방식이라 할 수 있다. 즉, 마지막 OFDM 심벌까지 모두 채워서 프레임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량에 따라서 마지막 OFDM 심볼이 정보 비트들보다 OFDM 심볼을 채우기 위한 패딩 비트로 채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양이 적은 경우에 심각한 스루풋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의 성질을 이용한 효율적 패딩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식에서는 마지막 OFDM 심볼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부반송파의 개수에 따라서 OFDM 심볼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식에 따른 성능 향상이 전송 방식 및 데이터 길이에 따라서 20%까지 될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확인하였다.

제한된 귀환채널에서 시공간블록부호화를 적용한 다중화 시스템의 성능 (Performance of Space Time Block Coded-Spatial Multiplexing Systems in Limited Feedback Channel)

  • 황현철;신승훈;임종경;김석호;곽경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9A호
    • /
    • pp.772-78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블록부호화된 공간다중화 시스템에서 제한된 귀환채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처리 기법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한다. 전처리기는 기존의 대각-가중-시공간블록부호화 다이버서티 시스템을 공간다중화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경험적으로 설계된다. 제안된 시스템에 대해 심볼 오율의 상위한계를 귀환채널 오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모의 실험을 통해 4.akbps의 귀환채널 전송율에서 정규화된 도플러 주파수가 0.01이상이 되면 기존의 안테나선택기법과 코드북선택기법에 비해 심볼오율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PIC 그룹 복호화를 이용한 최적화된 Double-ABBA 유사 직교 시공간 부호 (An Optimized Double-ABBA Quasi-Orthogonal Space Time Code with PIC Group Decoding)

  • 모하마드 아부 하니프;이문호;박주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호
    • /
    • pp.21-2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그룹(group)을 2개의 심볼(symbol)로 나누는 시스템을 제안하는데, 이 두 개의 더해진 심볼들은 다중화에 의해 분리된 후 역다중화 기술을 이용해 다시 합해진다. 제안된 시스템에서 간단한 PIC(Partial Interference Cancelation) 그룹 복호화 기술은 Double-ABBA(D-ABBA) 유사 직교(Quasi-Orthogonal) 시공간 부호(Space Time Code)를 위해 사용된다. 이 부호는 고차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공간 블록 부호화에서 복호화시에 복잡도를 줄여준다. 그리고 기존의 방법과 제안된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리드-솔로몬 부호와 MFSK를 사용하는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통신의 Tradeoff (Tradeoffs in frequency-hopped multiple-access communications with reed-solomon code and MFSK in rayleigh fading channel)

  • 김상우;김승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9A호
    • /
    • pp.2173-218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레일리 페이딩(Rayleigh fading) 채널에서 부호 심볼 크기가 Q인 리드-솔로몬(Reed-Solomon) 부호와 M-ary FSK ($M{\leq}Q$) 변조를 사용하는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frequency-hopped multiple-access) 통신 시스템을 고려한다. 단위 시간과 단위 대역폭당 성공적으로 전송되는 평균 정보 비트의 수로 정의되는 정규화 처리량 (normalized throughput)을 최대로 하는 변조 심볼 크기(M), 주파수 슬롯 갯수, 부호율(code rate) 사이의 tradeoff를 조사한다. 잡음 제한 환경(noise-limited environment)에서는 큰 M을 사용하는 것이 정규화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간섭 제한 환경(interference-limited environment)에서는 오류 정정 기술을 사용하여 오류를 정정하거나 M을 증가 시켜 오류율을 줄이는 것 보다는 주파수 슬롯의 갯수를 증가시켜 충돌(hit)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는 것이 정규화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 PDF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에서의 부호 반전 채널 스위칭 기법 (Sign Reversal Channel Switching Method for Space-Frequency Block Code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 정혁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3-21
    • /
    • 2020
  • 이 논문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에 사용하는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에서의 부호 반전 채널 스위칭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소스 데이터를 다른 안테나로 보내는 경우에는 수신기는 바뀐 그 채널에 적합하도록 결합 방법을 바꾸어야 한다. 만일 미리 정의된 채널 스위칭 시퀀스를 모르는 수신기라면, 수신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게 된다. 채널 스위칭을 위한 송신 데이터를 바꾸는 경우에는 데이터 심볼들을 공간 주파수 블록 코딩 형식에 맞추어서 바꾸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송신 안테나 간의 데이터 심볼들을 바꾸는 것이 아닌 단지 부호 반전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다른 결합 방법을 발생시킴으로써 수신기에서 간단한 암호화로 동작함을 보였다.

훈련신호의 부호를 사용한 OFDM 시스템의 심볼동기 (Symbol Synchronization of OFDM Systems using Signs of Preamble Signals)

  • 황진권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5A호
    • /
    • pp.502-51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a의 OPDM 시스템에서 짧은 훈련신호(Short Preamble)의 I(inphase)와 Q(quadrature) 성분의 부호만을 사용한 심볼동기 기법을 제시한다. 이 심블동기 기법에서는 짧은 훈련신호를 2배의 Nyquist 속도로 표본화하고 자기상관(autocorrelation)과 상호상관(cross-correlation)을 모두 적용한다. 이 동기기법의 장점은 짬은 훈련신호 동안에 수신신호의 ACG(automatic gain control)를 병행할 수 있고 그 구현회로도 복잡하지 않다는 것이다. 무선채널의 다중경로, 송수신기의 편차주파수, 그리고 잡음에 대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심볼동기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디지털 고밀도 기록 장치의 비선형성 감소를 위한 비선형 적응 등화기 설계 (Adaptive Equalization for Reduction of Nonlinearity in High-Density Recording Channels)

  • 손주신;전원기;조용수;임용훈;윤대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397-2408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고밀도 기록 장치의 비선형성 감소를 위한 비선형 적응 등화기의 구조에 대하여 논한다. 기록 장치가 고밀도화되어 감에 따라 증가하는 비선형 심볼간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비선형 적응 결정 궤환 등화기를 제안하고, 후조(postcursor)에 비선형 심볼간 간섭이 존재할 때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기존의 방식은 RAM-적응 결정 궤환 등화기와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3종류의 다른 밀도를 갖는 기록 채널의 경우에 대하여 각 등화기의 출력을 SNR을 관찰하고, 전조(precursor)와 후조에 비선형 심볼간 간섭이 존재하는 일반적인 기록 채널에서 비선형 적응 결정 궤환 등화기의 성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