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심볼화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37초

정수계획법 모형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의 DC-억압 GS코딩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DC-Suppression GS Coding for the Holographic Data Storage Using Integer Programming Models)

  • 박태형;이재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8호
    • /
    • pp.650-655
    • /
    • 2013
  • 광저장장치의 DC-억압을 위한 멀티모드 코딩 기법 중 Guided Scrambling (GS) 코딩기법이 널리 사용된다. 홀로그래픽 저장장치를 위한 DC-억압 GS코딩에서는 후보코드 선택기준으로 심볼의 균등한 분포 및 심볼간 천이의 최대화 기준이 고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후보코드행렬의 digital sum value (DSV)의 $l_{\infty}$-norm을 최소화하는 minimum DSV (MDSV) 기준 GS코딩을 정수계획법 모형으로 수식화하고, 제안된 모형을 사용하여 MDSV 기준과 최대천이강도 기준이 적용된 GS코딩의 성능을 제어비트수, 행렬크기 및 스크램블링 다항식들의 조합에 대하여 평가한다.

신경망을 이용한 언어장애인용 문장발생장치의 동사예측 (Verb Prediction for Korean Language Disorders in Augmentative Communicator using the Neural Network)

  • 이은실;민흥기;흥승홍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32-4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언어장애인용 문장발생장치의 통신율을 증진시키기 위한 처리방안으로 신경망을 이용하여 문장발생장치에 통사예측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각 단어들은 구문론과 의미론에 따른 정보벡터로 표현되었으며 언어처리는 전통적으로 사전을 포함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상태공간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분류되어 개념적으로 유사한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통하여 알게 된다. 사용자가 의미심볼을 누르면 의미심볼에 해당하는 단어는 상태공간에서의 위치를 찾아가며 입력에 따른 동사예측의 중복성을 막기 위하여 신경망을 이용하여 클래스화한 후 동사를 예측하였고 그 결과 제한된 공간 내에서 약 $20\%$ 통신율 증진을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3-level 계층 64QAM 기법의 정규화 인수 (Normalization Factor for Three-Level Hierarchical 64QAM Scheme)

  • 유동호;김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호
    • /
    • pp.77-7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의 전송방식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는 계층 변조 (Hierarchical Modulation)를 고려한다. 계층 변조기법은 다수의 독립적인 데이터 스트림의 송신 신호 전력을 조절하여 변조 심볼로 매핑하기 때문에 종래의 M-QAM에서 사용하는 정규화 인수 (Normalization Factor)를 사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3-level 계층 64QAM 기법의 정확한 정규화 인수를 구하기 위한 방법과 과정을 유도하여 제시한다.

일반화 공간 변조 시스템에서 송신/수신 순서화를 적용한 효율적 구복호 수신기 (Tx/Rx-ordering-aided efficient sphere decoding for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systems)

  • 이형영;박영웅;김종민;문현우;이경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23-529
    • /
    • 2017
  • 본 논문은 송신에 이용되는 활성 송신 안테나와 송신 심볼을 이용해 정보를 전송하는 일반화 공간 변조 시스템에서 송신/수신 순서화를 결합하여 기존의 구복호 수신기보다 낮은 계산 복잡도를 갖는 수신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 수신기는 수신 순서화를 통해 수신 신호 연산을 최적의 순서로 수행하여 구 밖의 후보해에 대한 연산을 조기에 종료함으로써 계산량을 줄인다. 또한, 송신 순서화 방식을 적용하여 심볼과 활성 송신 안테나 탐색에서 해일 확률이 높은 후보 해부터 탐색을 수행하여 계산량을 낮추도록 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송신/수신 순서화를 적용한 제안 구복호 수신기가 기존 구복호 기법, 수신 순서화만 적용한 구복호 기법과 비교하여 동일한 비트오류율 성능을 유지하면서 더 낮은 계산 복잡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MIMO-OFDM 기반 무선 LAN 시스템을 위한 기저대역 모뎀 수신부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aseband Modem Receiver for MIMO-OFDM Based WLANs)

  • 장수현;노재영;정윤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28-33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송수신 안테나를 갖는 $2{\times}2$ MIMO-OFDM 기반 무선 LAN 기저대역 수신 모뎀을 위한 효율적인 수신 알고리즘 및 면적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제시한다. 수신기 성능향상을 위해 효율적인 시간 동기 알고리즘과 MML 알고리즘 기반 MIMO 심볼 검출기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심볼 검출기는 IEEE 802.11n 무선 LAN 규격에 정의된 대로 MIMO 전송 기법 중 공간 다이버시티 모드뿐 아니라 공간 다중화 모드를 모두 지원하며, 다단 (multi-stage) 파이프라인 구조와 극좌표 형태의 복소수 승산 방법을 사용하여 연산블록의 공유와 연산기의단순화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하드웨어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켰다. 제안된 하드웨어 구조는 하드웨어 설계 언어(HDL)를 이용하여 설계 되었고, 0.13um CMOS standard 셀 라이브러리 통해 합성되었다. 그 결과 기존의 설계 구조와 비교시 56% 감소된 하드웨어 복잡도로 구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시퀀스 기반의 유사 음악 검색 기법 (Sequence-based Similar Music Retrieval Scheme)

  • 전상훈;황인준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67-174
    • /
    • 2009
  • 음악은 다양한 하위 레벨 음악 특징을 통하여 인간의 감정을 유발시키거나 음악적 무드를 만들어낸다. 보통 음악은 하나 이상의 무드로 구성되며 이것은 음악간 유사도를 결정하는 데 주요한 단서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의 무드 변화 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음악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모든 음악에 대해 유사한 하위 레벨 특징을 가지는 세그먼트로 나누고, K-means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 클러스터로 그룹화한다. 각 클러스터에 대해 유일한 무드 심볼을 정의하고 나면, 각 음악의 무드 변화 패턴은 일련의 무드 심볼 시퀀스로 표현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간 유사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제안된 검색 기법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한다.

  • PDF

대학교의 제품브랜드 개발연구 -한경대학교의 유.육 가공품 브랜드 개발을 사례로- (Development of Product Brand for University -with the example of Dairy Product Brand fo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황인화;이경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5-164
    • /
    • 1999
  • 1995년도를 기준으로 일인당 우유소비량이 54.5Kg으로 중가한 낙농시장을 기존의 몇몇 유업체들이 주도해 오고 있으나, 그 속에서 연세유업, 건국유업, 삼육대학식품과 같은 대학교와 연계돈 회사들도 대리점 유통을 통해 낙농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유업 브랜드들은 대학교의 긍정적 이미지에 힘입어 제품브랜드와 대학교 홍보사이에 시너지 효과를 누리면서 유제품판매에 차별화를 두고 있다. 이에 전국에서 낙농산업이 가장 발달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해 있으면서 1996년 농림부에 의해 낙농특성화대학으로 선정된 한경대학교는 연구기능을 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이미지, 신속한 유통에 유리한 수도권 소재, 유리한 낙농기반환경, 학교의 오랜 농업적 배경 등을 장점으로 내세워 차별화된 낙농 브랜드 이미지를 구착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 브랜드 이미지로는 첫째, Confidence- 낙농특성화대학이 표기된 한경대학교의 로고와 심볼, 둘째, Fresh- 브랜드 심볼에 의한 이미지 차별화, 셋째, Gealth- 개별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개별브랜드의 개발을 목표로 낙농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 PDF

이중 선택적 채널 OFDM 시스템에서 시간 영역 윈도우와 검출 순서가 순차적 간섭 제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ime Domain Windowing and Detection Ordering on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OFDM Systems over Doubly Selective Channels)

  • 임동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35-641
    • /
    • 2010
  • 이중 선택적 채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시변 채널 특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부반송파 사이의 간섭 현상으로 나타난다. 시간 영역 윈도우의 사용은 주파수 영역 채널 행렬의 대역폭을 한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OFDM 시스템을 간략화된 선형 입출력 모델로 근사화시킬 수 있다. OFDM 시스템의 채널 등화에 선형 MMSE(Minimum Mean Square Error) 예측에 기반한 순차적인 간섭 제거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심볼의 검출 순서가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 영역 윈도우의 사용으로 인한 잔류 ICI의 감소와 이에 따른 성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SINR(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과 CSEP(Conditional Symbol Error Probability) 값을 기준으로 하는 심볼 검출 순서가 순차적 간섭 제거 방식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분산 다중 안테나 지상파 방송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동기화 방법 (Frame Synchronization Method for Distributed MIMO Terrestrial Broadcasting Systems)

  • 옥규순;강인웅;김영민;서재현;김흥묵;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4호
    • /
    • pp.424-432
    • /
    • 2016
  •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차세대 지상파 방송을 위해서 한정된 주파수 자원으로 전송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기술을 적용한 MIMO-OFDM 기반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개발 및 표준화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공간상으로 떨어져 있는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분산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는 각 안테나에서 전송한 신호가 수신 안테나로 다른 시간에 도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환경을 고려한 프레임 동기화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분산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수신 안테나로 시간 간격을 두고 도착할 때 각 신호의 도착 시간을 탐지하기 위해 널 심볼을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프리앰블 이전에 널 심볼을 삽입하게 되면 두 송신 안테나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기에서 구별해낼 수 있기 때문에 각 프레임의 시작 지점을 찾을 수 있다. 500 샘플 이하의 수신 차이가 날 때는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고속 무선 전송을 위한 QPSK 복조기 FPGA 설계 (An FPGA Design of High-Speed QPSK Demodulator)

  • 정지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1248-125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QPSK 방식을 채용하는 고속 무선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Zero-Crossing IF-level QPSK 복조기에 대해서, 복조기에 소요되는 알고리즘들을 고찰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H/W구조에 대해서 언급한다. Zero-Crossing IF-level QPSK 복조기를 구현하기 위해서, 비트 동기를 포착하는 심볼 동기부와 반송파 동기를 포착하는 반송파 동기부가 구현되어야 하는데, 심볼 동기부로는 Gardner 알고리즘을, 반송파 동기부로는 빠른 반송파 포착을 위한 Decision-Directed 동기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설계, 구현하였다. 설계한 QPSK복조기를 Altera 사의 Design Compiler를 이용하여 CPLD-FLEX10K 칩에 합성해 본 결과 약 2.6 Mbps의 전송속도까지 복조 가능하였다. 설계된 Zero-Crossing IF-level QPSK 복조기를 ASIC으로 구현할 경우 CPLD속도의 5∼6 이상 고속화가 가능하므로 약 10 Mbps급 Zero-Crossing IF-level QPSK 복조가 가능하다.